2] ‘중급’ 단계의 한국어 교육 어휘를 선정하였다. 이 단계에서는 (1) ‘중급’ 단계의 어휘 선정을 위한 참조 목록 수집, (2) 개별 어휘의 빈도, 사용 범위, 한 국어 교재와 한국어 능력 시험(TOPIK)의 어휘 빈도-타입(type)과 토큰 (token)- 등과 같은 객관적 지표에 의한 평정, (3) 한국어 교사의 어휘 친숙도 조사와 전문가 평정 결과를 참고한 어휘 목록 조정, (4) 어휘 선정 지침에 의한 목록 정비가 이루어졌다. 그...
국립국어원 2013-01-30
11-1371028-000476-01
발간등록번호
한국어 교육
어휘 xx 개발(2단계)
xx 책임자
x x x
x 출 문
국립국어xx 귀하
“한국어 교육 어휘 xx 개발(2단계)”에 관하여 x x과 체결한 xx용역 계약에 의하여 xx보고서를 작성하여 xx합니다.
2013년 11월 22일
xx 책임자: xxx(연세대학교)
xx xx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xx 책임자 xxx(연세대)
공동 연구원 xxx(연세대), xxx(xxx), xxx(연세대), xxx(연세대), xxx(서강대), xxx(국립국어원)
xx 보조원 xxx(연세대), xxx(연세대), xxx(연세대), xxx(연세대), xxx(연세대), xxx(연세대)
<국문 xx>
한국어 교육 어휘 xx 개발(2단계)
본 xx는 ‘중급’단계의 한국어 교육 어휘를 xxx고 어휘 교육 xx 자료를 개발·구축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xx는 xx의 4가지 절차를 거쳐 이루어졌다.
[1] ‘중급’ 단계의 한국어 교육용 어휘를 xxx고 어휘 xx을 개발·구축하는 데에 필요한 xx xx를 xx하였다. 어휘 xx 및 어휘 교육 xx, xx 방법에 관한 이론과 한국어 xx와 사전, 외국어 교육 분야에서의 어휘 xx 목록 등에 관한 xx xx의 분석, 한국어 xx 말뭉치 구축이 이루어졌다. xx 결과는 연 구의 방향과 목표 xx, 어휘 xx을 위한 xx 자료로 xx되었다.
[2] ‘중급’ 단계의 한국어 교육 어휘를 xxx였다. 이 단계에서는 (1) ‘중급’ 단계의 어휘 xx을 위한 참조 목록 수집, (2) 개별 어휘의 빈도, xx 범위, 한 국어 xx와 한국어 능력 시험(TOPIK)의 어휘 빈도-타입(type)과 토큰 (token)- 등과 같은 객관적 xx에 의한 xx, (3) 한국어 교사의 어휘 친숙도 조사와 전문가 xx 결과를 참고한 어휘 목록 xx, (4) 어휘 xx 지침에 의한 목록 xx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3,855개의 어휘 목록이 xx되었으며, 이것은 일반 외국인을 xx으로 한 ‘중급’ 단계의 한국어 교육용 어휘 목록으로 학습자가 접할 수 있는 다양한 xx와 xx과 관련된 어휘들을 포함하고자 하였다.
[3] 앞선 [2]에서 xxx 3,855개의 어휘 목록을 실질적으로 xx하는 데에 필요 한 어휘 xx을 개발하고 구축하였다. 이 단계에서는 xx xx 목록 xx과 어휘 분류, xx 및 xx 목록 xx과 어휘 분류, 개별 어휘 xx의 구축이 이루어졌다. xx xx 목록은 ‘한국어 교육 어휘 xx 개발(1단계)’에서 xxx xx 체계 를 기반으로 하여 ‘중급’ 단계의 어휘 목록을 분류하는 xx에서 일부 범xx 명 칭을 구체화하거나 하위 xx를 통합·xx하는 xx으로 xx되었다. 그 결과 대 xx 14개, xx주 38개, 소xx 125개의 xx xx 체계로 분류하였다. xx x x 목록은 중급 한국어 xx와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xx’의 xx를 분석
하여 총 35개의 xx로 분류하였다. 개별 어휘 xx는 ‘한국어 교육 어휘 xx 개 발(1단계)’의 체계에 따라 xx xx(길잡이말, 품사, 빈도, 번역어), 구 xx x x(연어, 관용구), 관련어 xx(유의어, 반의어, 상위어, 하위어, 참조어, 파생어, 높임말/낮춤말, 본딧말/준말, 큰말/작은말, 센말/xx말), xx xx를 제시하였다.
[4] 교육 현장에서 xx 가능한 xx xx을 제시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3,855개의 어휘 목록과 어휘 교육 xx 자료를 xx하기 위한 xx을 크게 두 가 xx 제시하였다. 첫째는 ‘중급’ 단계의 xx xx, xx 및 xx xx의 어휘 목 록을 xx으로 한 xx 방안으로 xx 현장에서 xx 가능한 구체적인 xx의 예 시들을 제시하였다. 둘째는 ‘중급’ 단계의 어휘 xx의 방향을 고려한 7종의 어휘 목록을 xxx고 그 xx 방안과 xx 시 필요한 xx 자료를 함께 제시하였다. 7종의 어휘 목록에는 접사, 의성어·의태어, 외래어, 준말, xx표현, 속담, xx 어 휘가 포함되었다.
본 xx는 ‘초급’ 단계를 xx으로 한 ‘한국어 교육 어휘 xx 개발(1단계)’ xx 의 후속 xx로 어휘 xx 방법과 절차, 자료 구축에 있어 연계성을 유지함으로써 xx의 내적 체계성을 갖추고자 하였다. 이는 궁극적으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xx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xx의 결과는 한국어 교육 xx 개발과 xxxx 설 계, 한국어 xx 현장에서의 xx, 한국어 숙달도 평가를 위한 참조 목록 등으로 활 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xx의 xx 성과가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광범위하게 x x됨으로써 한국어 교육의 질적 제고와 세계화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중급 단계, 일반 외국인, 한국어 교육 어휘 xx, xx xx별 어휘, xx 및 xx xx별 어휘, 어휘 xx, 접사 목록, 의성어·의태어 목록, 준말 목 록, 외래어 목록, xx표현 목록, 속담 목록, xx 어휘 목록
차 례
Ⅰ. xx 개요 | · 1 | ||
1. | xx의 목적 및 | 필요성 | · 1 |
1.1. xx의 목적 | · 1 | ||
1.2. xx의 필요성 | · 1 | ||
2. xx의 방향 | · 3 | ||
3. xx의 범위 | · 4 | ||
4. xx 방법 및 절차 | · 5 | ||
4.1. xx 방법 | · 5 | ||
4.2. xx 절차 | · 7 | ||
5. xx xx xx | · 8 | ||
6. xx 결과 | · 9 |
Ⅱ. 한국어 교육 어휘 xx 개발을 위한 xx xx · 10
1. 일반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중급 xx의 어휘 xx 및 xx 구축을 위한 xx xx 및 자료 분석 · 10
1.1. 한국어 교육 어휘 xx을 위한 xx · 11
1.2. xx xx별, 주제별․발화 xx별 어휘 범주화 및 위계화를 위한 xx · 20
2. 한국어 어휘 교육(2단계)을 위한 어휘 xx 구조 설계 · 24
2.1. 기본 방향 · 24
2.2. xx 방법 및 xx · 24
2.3. 세부 xx xx · 24
2.4. xx 결과의 적용 · 34
3. 국외 한국어 교육 어휘 목록 및 xx, 외국어 교육 어휘 목록 및 xx 조사·분석 36
3.1. 기본 방향 · 36
3.2. xx 방법 및 xx · 36
3.3. 세부 xx xx · 37
3.4. xx 결과의 적용 · 53
4. 기타 한국어 교육 어휘 xx 개발을 위한 사항 · 54
4.1. 기본 방향 · 54
4.2. xx 방법 및 xx · 54
4.3. 세부 xx xx · 55
4.4. xx 결과의 적용 · 62
Ⅲ. 한국어 xx 말뭉치 | 구축 | · 64 |
1. 기본 방향 | · 64 | |
2. xx 방법 및 절차 | · 64 | |
3. 세부 xx xx | · 65 | |
3.1. 말뭉치 xx 3.2. xx 체계 개발 3.3. 텍스트 입력 및 마크업 | · 65 · 65 · 67 |
Ⅳ. ‘중급’단계의 한국어 교육용 어휘 xx 및 xx · 69
1. 기본 방향 · 69
1.1. ‘중급’ 단계 어휘의 개념 및 범위 · 69
1.2. ‘중급’ 단계에 필요한 적정 어휘 수 · 70
2. xx 방법 및 절차 · 72
2.1. xx 방법 · 72
2.2. xx 절차 · 72
3. 세부 xx xx · 74
3.1. ‘중급’ 단계의 어휘 목록 xx을 위한 참조 목록 수집 · 75
3.2. 목록의 타당성 검사 · 78
3.3. 어휘의 xx 범위 및 빈도 분석 · 85
3.4. ‘중급’ 단계의 어휘 특성과 객관적 xx를 고려한 순차별 어휘 xx · 85
3.5. 안면 타당성 검사 · 103
3.6. ‘중급’ 단계의 어휘 목록 확정 · 113
Ⅴ. ‘중급’ 단계의 한국어교육 어휘 xx 개발 및 구축 · 114
1. xx xx 목록 xx 및 어휘 분류 · 114
1.1. xx 방법 및 절차 · 114
1.2. ‘중급’ xx xx 목록 및 어휘 분류의 특성 · 114
1.3. xx xx 목록 및 어휘 목록 · 115
2. xx xx 목록 xx 및 어휘 분류 · 128
2.1. xx 방법 및 절차 · 128
2.2. ‘중급’ xx xx 목록 및 어휘 분류의 특성 · 128
2.3. xx 및 xx xx 목록 · 129
3. 어휘 xx 구축 · 138
3.1. 기본 방향 · 138
3.2. 어휘 xx xx 구축 지침 · 139
3.3. 어휘 xx xx 구축 결과 · 139
Ⅵ. 교육현장에서의 xx xx 제시 · 142
1. xx xx 제시의 방향 · 142
2. 목록 xx 및 xx xx · 143
2.1. xx xx를 xxx 어휘 교육 xx방안 · 143
2.2. xx 및 xx xx를 xxx 어휘 교육 xx방안 · 147
2.3. 접사 xx 및 xx 방안 163
2.4. 의성어, 의태어 xx 및 xx 방안 167
2.5. 외래어 xx 및 xx 방안 171
2.6. 준말 xx 및 xx 방안 177
2.7. xx표현 xx 및 xx 방안 180
2.8. 속담 xx 및 xx 방안 184
2.9. xx 어휘 xx 및 xx 방안 187
Ⅶ. 결론 및 xx 191
1. xx 요약 191
2. 보고서 xx 방안 193
3. 정책 xx 195
참고 xx
부록
부록 1. ‘중급’ 단계의 한국어 교육용 어휘 xx 목록 부록 2. xx xx 목록
부록 3. xx 및 xx xx별 어휘 목록 부록 4. 접사를 xx한 어휘 xx 자료
부록 5. 의성어, 의태어 xx를 위한 관련어 자료 부록 6. 외래어 xx를 위한 관련어 자료
<표 차례>
<표 | 1> | xx의 범위 및 세부 xx xx | · 4 | |||
<표 | 2> | xx xx xx의 xx | · 6 | |||
<표 | 3> | 단계별 과업 xx xx | · 8 | |||
<표 | 4> | xx xx 및 자료 분석의 범위 | · 10 | |||
<표 | 5> |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xx(1단계)의 | 등급별 | 목표 xx | · 12 | |
<표 | 6> |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등급별 목표 xx | · 12 | |||
<표 | 7> | 한국어 어휘 교육 xx 논문의 어휘 유형별, 숙달도별 분포 | · 14 | |||
<표 | 8> | ‘중급’ 단계 어휘의 개념과 범위 xx을 위한 분석 자료와 xx | · 16 | |||
<표 | 9> | ‘중급’ 단계의 어휘의 특성과 어휘 xx을 위한 xx 방향 | · 17 | |||
<표 | 10> | 한국어 xx 및 토픽의 분석 xx 어휘 | · 18 | |||
<표 | 11> | 한국어 xx 어휘의 타입과 토큰 분석 결과 | · 19 | |||
<표 | 12> | 한국어 능력시험의 타입과 토큰 분석 결과 | · 19 | |||
<표 | 13> | xx xx별 어휘 예시 | · 22 | |||
<표 | 14> | 어휘 xx xx xx 및 제시 방법 | · 24 | |||
<표 | 15> | 어휘 xx xx xx 및 제시 방법의 xx | · 25 | |||
<표 | 16> | 사전에서의 관련어 제시 | · 28 | |||
<표 | 17> | <참고 어휘>와 <관련어(연세)>에서 제시된 표제어와의 xx xx | · 28 | |||
<표 | 18> | <고려대사전>의 관련어 xx의 xx | · 29 | |||
<표 | 19> | ‘한국어 교육 어휘 xx 개발(2단계)’을 위한 어휘 | xx | xx | xx을 | |
위한 고려 사항 | · 34 | |||||
<표 | 20> | 국내외 어휘 xx 목록 조사 xx 및 xx | · 36 | |||
<표 | 21> | xxx평어휘 및 xx 등급xx의 등급별 어휘 수 | · 37 | |||
<표 | 22> | 영어 교육용 어휘 xx 자료 xx | · 39 | |||
<표 | 23> | 일본어 교육용 어휘 xx 자료 xx | · 48 | |||
<표 | 24> | 어휘의 xx xx xx | · 56 | |||
<표 | 25> | 한자어 학습 전략 | · 58 | |||
<표 | 26> | 발화 기능과 xx표현(xxx, 2001) | · 60 | |||
<표 | 27> | 기능과 xx된 속담 목록(xxx, 2007) | · 61 | |||
<표 | 28> | 한국어 xx 말뭉치 구축을 위한 태그 세트 | · 66 | |||
<표 | 29> | 어휘의 속성 | · 69 |
<표 30> ‘중급’ 단계 어휘의 개념과 범위 · 69
<표 31> 국외의 한국어 교육 및 외국어 교육용 ‘중급’ 단계의 어휘 수 · 70
<표 32> 초급과 중급 단계의 어휘 xx 방법 및 절차 비교 · 72
<표 33> ‘중급’ 단계의 어휘 xx을 위한 참조 목록의 xx · 75
<표 34> ‘중급’ 단계의 어휘 xx을 위한 참조 목록의 주요 xx · 76
<표 35> ‘중급’ 단계의 어휘 xx을 위한 참조 목록의 주요 xx 부착 자료 예시 · 77
<표 36> 목록의 타당성 검사 방법 및 xx · 78
<표 37> 객관적 xx를 바탕으로 한 목록 타당성 검토 예시: xx 출현 어휘 ··· 80
<표 38>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xxx형(2011)‘과 · 81
<표 39> 초급 관련어 목록 중 검토 xx · 82
<표 40> 목록의 타당성 검사 결과에 따른 목록 수 · 84
<표 41> (가안) ‘중급’단계의 어휘 xx 절차 및 순차별 xx 결과 · 85
<표 42> 파생어의 빈도 및 xx 범위 xx 예시 · 87
<표 43> 접사의 빈도 및 xx 범위 예시 · 92
<표 44> 의존 명사의 xx 범위 및 빈도 xx 예시 · 94
<표 45> 연구진의 내부 xx 결과 적용 xx · 95
<표 46> 객관적 xx를 바탕으로 한 연구진 xx 예시 · 96
<표 47> 어휘 xx 지침 · 97
<표 48> 어휘 친숙도 조사 방법 및 xx · 104
<표 49> 어휘 친숙도 조사 결과 · 104
<표 50> xx단 xx · 111
<표 51> 전문가 xx 방법 및 xx · 112
<표 52> 전문가 xx 결과: 전체 집계 결과 · 112
<표 53> 전문가 xx 결과: 개인별 xx 결과 · 112
<표 54> 전문가 xx 결과의 적용 · 112
<표 55> xx xx 목록 · 115
<표 56> xx xx별 ‘중급’ 어휘 목록 · 116
<표 57> ‘중급’ 단계의 xx 및 xx xx 목록 · 129
<표 58> xx 및 xx xx별 어휘 목록 · 137
<표 59> 어휘 xx 구축 xx · 138
<표 60> 어휘 xx xx 구축 예시: 기본 xx · 140
<표 61> 어휘 xx xx 구축 예시: 구 xx xx 및 관련어 xx · 141
<표 62> ‘한국어교육 어휘 xx 개발(1단계)’의 xx xx · 142
<표 63> 초급과 중급의 공통 xx에 포함된 어휘 목록 비교 · 147
<표 64> 접사의 xx · 166
<표 65> 접사 xx 목록 및 xx 파생어 자료 예시 · 166
<표 66> 의성어, 의태어 xx를 위한 관련어 자료 예시 · 170
<표 67> 외래어 xx를 위한 관련어 자료 예시 · 175
<표 68> xx표현 xx를 위한 xx, xx, 기능 분류 예시 · 183
<표 69> 속담 xx를 위한 xx, xx, 기능 분류 예시 · 186
<표 70> xx 어휘 xx 목록 · 188
<xx 차례>
<xx | 1> | 과업 xx 체계도 | · 7 | |||
<xx | 2> | ‘중급’ 단계의 어휘의 개념과 범위 | · 16 | |||
<xx | 3> | 한국어 xx의 xx 분석 | · 21 | |||
<xx | 4> | 참고 xx의 하위 xx | · 27 | |||
<xx | 5> | 한국어 교육 어휘 xx 개발을 위한 | 한국어 | xx 말뭉치 | 구축 | · 64 |
<xx | 6> | 순차적 어휘 xx 절차와 결과 | · 74 |
<xx 7> 어휘 친숙도 조사 결과: xx 삭제 어휘 xx 분포 · 111
<xx 8> xx 지도 그리기를 xx한 어휘 xx xx · 145
<xx 9> xx 어휘 모으기 xx 예시 · 146
<xx 10> 접사 xx 절차 예시 화면 · 164
<xx 11> 접사 ‘-가’에 의한 파생어의 xx · 165
<xx 12> ‘사람-직업’ xx 접사와 파생어 · 166
<xx 13> 의성어, 의태어 xx 절차 · 168
<xx 14> 외래어 xx 절차 예시 화면 · 172
<xx 15> 준말 xx 절차 예시 화면 · 178
<xx 16> xx표현 xx 절차 예시 화면 · 181
<xx 17> 속담 xx 절차 예시 화면 · 185
Ⅰ. xx 개요
1. xx의 목적 및 필요성
1.1. xx의 목적
본 xx는 ‘한국어 교육 어휘 xx 개발(1단계)’의 후속 사업으로 일반 목적 한 국어 학습자를 위한 중급 단계의 한국어 교육용 어휘를 xxx고 교육 xx을 개 발하여 이들을 위한 효율적인 어휘 교육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에 궁극적인 목적 이 있다. 다음은 이를 위해 본 과업에서 xxx 세부 목표들이다.
○ ‘중급’ 단계의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xxxx
○ ‘중급’ 단계의 한국어 교육용 어휘 xx
○ ‘중급’ 단계의 한국어 교육 어휘 교육 xx 개발 및 구축
○ 교육 현장에서 xx 가능한 xx xx 제시
1.2. xx의 필요성
○국가 xx의 표준 교xxx에 기초한 변인별 어휘 xxxx에 xx xx 증가 한국어 교육의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전 xx 여러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표준 교xxx의 필요성이 xx되고 있다. 이와 함께 학습자 의 다xxx xx에 부응하기 위한 변인별 교xxx의 필요성도 증대되고 있다. 본 xx는 이와 같은 xx에 부응하여 국립국어원에서 xxx ‘국제 통용 한국어 교 육 표준 xx’ 개발(2010-2011), ‘한국어 교육 어휘 xx 개발(1단계)’(2012)에 이은 후속 사업으로 이루어졌다.
○ 한국어 교xxx 및 변인별로 세분화된 어휘 xx에 관한 xx xx 필요 한국어 학습자의 증가와 함께 학습자의 xx는 나날이 다양화․세분화되고 있다.
어휘는 문법 영역과 함께 중요한 xx․학습 영역으로 변인별로 체계화된 어휘 교
육을 위한 xx을 설계하고 그에 필요한 자료를 구축하는 것은 xx 중요한 과제 이다. 이를 위해서는 xx 이론 및 xx xx 등의 xx 조사 xx 방법에 의한 한국어 교xxx과 변인별로 세분화된 어휘 xx에 관한 xx xx가 xx되어야 한다. 이는 앞으로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한국어 어휘 교육 xx 구축의 시발점으 로서 중요한 xx를 지닌다.
○ 체계적인 어휘 교육과 평가를 위한 중급 단계의 어휘 xx xx 증가 지금까지 어휘 xx에 관한 xx는 주로 xx 어휘로서의 초급 단계 혹은 특정
목적, 특정 xx 등으로 변별적 특성이 xx하게 드러나는 고급 단계에 xx되어 왔다. 반면, 중급 단계의 어휘 xx에 관한 xx는 이론적으로나 실제적으로 거의 이루어진 바가 없다. 이는 중급 단계의 어휘 xx 범위가 xx 포괄적인 데다가 명확한 개념 xx이 어렵다는 데에 기인한다. 또한 초급xx 고급에 비해 상대적 으로 수요의 폭이 좁았던 것도 그 xxx다. 그러나 xx 한국어 학습자의 증가 xxx 학습 목적, 기간 등의 변화를 볼 때 체계적인 방법과 절차에 의해 xx된 중급 단계의 어휘의 필요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어 ‘초급’ 단 계에 이어 ‘중급’ 단계의 어휘 xx을 목표로 하는 본 xx는 xx 시의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한국어 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어휘 교육 xx 구축의 필요
어휘 xx은 단지 어휘 xx나 xx․제약 xx를 아는 것을 넘어서 의사소통 맥
락에서 어휘를 실제적으로 사용할 줄 아는 능력까지를 포함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어휘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xx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 현장에서의 적용과 밀접하게 xx되지는 못하고 있다. xx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관여되지 만, 상당 부분은 어휘 xx 현장에서 학습자에게 제시해야 할 어휘 xx와 xx 자료가 부족하였다는 것이 이유가 되리라 본다. 따라서 xx 높은 어휘 교육과 더 불어 한국어 교육의 질적 제고를 목적으로 하는 본 xx에서 어휘 교육 xx을 구축하여 그 구체적인 xx 방안을 제시하는 것은 xx 실용적이며 xxx다고 볼 수 있다.
2. xx의 방향
본 xx는 한국어 ‘중급 단계의 일반 외국인’을 xx으로 한 ‘한국어 교육 어휘’ 를 xxx고 ‘어휘 교육 xx’을 구축하기 위한 적용적 xx이다. 따라서 이전 단 계에서 이루어진 xx적 어휘 교xxx 개발을 위한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xx 개발’과는 구분되는 한편, 초급 단계의 일반 외국인을 xx으로 했던 ‘한국어 교육 어휘 xx 개발(1단계)’과는 xx된다. 본 xx는 ‘중급’의 숙달도 단계, ‘일 반 외국인’이라는 학습자 xx의 특성을 고려함으로써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활 xx가 높은 어휘 교육 자료를 산출해 내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 국가 xx의 표준 xxxx 자료로서 기존 사업 성과물과의 연계성 고려 xx 국가 xx의 교xxx과 xxxx 설계에 관한 xx가 지속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본 xx에서는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xx'에 xx 면밀한 분석 을 통해 xx적 교xxx xx과 xxxx, 적용적 xxxx을 xx하고, ‘한국어 교육 어휘 xx 개발(1단계)’과 xx하여 연속성을 xx xx 성과물로서 일관된 체계를 갖추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향후 이루어질 ‘한국어 교육 어휘 xx 개 발(3단계)’ xx를 고려하여 거시적인 체계를 xx하는 데에도 노력을 기울였다. ‘한국어 xx사전’은 ‘한국어 교육 어휘 xx 개발(1단계)’에 이어 ‘한국어 교육 어휘 xx 개발(2단계)’ 어휘 교육 xx 개발을 위한 xx 자료로 xx되었다. 아 울러 웹사이트를 통해 공개되는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xx의 학습사전인‘한국어 xx사전’의 xx와도 xx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돕고자 했다.
○ 한국어 ‘중급 단계의 일반 외국인’을 위한 적용적 xx로서의 특성 고려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xx’은 xx적 한국어 교육을 위해 xxx x xxx xx과 xxxx을 제공하고자 한 xx이다. 이와 xx ‘한국어 교육 어 휘 xx 개발(1단계), (2단계)’는 각각 초급과 중급 단계의 일반 외국인을 위한 어휘 xxxx 계발을 목표로 하는 적용적 xx이다. 한국어 ‘중급’ 단계의 어휘는 교xxxxx 평가에서의 등급별 목표 xx에서조차도 ‘xx생활에서 xx하는’, ‘자신에게 친숙한’, 등의 추상적인 용어로 xx하고 있으며, 그 범위 또한 xx 포 괄적이어서 구체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고 배워야 하는가에 xx 교xxx 별 편차가 크다. 본 xx에서는 교xxx 및 평가의 등급별 목표 xx, xxx구 의 이론, xx의 xx 및 xx 등에 xx 분석을 통해 먼저 한국어 교육에서 실용
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중급’ 단계 어휘의 개념과 범위를 xx하였다. 이를 바 탕으로 ‘중급 단계의 일반 외국인’에게 적합한 어휘 목록을 xxx기 위한 xx를 단계적으로 xx하여 어휘 목록을 xxx고, xx 현장에서의 xx을 고려한 어휘 교육 xx을 개발·구축하였으며 실제적인 적용을 위한 xx xx을 제공하였다.
○ 한국어 xx 현장에서의 xx 가능성을 우선적 고려
본 xx는 결과물이 한국어 xx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xx되고, 그 결과 한국 어어휘 교육의 xx이 향상되고 더불어 한국어 교육의 성장을 위한 발판이 될 수 있을 때에 그 xx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xx는 첫째, 자료 구축과 제 공에 초점을 두었다. 단순히 숙달도에 따른 목록 제시를 넘어, xx xx 목록 선 정과 어휘 분류, xx 및 xx 목록 xx과 어휘 분류, 개별 어휘 xx의 구축을 xx하였다. 아울러 국내 주요 한국어교육 xx의 xx 말뭉치를 구축하여 제공하 였다. 둘째, 이론적 xx에 있어서는 한국어 교육 분야는 물론 어휘 xx, 사전 편찬 등 인접 xx 분야의 xx 성과에 xx 면밀한 분석, 한국어 교육 전문가와 교사, 학습자들의 xx를 xxx xx하여 xx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효용성 있는 xx 결과물을 산출해 내는 데에 주력하였다.
3. xx의 범위
본 xx는 한국어 교육용 어휘 xx 및 교육 xx 구축을 목표로 하며 xx의 범위와 세부 xx xx은 다음과 같다.
<표 1> xx의 범위 및 세부 xx xx
xx의 범위 | 세부 xx xx |
(1)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xxxx | ○일반 외국인을 위한 중급 xx의 어휘 xx 및 xx 구축을 위한 xx xx 및 자료 분석 ○한국어 어휘 교육(2단계)을 위한 어휘 xx 구조 설계 ○국외 한국어 교육 어휘 목록 및 xx, 외국어 교육 어휘 목록 및 xx 조사·분석 ○기타 한국어 교육 어휘 xx 개발을 위한 사항 |
(2) 중급 단계의 한국어 교육용 어휘 xx 및 xx | ○일반 외국인을 xx으로 한 교xxx에 적합한 한국어 교육용 어휘 xx 및 xx |
(3) 중급 단계의 한국어 교육 어휘 xx 구축 | ○교육 자료 개발과 xx xx에서 xx 가능xxx 어휘 xx xx별, xx 및 발화 xx별 어휘 자료 구축 ○xx xx에서 설계한 개별 어휘 xx 구축 |
(4) 교육 현장에서 xx 가능한 xx xx 제시 | ○한국어 교육 xx, xx·학습 현장에서 xx 가능한 xx를 고려하여 xx xx 제시 |
(5) 어휘 xx 구조 xx 및 한국어 교육 어휘 자료 구축 | ○어휘 목록 및 관련어 목록(1단계 포함)을 한국어기초사전과 대조하여 정비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을 위한 한국어 교재(1단계 포함) 말뭉치 구축 |
4. 연구 방법 및 절차
4.1. 연구 방법
4.1.1. 문헌조사
○문헌연구는 어휘 선정 및 위계화, 어휘 정보 구축 어휘 의미관계 등 본 과업에 서 목표로 하는 한국어 교육용 어휘 자료 내용 개발에 관련된 국내외 선행 연 구 자료, ‘한국어 교육 내용 개발(1단계)’ 연구 결과를 비롯해 기존 연구의 성과 물로 축적된 어휘 선정 목록, 국내외 사전, 어휘 분류 자료집 등의 분석을 목적으 로 한다. 분석 자료는 본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고, 연구를 수행해 나아가기 위 한 구체적인 자료를 추출하고, 일련의 과정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에 활용되었다. 또한 어휘 목록 선정 및 교육 내용 개발, 구축 모형 개발을 위한 참조 자료로 활용되거나 내용 구축의 콘텐츠로 연계 활용되었다.
4.1.2. 말뭉치 빈도 조사
○말뭉치 빈도 조사 연구는 본 연구의 핵심 과제인 어휘 선정 기준의 객관성과 타당성을 담보하기 위한 것이다. 중급 한국어 교재 말뭉치와 한국어능력시험 (TOPIK) 중급 자료 등 한국어 교육현장에서의 말뭉치와 일반 말뭉치(강범모․김 흥규(2009), 조남호(2002)의 어휘 빈도 분석)를 어휘량 분석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삼았다.
4.1.3. 의견수렴 연구
○의견수렴 연구는 자료 기반의 계량적 어휘 목록 구축에서 출발한 객관적 방법론 에 따른 연구 결과를 검토하고 수정·보완하기 위한 보충적 연구 방법이다. 본 연 구의 의견수렴 연구는 어휘 친숙도 조사와 전문가 자문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 졌다. 어휘 친숙도 조사는 직간접적인 수요자가 될 한국어 교사와 학습자를 대상 으로 한 것으로 한국어 교사와 학습자의 요구를 수용한다는 의미가 있다. 한편, 전문가 자문은 연구의 방향성에 대한 총괄 자문과 어휘 평정으로 한국어 교육 전 문가, 어휘 전문가, 한국어 교육자의 의견 수렴을 통해 연구 방법 및 결과의 타당 성을 확보하고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제고한다는 의미가 있다.
<표 2> 의견 수렴 연구의 내용
구분 | 대상 | 의견 수렴 목적 및 내용 | |
어휘 친숙도 조사 | 한국어 교사 50명 | 사용자의 요구 수용 | |
전문가 평정 | 한국어 교육 전문가 7명 (김현진, 민경모, 박성태, 윤영, 조현용, 진정란, 최은규) | 중급 어휘로서의 적절성 및 등급 판정 | |
전 문 가 자 문 | 1차 자문 (착수 보고) | 어휘 연구 및 한국어 교육 전문가 3인 (김재욱, 남길임, 한재영) | 연구의 방향성, 연구 결과에 대한 적정성 및 활용 가능성에 대한 종합 평가와 자문 |
2차 자문 (중간 보고) | 어휘 연구 및 한국어 교육 전문가 3인 (남길임, 조현용, 최은규) | ||
3차 자문 (최종 보고) | 어휘 연구 및 한국어 교육 전문가 2인 (남길임, 최은규) |
4.2. 연구 절차
본 연구는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 조사·분석 등의 기초 연구를 토대로 하여 단 계적으로 진행되었으며, 그 구체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
<그림 1> 과업 수행 체계도
5. 연구 추진 일정
본 연구의 추진 일정은 다음과 같다.
<표 3> 단계별 과업 추진 일정
세부 사업 내용 | 추진 일정(개월) | 비고 | ||||||||
1 | 2 | 3 | 4 | 5 | 6 | 7 | 8 | |||
과업 수행 방향 수립 | ● | |||||||||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 일반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중급 수준의 어휘 선정 및 내용 구축을 위한 문헌 연구 및 관련 자료 분석 | ● | ● | ● | 문헌연구 | |||||
한국어 어휘 교육(2단계)을 위한 어휘 정보 구조 설계 | ● | ● | ● | |||||||
국외 한국어 교육 어휘 목록 및 내용, 외국어 교육 어휘 목록 및 내용 조사·분석 | ● | ● | ● | |||||||
기타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을 위한 사항 | ● | ● | ● | |||||||
중급 단계의 한국어 교육용 어휘 선정 및 평정 | ● | ● | 의견수렴 | |||||||
중급 단계의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 구축 | 어휘 의미 범주별, 주제별·발화 상황별 어휘 범주화 및 위계화 | ● | ● |
기초 연구에서 설계한 개별 어휘 정보 구축 | ● | ● | ||||||||
교육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활용 모형 제시 | ● | ● | 문헌연구 | |||||||
어휘 정보 구조 정비 및 한국어 교육 어휘 자료 구축 | 한국어기초사전의 체계에 준한 어휘 목록 및 관련어 목록 정비 | ● | ● | |||||||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을 위한 한국어 교재 말뭉치 구축 | ● | ● | ● | 말뭉치 연구 | ||||||
최종보고서 작성 | ● |
6. 연구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2) ‘중급’ 단계의 한국어교육용 어휘 목록 선정
(3) ‘중급’단계의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 구축
○ 어휘 의미 범주별 어휘 분류
○ 주제 및 상황 어휘 분류
○ 개별 어휘 정보 구축
(4) 교육 현장에서 활용이 가능한 교수 모형 및 어휘 목록 제시
○‘중급’ 단계의 어휘 목록의 활용 모형
○‘중급’ 단계의 어휘 특성을 반영한 유형별 어휘 목록 선정 및 활용 모형
: 접사 및 관련 파생어, 의성․의태어, 외래어, 준말, 관용표현, 속담, 문화 어휘
(5) 어휘 정보 구조 정비 및 한국어 교육 어휘 자료 구축
○ 어휘 목록 및 관련어 목록(1단계 포함)을 한국어기초사전과 대조하여 정비
○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을 위한 한국어 교재(1단계 포함) 말뭉치 구축
Ⅱ.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1. 일반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중급 수준의 어휘 선정 및 내용 구축을 위한 문헌 연구 및 자료 분석
○일반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중급 수준의 어휘 선정 및 내용 구축을 위한 연구 는 한국어 어휘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기존의 어휘 선정 목록 분석, 한국 어 교육 말뭉치 분석 등의 기초 연구에서 시작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작업은 전반적인 연구의 방향성을 결정하고 그에 적합한 구체화된 연구 방법론을 선택 하는 데에 중요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세부 연구 과제의 수행을 위해 실시한 기초 연구 중 문헌 연구의 목표 및 분석 자료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표 4> 문헌 연구 및 자료 분석의 범위
세부 연구 과제 | 기초 연구의 내용 | 분석 자료 |
어휘 선정 및 평정 | ‘중급’ 단계 어휘의 개념 및 범위 설정 | ○교육과정 및 평가의 등급별 목표 기술 ○선행연구 ○한국어 교재의 주제 및 기능, 어휘 교수요목 |
어휘 의미 범주별, 주제별․발화 상황별 어휘 범주화 및 위계화 | 중급 단계의 어휘 의미 범주별, 주제별․발화 상황별 어휘 범주화 및 위계화의 근거 마련 | ○선행연구 |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과 한국어 교재의 주제 및 기능, 어휘 교수요목 |
1.1. 한국어 교육 어휘 선정을 위한 연구
1.1.1. ‘중급’의 개념 및 범위
(1) 기본 방향
○‘중급’ 단계의 어휘의 개념 및 범위 설정은 본 연구의 전반적인 방향성을 정 하고 구체적인 연구 방법론을 이끌어 내는 데에 필요한 주요 쟁점들을 포함하 므로 기초 연구 이상의 의미를 가지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중급’ 단계는 초급과 고급에 비해 그 특성이나 범위가 모호하고 광범위하기 때문에 기존의 연구에서도 그 개념이나 범위에 대한 명확한 기술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이는 한국어 교재의 구성이 매우 상이하다는 점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 자료의 분석을 통해 ‘중급’ 단계 어휘의 개념과 범위를 귀 납적으로 정의함으로써 ‘중급’ 단계의 어휘 선정 방향을 도출하였으며, 구체적 인 연구 방법을 선택하는 데에 참고하였다.
(2) 연구 방법 및 대상
○‘중급’의 개념과 범위 설정을 위한 연구는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재, 선행연구 등을 대상으로 한 문헌 연구 방법을 따랐다.
▸교육과정 및 평가 자료
-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의 어휘 등급별 목표 기술
-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등급별 목표 기술
▸한국어 교재
-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연세 한국어』3․4, 연세대학교 출판부
- 서강대학교 한국어 교육원, 『NEW 서강 한국어』3A․3B․4A․4B, 서강대학교 국제문화원 출판부
-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한국어』3․4, 서울대학교 출판부
-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이화 한국어』3-1․3-2․4, EPRESS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재미있는 한국어』3․4, 교보문고
- 경희대 국제교육원, 『한국어』중급 1․중급 2, 경희대학교 출판부
▸선행연구
- 중급 단계에서의 어휘 선정 및 교육 내용, 교육 방법 등에 관한 선행연구 논문 100여 편
- 한국어 어휘 교육론, 한국어 교육학 개론의 ‘어휘 교육’ 부분
(3) 연구 내용
① ‘중급’ 단계 어휘의 개념 및 범위 설정 가. 교육과정 및 평가 자료
○‘중급’ 단계의 어휘는 ‘초급’ 단계의 어휘로서 [기초 어휘], ‘고급’ 단계 의 어휘로서 [특정 학문 영역 또는 특정 주제 관련 어휘]와는 달리 매우 포괄 적인 어휘를 포함하고 있으며, 교육과정이나 평가 자료에서의 등급별 목표 기 술을 통해 개략적인 범위를 유추해 낼 수 있을 뿐 개념이나 범위, 또는 어휘 수에 대해 명확히 제시되지 못한 측면이 있다.
○ 이는 등급 기술에서 주로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모든) 어휘’, ‘친숙한 사회적 어휘’, ‘공공시설의 이용과 사회적 관계 유지’, ‘일반적인 업무 수행’, ‘친숙한 사회적 소재’의 추상적인 기술에서 드러난다. 아울러 ‘구어 와 문어 어휘’, ‘고빈도의 관용 표현’, ‘사자성어’, ‘속담’, ‘문화 어휘’와 같이 특 정 범주의 어휘를 중급 단계의 어휘에 포함시킴으로써 그 범위를 더욱 확장하 고 있다.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1단계)’와 ‘한국어능력시험’의 중급 숙달도 목표 기술이다.
<표 5>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1단계)의 등급별 목표 기술
등급 | 어휘 |
3급 |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어휘를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 ○빈도수가 높은 관용어를 이해할 수 있다. |
4급 |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친숙하지 않은 어휘를 사용할 수 있다. ○친숙한 사회적 소재(직업, 사랑, 결혼 등)와 관련된 어휘를 사용할 수 있다. ○빈도수가 높은 관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자주 쓰이는 사자성어, 속담 등을 이해할 수 있다. |
<표 6>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등급별 목표 기술
등급 | 등급 기술 | |
중급 | 3 |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별 어려움을 느끼지 않으며, 다양한 공 공시설의이용과 사회적 관계 유지에 필요한 기초적 언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친숙하고 구체적인 소재는 물론, 자신에게 친숙한 사회적 소 재를 문단 단위로 표현하거나 이해할 수 있다. ○문어와 구어의 기본적인 특성을 구분해서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 |
4 | ○공공시설 이용과 사회적 관계 유지에 필요한 언어 기능을 수행 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업무 수행에 필요한 기능을 어느 정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뉴스, 신문 기사’ 중 평이한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일반적인 사회적 · 추상적 소재를 비교적 정확하고 유창하게 이해하고, 사용 할 수 있다. ○자주 사용되는 관용적 표현과 대표적인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 를 바탕으로 사회 · 문화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 |
나. 한국어 교재의 주제 및 상황
○한국어 교재의 주제 및 상황은 TV와 생활, 가사, 외모와 성격, 인터넷, 개학 첫 날 교실, 건강과 생활, 결혼, 진로와 직업, 공연과 감상, 교육, 교환과 환불 등과 같이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1단계)’과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등급 별 목표 기술에서 제안한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모든) 어휘’, ‘친숙 한 사회적 어휘’, ‘공공시설의 이용과 사회적 관계 유지’, ‘일반적인 업무 수행’, ‘친숙한 사회적 소재’ 등이 구체화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다. 선행연구
○한국어 어휘 교육에 관한 연구는 어휘 또는 어휘 능력에 부여하는 중요도에 비 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 못한 경향이 있다1). 아래의 자료는 한국어 교육 어휘 선정에 관한 선행연구를 모아 어휘 유형별, 숙달도별로 살펴
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어휘 선정에 관한 연구는 어휘 유형별로는 주로 교육용 기초 어휘나 기본 어휘, 한자어에 대한 논의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한편, 숙달도에서도 본 연구에서 목표로 하는 ‘중급’ 단계를 대상으로 한 논의는 중급을 포함한 ‘중․고급’ 단계까지 포함하여도 그리 많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연구자들에게도 ‘중급’ 단계의 어휘는 상당히 포괄적인 대상임을 짐작 할 수 있다.
<표 7> 한국어 어휘 교육 관련 논문의 어휘 유형별, 숙달도별 분포
구분 | 범용 | 초급 | 중급 | 중․ 고급 | 고급 | 합계 | |
교육용 어휘(기초, 기본) | 16 | 4 | 1 | 1 | 22 | ||
의미 범주 | 식생활 | 1 | 1 | ||||
음식 | 1 | 1 | |||||
의식주 | 1 | 1 | |||||
감정 표현 | 1 | 1 | |||||
주제 및 상황 | 신문 사설 | 1 | 1 | ||||
자녀 교육 | 1 | 1 | |||||
서식 어휘 | 1 | 1 | |||||
구 단위 | 관용 표현 | 4 | 4 | ||||
연어 | 1 | 1 | |||||
속담 | 2 | 2 | |||||
개별 어휘 | 문화 어휘 | 2 | 1 | 3 | |||
사자성어 | 1 | 1 | |||||
보조 용언 | 2 | 2 | |||||
접두사, 접두 파생어 | 2 | 2 | |||||
분류사 | 1 | 1 | |||||
외래어 | 3 | 1 | 4 |
1) 강현화(2010)에서는 최근 10년 간의 한국어 교육 관련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통해 한국어 교육 연 구 동향을 살폈는데, 검토 대상 논문 총 1,323편 중 어휘 교육 관련 논문은 71편에 그쳤으며 ‘문법>교 재>발음>문화>어휘’의 순으로 어휘 연구의 수가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음을 보여 주고 있다.
의성어, 의태어 | 1 | 1 | |||||
한자․한자어 | 8 | 4 | 1 | 1 | 14 | ||
유의어 | 1 | 2 | 1 | 4 | |||
줄임 표현 | 1 | 1 | |||||
신조어 | 1 | 1 | |||||
전문 어휘 | 공학 | 1 | 1 | ||||
금융 | 1 | 1 | |||||
문법 | 1 | 1 | |||||
사고 도구어 | 3 | 3 | |||||
상경계열 | 2 | 2 | |||||
언론정보학 | 1 | 1 | |||||
언어학, 문학, 경영학, 컴퓨터학 | 1 | 1 | |||||
이공계 | 1 | 1 | |||||
인문, 사회 | 2 | 2 | |||||
정치 | 1 | 1 | |||||
한국어교육 | 1 | 1 | |||||
직업 전반 | 1 | 1 | |||||
염색, 가공업 | 1 | 1 | |||||
건설, 제조업 | 1 | 1 | |||||
합계 | 38 | 11 | 6 | 1 | 25 | 88 |
(4) 연구 결과의 적용
○다음은 자료 분석의 주요 관점과 분석 내용, 분석 결과가 ‘중급’ 단계의 어휘 개념 및 범위 설정에 주는 시사점을 정리한 것이다.
<표 8> ‘중급’ 단계 어휘의 개념과 범위 추출을 위한 분석 자료와 내용
주요 관점 | 분석 자료 | 분석 내용 | ‘중급’ 단계의 어휘 개념 및 범위 설정에의 시사점 |
교육과정적 접근 | 교육과정 및 평가 자료 | 등급별 목표 기술 | 중급 단계 어휘 사용의 범위 및 유형 추출 |
언어 교육적 접근 | 한국어 교재 | 주제 및 어휘 교수요목 | 구체화된 중급 단계 어휘 사용 주제 및 상황 추출 |
어휘론적 접근 | 어휘 교육 관련 선행연구 | 어휘 학습 내용 | 중급 단계 어휘의 유형 추출 |
○‘중급’ 단계의 어휘는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모든) 어휘’, ‘친 숙한 사회적 어휘’, ‘공공시설의 이용과 사회적 관계 유지’, ‘일반적인 업 무 수행’, ‘친숙한 사회적 소재’, ‘구어와 문어 어휘’, ‘고빈도의 관용 표현’, ‘사자성어’, ‘속담’, ‘문화 어휘’ 등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1단계)’나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등급별 목표 기술에서 보이는 키 워드 또는 중급 단계의 한국어 교재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 및 상황에서 알 수 있듯이 초급에 비해 그 사용 범위가 매우 포괄적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은 분 석 자료에 대한 개략적인 검토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가정하고 있는 ‘중급’ 단계 어휘의 개념과 범위를 정리한 것이다.
<그림 2> ‘중급’ 단계의 어휘의 개념과 범위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개념과 범위를 바탕으로 ‘중급’ 단계 어휘의 속성을 ‘다양 한 주제와 상황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유형의 어휘’로 보고 ‘중급’ 단계의 어 휘 선정을 위한 연구 방향 및 방법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표 9> ‘중급’ 단계의 어휘의 특성과 어휘 선정을 위한 연구 방향
주요 관점 | 분석 자료 및 대상 | 예비 목록 수집 및 평정 |
교육과정적 접근 | 표준 교육과정, 토픽의 등급별 목표 기술 |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의 어휘 교수요목, 주제 및 상황 분석 |
언어 교육적 접근 | 한국어 교재의 주제 및 어휘 교수요목 | ○한국어 교재의 주제 및 상황 분석 ○주제에 따른 중급 단계의 필수 어휘 목록 보완을 위한 교재의 단원별 주제 관련 어휘 수집 |
한국어 교재와 토픽 사용 어휘 목록 | ○한국어 교재의 출현 어휘 ○토픽 출현 어휘 | |
어휘론적 접근 | 한국어교육용 어휘 선정 목록 | ○최길시(1998), 조현용(2000), 임칠성 (2002), 서상규 외(1998), 조남호(2003) 등 한국어교육용 어휘 선정 목록 |
어휘 유형의 특성과 교육적 의의, 활용에 관한 선행연구 | ○어근, 합성어, 파생어 목록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1단계)’ 의 ‘초급’ 어휘 정보 중 관련어 목록 (유의어, 반의어, 상위어, 하위어 등) |
1.1.2. ‘중급’ 단계의 한국어 교육 어휘 선정 및 평정을 위한 자료 분석
(1) 기본 방향
○‘중급’ 단계의 한국어 교육 어휘 선정을 위해서는 ‘중급’ 어휘의 속성을 반영한 참조 목록을 적절하게 구성하고 수집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 통용 한 국어 표준 모형’의 어휘 교수요목,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1단계)’에서 구 축한 초급 예비 목록, 기존의 연구에서 선정한 한국어 교육용 어휘 목록과 함께
중요한 참조 목록으로 중급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능력시험에서 사용한 어휘를 추출하고, 타입과 토큰 분석을 통해 어휘 사용량을 파악하였다.
(2) 연구 방법 및 대상
○‘중급’ 단계의 한국어 교육 어휘 선정 및 평정을 위한 분석 자료는 한국어 교재 및 한국어능력시험 텍스트로, 모든 자료를 원시 말뭉치의 형태로 구축한 후 형태소 분석을 하여 실질 어휘를 빈도 정보와 함께 추출하였다.
<표 10> 한국어 교재 및 토픽의 분석 대상 어휘
구분 | 내용 | 비고 |
한국어 교재 |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연세 한국어』3․4, 연 세대학교 출판부 ○서강대학교 한국어 교육원, 『NEW 서강 한국 어』3A․3B․4A․4B, 서강대학교 국제문화원 출판부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이화 한국어』3- 1․3-2․4, EPRESS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재미있는 한 국어』3․4, 교보문고 ○경희대 국제교육원, 『한국어』중급 1․중급 2, 경 희대학교 출판부 | 중급 교과서 와 워크북 |
한국어능력시 험(TOPIK) | ○1회-29회의 텍스트(지시문 제외) | - |
(3) 세부 연구 내용
① 한국어 교재 분석 결과
○한국어 교재의 어휘 분석 결과 13,974개의 어종이 추출되었다. 전체 토큰 빈도 가 463,344로 매우 방대한 데에 비해 타입 빈도가 적은 것은 5개 기관의 교재에 서 중복 사용되는 어휘가 그만큼 적고 ‘중급’의 개념과 범위에 대한 합의가 ‘초급’만큼 명확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움을 보여 주었다.
<표 11> 한국어 교재 어휘의 타입과 토큰 분석 결과
구분 | 등급 | 경희대 | 고려대 | 서강대 | 연세대 | 이화여대 | 소계 |
타입 | 3급 | 3,021 | 3,412 | 2,597 | 3,879 | 4,360 | 8,240 |
4급 | 3,948 | 5,239 | 3,483 | 6,310 | 4,537 | 11,556 | |
소계 | 5,173 | 6,486 | 4,420 | 7,503 | 6,506 | 13,974 | |
토큰 | 3급 | 29,032 | 36,163 | 38,997 | 49,338 | 62,676 | 216,206 |
4급 | 33,455 | 54,432 | 57,839 | 66,562 | 41,458 | 247,138 | |
소계 | 62,487 | 90,595 | 96,836 | 115,900 | 104,134 | 463,344 |
Ⓒ 한국어능력시험(TOPIK) 분석 결과
○ 한국어능력시험 중급의 텍스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어능력시험 역시 전체 토큰 빈도에 비해 타입 빈도가 낮았는데, 이는 문항 출제 시 기출 문제와 동 회의 문항 내에 동일 주제의 지문이나 예시문의 사용을 제한함에 기인한 것 이다. 이 역시 ‘중급’의 개념 및 범위에 대한 광범위한 해석으로 귀결된다고 할 수 있다.
<표 12> 한국어 능력시험의 타입과 토큰 분석 결과
타입 | 토큰 |
8,565 | 173,657 |
(4) 결과의 적용
○한국어 교재 말뭉치에서 추출한 어휘는 ‘중급’ 단계의 어휘 선정을 위한 참 조 목록으로 활용되었으며, 토큰과 타입은 어휘의 사용 빈도와 범위(range) 정 보로 활용되었다.
1.2. 의미 범주별, 주제별․발화 상황별 어휘 범주화 및 위계화를 위한 연구
(1) 기본 방향
○의미 범주별, 주제별․발화 상황별 어휘 범주화 및 위계화는 어휘 선정 자료를
교수 현장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 구축 작업의 일환이다. ‘한국어 교육 내용 개발(1단계)’에서 관련 이론과 선행연구 등의 문헌 분석, 관련 자료 분석을 통해 한국어 교육에 적합한 의미 범주와 주제별․
발화 상황별 어휘 범주를 체계화하고 각 범주에 속하는 어휘를 위계화하여 제
시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 내용 개발(1단계)’에서 체계화한 범주의 수정․보 완 작업을 통해 ‘중급’ 단계에 적절한 의미 범주별, 주제별․발화 상황별 어휘 범주화 및 위계화 작업을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급 한국어 교재 및 교수요
목의 주제를 분석하였다.
(2) 연구 방법 및 대상
○한국어 교재와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의 주제를 분석하여 ‘중급’ 단계 의 주제를 정리하고, 각 주제에 해당하는 한국어 교재의 어휘를 수집하였다. 분 석 대상 자료는 다음과 같다.
▸ 한국어 교재(중급)의 주제와 상황, 기능
▸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에서 선정한 주제 및 상황(초급, 중급)
(3) 세부 연구 내용
① 수집한 자료의 주제를 분석한 결과
○수집한 자료의 주제를 <그림>과 같이 총 70개의 주제 영역으로 범주화하였다.
<그림 3> 한국어 교재의 주제 분석
○ 다음은 분석 결과에 따른 범주화된 주제이다. 주제에 따라 대범주에 속하는 구 체적인 상황을 ( ) 안에 세분화하여 제시하였다.2)
가치*, 건강, 경영경제, 공공사안(소비생활*), 계획, 공공사안(권리*), 공공사안(시 간과변화*), 공공사안(이웃과공동체*), 공공생활(예절과규칙)*, 공공장소(우체국*), 공공장소(도서관*), 공공장소(은행*), 공공장소(출입국관리소*), 공연과감상, 교육 제도, 기념일*, 꿈/미신/금기*, 날씨/계절(기후), 여행/숙박, 대중매체, 명절과풍습
*, 여가, 명절과풍습, 모임(가족*), 모임(직장*), 모임(학교*), 문화차이(선물*), 미 래사회, 사건/사고/재해, 사고방식*, 사람(능력)*, 성격/감정, 소개하기/자기소개, 소식/정보*, 쇼핑(물건사기*), 쇼핑(교환/반품*), 쇼핑(환불*), 신화, 실수, 안부와 인사, 연애/결혼, 옛날이야기*, 외모*, 음식/요리, 이사, 인사와안부*, 일상생활, 일상생활(고장과수리*), 일상생활(문제해결*), 일상생활(부탁과거절), 일상생활(분 실), 일상생활(편의시설*), 직업*, 직장생활, 진로와취업, 집/주거, 집안일, 초대, 추억*, 축제*, 취미, 친구/동료/선후배관계, 컴퓨터와인터넷, 편지, 학교생활, 한 국생활, 한글소개, 현대사회*, 환경, 환경문제
Ⓒ 주제 범주별 어휘 수집
○다음은 주제 범주별 수집된 어휘 수와 어휘 예시이다.
가치*(9), 건강(166), 경영경제(9), 계획(23), 공공사안(권리*)(20), 공공사안(소비생 활*)(109), 공공사안(시간과변화*)(36), 공공사안(이웃과공동체*)(24), 공공생활(예
2) *은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의 주제에는 없는 것임
절과규칙)*(34), 공공장소(도서관*)(21), 공공장소(우체국*)(12), 공공장소(은행
*)(14), 공공장소(출입국관리소*)(13), 공연과감상(84), 교육제도(21), 기념일*(17), 꿈/미신/금기*(71), 날씨와계절(기후)(112), 대중매체(62), 명절과풍습(6), 명절과풍 습*(73), 모임(직장*)(14), 모임(학교*)(8), 문화차이(선물*)(12), 미래사회(3), 사건/ 사고/재해(81), 사고방식*(10), 사람(능력)*(20), 성격/감정(131), 소개하기/자기소개 (24), 소식/정보*(15), 쇼핑(교환/반품*)(13), 쇼핑(물건사기*)(55), 쇼핑(환불*)(50),
신화(10), 실수(29), 안부와인사(13), 여가(61), 여행/숙박(187), 연애/결혼(101), 옛
날이야기*(32), 외모*(29), 음식/요리(318), 이사(78), 인사와안부*(12), 일상생활(3),
일상생활(고장과수리*)(42), 일상생활(문제해결*)(16), 일상생활(부탁과거절)(19),
일상생활(분실)(45), 일상생활(편의시설*)(85), 직업*(17), 직장생활(88), 진로와취업
(145), 집,주거(72), 집안일(50), 초대(100), 추억*(17), 축제*(17), 취미(72), 친구/동 료/선후배관계(10), 컴퓨터와인터넷(39), 편지(47), 학교생활(75), 한글소개(36), 현 대사회*(52), 환경(50), 환경문제(110)
( ) 안의 수는 어휘 수
<표 13> 주제 범주별 어휘 예시
가치*(9)
건강(166)
명예01, 미모04, 봉사03, 재력03, 출세01, 학식02, 행복02,
현재에 충실하다
(몸무게가)줄다, (약을)바르다, (열을)식히다, (열이)내리다, (체중이)늘다, (피부가)거칠다, 가스가차다, 갈등, 감기 기운이 있다, 감기04, 감기약, 개인 병원, 건강 검진을 받다, 건강보험증, 건강03, 건강식품, 건강을 잃다, 건강하다02, 결리다01, 고치다01, 고혈압, 과로를 하다, 과로하다, 과식하다01, 관절염, 근육, 근육이 생기다, 기분 전환, 기분01, 기억력, 긴장, 긴장감, 깁스를 하다, 낫다01, 내과01, 넘어지다, 노폐물, 노화01, 눈병, 눈이 충혈되다, 눕다01, 다이어트, 다치다, 데다01, 두통, 두통이 심하다, 땀01, 땀을 흘리다, 떨어지다, 만병, 만성03, 머리카락이 빠지다, 목이 붓다, 몸살이 나다, 몸이 아프다, 무릎, 무리하다, 물리치료, 미끄러지다, 발목을 삐다, 베다02, 변비01, 병원02, 병원에 가다,
복용하다01, 부러지다, 불면증, 불안감, 불안하다, 비만01,
어휘 예시
주제 범주
비타민, 빈혈, 삐다, 사우나, 상처02, 성인병, 소화06, 소화가 되다, 소화제, 속이 답답하다, 속이 쓰리다, 스트레스, 스트레스 해소, 스트레스가 쌓이다, 스트레스가 풀리다, 스트레스를 날려 보내다, 스트레스를 풀다, 시달리다, 식습관, 신경통01, 신체적, 심리적, 심장병, 심하다, 아프다, 악몽, 안과02, 안색, 안색, 암08, 약사04, 약을 짓다, 얼굴에 뭐가 나다, 여드름, 여유, 열량, 열량을 소모하다, 영양제, 예민하다01, 예방하다01, 우울증, 운동02, 운동을 하다, 운동하다, 위06, 위염02, 응급처치, 응급실, 이비인후과, 접수, 접수처, 종합병원, 증상01, 지방09, 지치다01, 진료 받다, 진정되다02, 진찰, 진통제, 질병02, 짜증, 처방, 처방전, 체온, 체중01, 체중이 줄다, 체지방, 체하다02, 충혈되다, 치료, 칼로리, 칼슘, 콜레스테롤, 콧물이 나다, 토하다, 통증, 편두통, 폭식, 피곤하다, 피곤해하다, 피로02, 피로가 풀리다, 피부02, 피부과, 피부병, 한약02, 해롭다, 해소03, 해소법, 해열제, 혈압, 혈액순환, 환자03, 효과01, 효과적, 흡연01
(4) 결과의 적용
○분석 결과는 어휘 선정 시 목록의 타당성 검사 단계에서의 주제별 어휘 검토 및 보완을 위한 참조 자료로 활용되었다. 또한 향후의 연구 단계에서 이루어질 의미별, 주제 및 발화 상황별 범주 모형의 수정․보완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
○한국어 교육용 자료로서 ‘초급’ 단계에서 체계화된 의미 범주는 주제 및 상 황 범주와 많은 부분이 중첩되거나 계층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어휘 의미망 구축이나 학술적 목적에 의해 범주화된 의미 체계와 확연히 구분되는 속성으로 의사소통 상황을 고려한 실제적 의미와 쓰임을 고려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 된다. 그러한 점에서 한국어 교재 및 교수요목의 주제를 분석하여 ‘중급’ 단계 에 적합한 주제 및 상황 범주 체계의 수정·보완은 물론, 그것과의 관련성을 전 제로 하여 의미 범주의 체계화를 위한 참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2. 한국어 어휘 교육(2단계)을 위한 어휘 정보 구조 설계
2.1. 기본 방향
○‘중급’ 단계의 한국어 어휘 교육에 적합한 어휘 정보 구조 설계는 향후 이루어 질 ‘고급’ 단계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하며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1 단계)’에서 설계한 어휘 정보 구조와 일관된 체계를 이룰 필요가 있다. 본 연구 에서는 한국어 어휘 교육 관련 이론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한국어 교육 어 휘 내용 개발(1단계)’의 어휘 정보 항목의 타당성을 재차 검토하였다. 이를 통 해 ‘한국어 어휘 교육(1단계)’와 연계성을 가지면서 ‘한국어 어휘 교육(2단계)’ 에 적합한 어휘 정보 구조를 설계하고자 하였다.
2.2. 연구 방법 및 대상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의 방법을 취하였다.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1단 계)’와 연계하여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2단계)’에서 구축하게 될 어휘 정보 구성과 세부 제시 항목, 제시 방법 등에 대한 검토와 함께 관련어 설정에 관한 선행연구 논문을 분석하였다.
2.3. 세부 연구 내용
2.3.1.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2단계)’ 어휘 정보 모형 분석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1단계)’에서는 국내외 사전의 미시구조 분석을 통해 어휘 정보 항목을 수집하고 그 중에서 한국어 교육 어휘 정보로서 반드시 다루어져야 할 내용들을 선정하여 ‘초급’ 단계의 한국어 교육 어휘 정보 제 시 항목을 다음과 같이 확정하였다.
<표 14> 어휘 정보 항목 구성 및 제시 방법
구성 | 세부 제시 항목 | 제시 방법 |
기초 정보 | 길잡이말, 품사, 번역어(영어, 태국어, 말레이-인도네시아어, 베트남어, 몽골어, 러시아어), 빈도 | 해당 셀에 정보를 직접 입력 |
구 구성 정보 | 연어, 관용어 | |
관련어 정보 | 유의어, 반의어, 상위어, 하위어, 참조어, 파생어, 높임말/낮춤말, 큰말/작은말, 센말/여린말, 본딧말/준말 | |
화용 정보 | 구어/문어, 비어, 은어, 속어, 비유(긍정/부정), 사용자(유아어/남성어/여성어) ※ 놀 림 조 , 얕 잡 아 /낮 잡 아 (요 놈 /머 리 ), 귀 엽 게 , 친 근 하 게 /정 답 게 등 의 정 감 적 표 현 과 강 조 , 완 곡 표 현 정 보 는 실 제 정 보 구 축 작 업 과 정 에 서 제 시 되 는 항 목 들 을 귀 납 적 으 로 목 록 에 포 함 함 | 화용 정보 범주 목록을 참고하여 해당 칸에 어휘의 화용적 특성을 입력함 |
교수 활용 정보 | 난이도 정보, 주제 및 상황 범주 정보 (별도 자료), 의미 범주 정보(별도 자 료) | 관련어 중 1,836개의 초급 단계의 어휘 *표 부착 |
○위의 항목들로 구성된 정보 구조 모형은 한국어 어휘 교육 이론에 근거하여 교 육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요소들을 중심으로 설계한 것이다. 이 모형은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1단계)’에서 선정한 ‘초급’ 단계의 어휘에 최적화된 모형 인 동시에 3단계까지의 연계성과 확장성을 고려하여 설계한 기본 모형으로서 한국어 어휘 정보로 포함될 수 있는 주요 항목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위의 정보들은 ‘중급’ 단계의 어휘 정보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부분 에서 세부적으로 보완이 필요하다.
<표 15> 어휘 정보 항목 구성 및 제시 방법의 보완
구성 | 초급 | 중급 |
관련어 정보 중 ‘참고어’의 범주명을 ‘참조어’로 수정 | ○참고어: 자매어를 비롯해 의미적으로 관련이 있거나 실제 언어 사용에서 화용적인 관련성이 있는 어휘로 교수 현장에서 확장 어휘로 다루어질 필요가 있는 어휘들 | ○참조어: 내용은 초급과 동일 (<한국어 기초사전> ‘참고어’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임) |
화용 정보 | ○‘초급’ 단계에서 설정한 모형에 따름 | ○‘ 중 급 ’ 단 계 의 어 휘 가 다 양 화 됨 에 따 라 얕 잡 아 /낮 잡 아 (요 놈 /머 리 ), 귀 엽 게 , 친 근 하 게 /정 답 게 등 의 정 감 적 표 현 과 강 조 , 완 곡 표 현 정 보 의 추 가 |
교수 활용 정보 | ○1,836개의 ‘초급’ 단계의 어휘에 속하는 관련어에 (*)표를 부착하여 교수 현장에서 어휘 확장 시 참고할 수 있도록 함 | ○관련어 정보의 대부분이 ‘초급’, ‘중급’ 단계의 어휘에 속하며, ‘초급’과 달리 ‘중급’의 어휘 확장 범위가 방대하므로 별도의 표시를 하지 않음 |
2.3.2. ‘중급’ 단계의 어휘 정보 구조 설계를 위한 관련어 설정
(1) ‘관련어’의 개념
① 기본 개념
○‘관련어’라는 용어는 ‘관련 어휘’, ‘관련된 말’, ‘관련되는 말’ 등으로 사용되었으나 사전 또는 연구에 따라 개념 범주가 다르다(이희자·우재숙, 2006). 관련어는 형태적으로 관련되는 말과 의미적으로 관련되는 말 등을 아우 른다. 이희자·우재숙(2006)에서는 관련어를 표제어와 의미적 관계를 갖고 있는 말이라고 하였다. 모든 표제어는 각각의 독립된 항목이 아니라 의미적 또는 형
태적으로 연관된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며 체계를 이루고 있으며 이것은 곧 언 어 사용자의 어휘부와도 연관이 된다는 점으로 미루어볼 때 ‘관련어’는 교육적 인 측면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양명희(2007), 엄태경(2013)).
○김광해(1993:1)는 관련 어휘란 올림말로부터 출발하여 최대한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전이 특별한 방법으로 제공하고 있는 모든 어휘라고 하였다.
○이희자⋅우재숙(2006:171)에서는 ‘관련어’란 사전의 관련 어휘 정보 중의 하나
로서 상하 또는 부분, 전체와 같이 포함 관계에 있는 말이나 동등한 계층에서 셋 이상의 유기적인 대립이 형성되는 등위관계에 있는 말을 의미한다.
- 포함 관계: 형태로 본 상하관계의 관련어(음절(어절) 교체형, 음절(어절) 첨가 형, 음절 혼합, 기타), 부분-전체관계의 관련어(필수형, 선택형)
- 등위 관계: 측도 등차형(대소, 장단, 수량, 고도, 원근, 속도, 강도, 비점, 온도), 공간위치 등차형(내외, 전후, 상하, 방위, 공간 확대, 지시), 시간위치 등차형 (전후, 연월연시, 계절), 등급 등차형(학력, 발달, 품질, 지위, 가치, 성적, 단위
등), 비등차형(장소, 방법, 분야, 성별, 역할, 복합 등)
○김광해(1993:1)에서 ‘관련어’의 하위 부류에는 ‘동의어(유의어), 반의어, 부류 어, 다듬은 말, 속담 관련어’ 등이 있다.
○참고 정보의 하위 유형(이희자⋅우재숙, 2006:166)
<그림 4> 참고 정보의 하위 유형
Ⓒ 사전에서의 제시 양상을 통해 본 관련어
○사전에서의 관련어 제시는 다음과 같은 체계를 따르고 있다.
<표 16> 사전에서의 관련어 제시
구분 | 사전 | 관련어 제시 |
국내 | <동아새국어사전> | 여러 의미관계 어휘와 참고 정보에 해당되는 것 까지 포함 |
<표준국어대사전> | ① 동의어 Ⓒ 본말·준말·비슷한말·반대말·높임말· 낮춤말 ③ 참고 어휘(엄태경, 2013) | |
<연세한국어사전> | 표제어와 의미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들을 관련어 로 제시. 높임말, 낮춤말, 예사말, ‘어머니’, ‘엄마’ 와 같이 사용 계층이 다르거나 감정적인 의미가 다른 낱말들, ‘마마’, ‘폐하, 전하’와 같이 유의어, 반의어는 아니나 의미적으로 관계가 있는 낱말들, ‘머리채’와 ‘머리’처럼 ‘머리채’를 설명할 때 ‘머리’ 를 사용해야 하는 낱말들, 유의어 관계(남기심, 1997) | |
국외 | 캠브리지 | 유의어, 반의어 외에 표제어와 연관이 있다고 여 겨지는 단어를 ‘Related Words’로 봄. 그러나 관 련어에 대한 명백한 정의가 있는 것은 아님(박수 연, 2002:36) |
○<표준국어대사전>과 <연세한국어사전>에서 제시하고 있는 관련어 유형은 다 음과 같다(이희자⋅우재숙, 2006:169).
<표 17> <참고 어휘>와 <관련어(연세)>에서 제시된 표제어와의 관계 유형
유형 | <참고 어휘> | <관련어(연세)> |
의미관계 | 유의관계, 대립관계, 포함관계, 등위관계 | |
어휘관계 | 의성어, 의태어 범주 | |
별칭어․이칭어, 동음이의어, 자음, 모음 교체로 어감이 달라지는 말 | 높임관계, 합성관계, 파생관계, 피동사관계 | |
문법관계 | 동일한 범주의 문법 형태 | |
기타 | 구별해야 할 말, 자유연상관계 등 |
○<고려대사전>의 관련어 정보 유형(엄태경, 2013:84)
<표 18> <고려대사전>의 관련어 정보의 유형
유형 | 특징 | |
형태상 관련어 | 본말-준말 | 표제어가 음운론적인 이유로 줄어서 단어가 된 경우 |
원어-약어 | 표제어가 비음운론적인 이유로 줄어서 다른 단 어가 된 경우 | |
큰말-작은말 | 모음의 교체에 따라 구분 (양성/음성) | |
센말-거센말-여린말 | 자음(초성)의 교체에 따라 구분 (경음/격음/평 음) | |
이형태 | 일정한 형태의 표제어가 특정한 환경에서 다른 형태를 취할 경우 | |
의미상 관련어 | 유의어 | 동일한 품사 내에서 유의 관계를 맺는 어휘들 |
반의어 | 해당 표제어에 대해 의미론적으로 직접적인 반 의관계에 있는 동일한 품사 내의 어휘 | |
주동사-사동사 | 주제의 행위 변화 방향이 달라지는 의미가 포 함되었다고 보아 의미상 관련된 어휘로 분류 | |
능동사-피동사 | ||
높임말 | 기존 사전들과는 다르게 동일한 대상을 의미하 지만 높이는 의미를 지니는 말을 관련어 정보 에서 높임말로 제시. 낮춤말도 같은 방법으로 제시 | |
낮춤말 | ||
기타 관련어 | 참고어 | 해당 표제어의 의미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지만, 해당 표제어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에 주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단어 중 꼭 필요한 것만 선별 |
비표준어 | 표준어에 대응되는 비표준어를 참고어로 제시 하지 않고 ‘비표준어형’으로 제시 |
(2) ‘관련어’의 하위 부류
① 유의어
가. 유의어의 개념
○선행 연구에서의 유의어의 개념
- 김광해(1995:249)에서 동의어는 문장 차원에서, 유의어는 어휘 차원에서 적 용된다고 보았다. 두 개 이상의 단어들이 유의 관계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최 소한 하나 이상의 문장에서 그 전체의 진리치에 변화를 일으키지 않은 상태 로 교체될 수 있어야 한다. 감정적 의미, 환기적 의미는 문제 삼지 않는다”고 하였다. 여기서 감정적 의미는 화자의 개인적 감정이나 청자의 태도에 대한 화자의 감정이 반영된 의미를 말한다. 감정적 의미는 다른 의미에 의존해서 화자의 정서만을 표현해 주는 주변적 범주로 간주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양 명희, 2007에서 재인용)
- 조민정(2010)은 ‘synonym’을 ‘동의어’라 하기도 하고, ‘유의어’라 하기도 하 였다. 그런데 모든 문맥에서 교체 가능한 완전한 동의어는 없다는 전제하에 ‘유의어’ 또는 ‘부분동의어’라 지칭하기도 하였다. 여기에서는 김광해(1987)의 입장과 달리 ‘유의어’를 동일한 지시물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유사한 ‘개념’ 을 표현하는 것에 한정하였다. 예를 들어 동일한 지시물을 가리키지만 동일한 개념을 표현한다고 보기 어려운 경우로 ‘친정, 외가, 처가’가 있다. ‘친정’은 ‘결혼한 여자의 본집(표준)’이고 ‘외가’는 ‘어머니의 친정(표준)’이고 ‘처가’는 ‘아내의 본집(표준)’이다. 이들은 동일한 지시물을 가리키지만 동일한 개념을 가리킨다고 볼 수 없다. 유현경 외(2002)에서의 유의어 개념도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유의어는 어휘의 모든 조건에서 유사한 것이 아니라 특정 조건에 서는 유사하나 다른 조건에서는 차이점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때의 차이점은 Nida, E.A.(1975)가 구분한 의미성분 중 보조성분에 대응되고 Leech, G(1974)의 연상의미와 유사한 차이점이다. 따라서 아래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을 유의어로 본다.
1) 동일 문맥에서 교체
2) 의미 즉 개념적 의미가 유사
3) 내포 의미, 형태, 결합 관계, 사용역, 사용범위 등에서 차이를 가질 것
- 유현경 외(2002)에서는 ‘의미적으로뿐 아니라 형태적, 통사적, 화용적 측면 에서 공통적인 부분을 지니고 있어서 학습 과정에서 혼동의 염려가 있는 일
련의 어휘들의 관계’를 유사 관계 어휘(the extended notion of synonym)로 규정하였다.
- 김광해(1987:187)는 “유의어 사전에 엄밀한 의미에서의 유의 관계보다는 좀 더 폭넓은 의미에서 유의 관계를 받아들일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즉, 기본 의미 사이의 유사성 수준을 넘어서서 한 지시 대상(referent)을 대표할 수 있 는 여러 어휘뿐만 아니라 특별한 상황이나 문맥에서 교체되어 쓰이는 것까지 가급적 많은 수효의 어휘가 발굴되어 수용되는 일이 필요하다”. 이때 한 지시 대상(referent)을 대표한다는 것은 개념의 동일성을 의미한다기보다는 지시물 의 동일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조민정, 2010)에서 재인용)
- 문금현(2004)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유의어의 개념은 한국인 을 대상으로 했을 때와 달리 좀 더 폭넓게 정의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추억:기억’, ‘청첩장:초대장’의 단어 쌍에 대해서 한국인들은 유의 관계로 보 지 않고 상하 관계로 쉽게 구분할 수 있지만 외국인들에게는 그 차이가 분명 하게 인식되지 않아서 유의어 쌍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을 하는 데에 있어서 유의어의 의미 변별 기준 제시하였다.
1) 1단계 의미 변별 기준
(1) 어종의 차이 ① 고유어:한자어 Ⓒ 고유어:외래어 ③ 한자어:외래어
(2) 사용 빈도의 차이- 저빈도어:고빈도어
2) 2단계 의미 변별 기준
(3) 적용 범위의 차이- 전문어:일상어
(4) 지시 범위의 차이- 광범위:소범위
(5) 표현상의 차이 ① 경어·비어:평어 Ⓒ 줄임말:본딧말 ③ 구어:문어
Ⓐ 강조:평조적 표현
3) 3단계 의미 변별 기준
(6) 결합 구성의 차이
4) 4단계 의미 변별 기준
(7) 내포 의미의 차이
○사전에서의 유의어의 개념
- <표준국어대사전>에서의 동의어(양명희, 2007)(이 내용은 국립국어원(2000:428) 에서 참고된 것으로, 이러한 정의는 Leech(1974)의 의미 유형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 정의: 개념적, 연상적 의미가 같고 모든 문맥에서 교체 가능한 말
- 뜻풀이 원칙: 개념적, 연상적 의미, 문체적 의미, 문맥 치환 여부 등을 일일 이 따져 보아 차이가 드러나면 동의어로 처리하지 않고 비슷한말로 처리하고 그 의미 차가 드러나게 각각 뜻풀이해야 한다.
○유의어의 유형
- 남성우(1972), 이용주(1972), 천시권·김종택(1971): 단어의 기원에 따라 이중구 조(고유어 대 고유어, 고유어 대 한자어, 고유어 대 외래어, 한자어 대 한자어, 한자어 대 외래어, 외래어 대 외래어)와 삼중구조(고유어 대 한자어 대 외래 어)로 나눈 바 있다. (조민정, 2010에서 재인용)
- 조민정(2010): 언어적 특성에 따른 유의어: ①음운론적 유의어(까맣다/꺼멓다),
Ⓒ형태론적 유의어(코/코빼기, 얼굴값/꼴값), ③문법적 유의어(옹색하다, 궁색하 다, 군색하다; 격틀과 의미는 유사하나 결합하는 논항에서 차이를 보이는 유 형과 의미와 논항은 유사한 격틀에서 차이를 보이는 유형), Ⓐ화용적 유의어 (밥/진지)
나. 사전에서의 유의어 제시 양상
○사전에서의 유의어 및 기타 관련 어휘의 특징(양명희, 2007)
- 표준국어대사전(1999): ① 동의어와 비슷한 말을 다 인정함, Ⓒ 작은말, 큰말, 여린말, 센말, 거센말을 ‘참고어휘’에서 다룸
- 연세한국어사전(1998): ① 동의어를 따로 설정하지 않음, Ⓒ 넓은 의미의 유의 어로 관련어를 설정함, ③ 파생어, 연어, 가보라, 참고가 있음, Ⓐ 높임말, 낮 춤말을 ‘관련어’에서 다룸
Ⓒ 반의어
가. 반의어의 개념
○윤평현(2008:137~139): 서로 반대되거나 대립되는 의미를 가진 단어 사이의 의미 관계를 반의관계라고 하며 반의관계에 있는 단어를 반의어라 한다. ‘남편’과 ‘아내’와 같이 반의 관계는 의미상 많은 공통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오직 하 나의 차별성이 있을 때 성립한다. 즉, 반의관계는 서로 반대되거나 대립되는 의 미를 가진 단어 사이의 의미관계이며, 반의관계는 두 단어가 의미상 여러 가지 공통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만 하나의 매개변수(parameter)가 다름으로 해서 성립한다고 할 수 있다. 다음은 반의 관계의 성립 조건이다.
1) 동질성의 조건 - ➀ 동일 의미영역, ㉡ 동일 어휘범주
2) 이질성의 조건 - 대조적 배타성
나. 반의어의 유형(윤평현(29008:141~148)
○상보 반의어: 양분적 대립 관계. 상호 배타적 영역을 말한다. 예) ‘남자’와 ‘여 자’. 어떤 사람이 남자이면 그 사람은 필연적으로 여자가 아니며, 반대로 어떤 사람이 남자가 아니면 그 사람은 여자이다.
○등급 반의어: 두 단어 사이에 중간 상태가 있을 수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한 쪽 을 부정하는 것이 바로 다른 쪽을 의미한다.
예) 뜨겁다 - (따뜻하다) - (미지근하다) - (시원하다) - 차갑다
○관계 반의어: 두 단어가 상대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면서 의미상 대칭을 이루 고 있다. 예) ‘남편’과 ‘아내’, ‘주다’와 ‘받다’
③ 상위어, 하위어
가. 상하관계의 개념(윤평현, 2008:152~153)
- 한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단어의 의미를 포함하는 관계를 가리킨다. 포함관계 라고도 한다.
- 상하관계에 있는 단어는 계층적 구조 속에 있는데, 계층적으로 위에 있는 단 어를 상의어 또는 상위어라고 하고, 아래에 있는 단어를 하의어 또는 하위어 라고 한다.
나. 상하관계의 특성: 이행성과 함의
Ⓐ 파생어 (구본관, 2002)
- 파생어는 일반적으로 어기의 의미에서 파생접사의 의미를 더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어휘부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예측하기 어려운 측면들을 포함하 고 있다. 파생어가 만들어지고 나면 하나의 완성된 단어로서 통시적인 의미 표류 를 경험하게 되므로 파생어의 의미를 어기와 파생접사와의 관계 속에서 파악하기 가 쉽지 않다. 파생어 형성에서의 의미를 다루기 위해서는 어기, 파생접미사, 파 생어의 의미를 전체적인 구조 속에서 파악하여야 한다.
2.4. 연구 결과의 적용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1단계)’의 어휘 정보는 <한국어 기초사전>의 관련어 정보 체계에 따르되, 한국어 교육 자료로서의 효용성을 고려하여 몇 가 지 정보를 추가 제시하고 있다. <한국어 기초사전>은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 로 한 웹 기반의 사전으로 <표준국어대사전>의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관련어 정보를 제시하고 있다.
- 유의어, 반대말, 큰말, 작은말, 센말, 여린말, 참조어, 본말, 준말, 높임말, 낮춤말
○이들 정보는 일반적인 사전 편찬의 측면에서 볼 때에는 사전의 미시 구조의 한 부분으로 개별 어휘의 의미 또는 형태에 관한 사전적 정보이다. 하지만 <한국 어 기초 사전>의 주 사용자가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라는 점에서 본다 면 각각의 정보는 사전적 정보를 넘어 한국어 어휘의 이해와 사용에 관한 지식 의 측면이 부각된다. 다음은 한국어 교육 내용 자료로서 ‘한국어 교육 어휘 내 용 개발(1단계)’와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어휘 정보의 의의를 간략히 정리한 것이다.
- 유의어, 반의어, 상위어, 하위어, 참조어: 어휘의 의미 관계를 바탕으로 한 효 율적인 어휘 확장
- 센말/여린말, 본딧말/준말: 형태상 관련어 지식에 기초한 풍부한 어휘 사용 및 확장
- 파생어: 단어 형성의 원리에 따른 어휘 사용 전략 및 확장
- 높임말/낮춤말: 한국의 사회문화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어휘 사용에 관한 지식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2단계)’의 관련어 정보는 이상과 같은 교육적 효 용성에 따라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1단계)’과 동일한 체계로 제시할 것 이다. 여기에 ‘중급’ 단계의 학습자에게 적절한 어휘의 난이도나 실제 교수 현 장에서의 확장 가능성을 고려하여 제시 범위나 제시 어휘를 통제할 것이다.
○다음은 관련어를 포함한 어휘 정보 구축을 위해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
(2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다.
<표 19>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2단계)’을 위한 어휘 정보 모형 수정을 위한 고려 사항
구분 | 1단계 | 2단계 수정 모형 설계 시 고려 사항 |
구성 항목의 적절성 | 3단계(고급)까지의 연계성, 확 장성을 고려하여 설계한 기본 모형 | ‘중급’ 단계의 어휘 정 보로서의 항목별 적절성 |
구 구성 정보 | 한국어 기초사전에 제시되어 있는 정보들을 최대한 제시함 | 제시 범위 고려 |
관련어 | 지나치게 어려운 어휘, 잘 쓰 이지 않는 어휘는 제외함 | 제시 어휘의 범위 |
화용 정보 | 초급 단계의 어휘 특성상 1단 계에서는 다양한 정보가 제시 되지 못함 | ‘중급’ 단계의 어휘 정 보로서의 확장성 |
난이도 | 관련어 중 1,836개의 초급 단 계 어휘에 *표 부착 | 초급 단계의 어휘와 중급 단계의 어휘를 구분 제시 하기 위한 방법 설계 필요 |
기타 | 관련어 정보가 달라지는 경우 초급 단계에서 유의미한 다의 항목을 구분하여 처리함 | 중급의 어휘량을 고려할 때 다의 항목의 수가 확장 될 수 있으므로 체계적인 기준 마련이 필요함 |
3. 국외 한국어 교육 어휘 목록 및 내용, 외국어 교육 어휘 목록 및 내용 조사·분석
3.1. 기본 방향
○본 연구에서는 국외 한국어 교육 어휘 목록 및 내용, 외국어 교육 어휘 목록 및 내용의 조사․분석을 통해 한국어 교육 어휘 선정 및 내용 개발을 목표로 하는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의 선택과 방향 설정을 위한 근거로 삼고자 하였다.
3.2. 연구 방법 및 대상
○ 조사 대상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 20> 국내외 어휘 선정 목록 조사 대상 및 내용
조사 대상 | 조사 내용 | 조사 목적 |
국외 한국어 교육 어휘 목록 | ○선정 기관 ○선정 어휘의 성격(어휘 선정 목 표 및 활용) ○선정 어휘 수 ○등급 | 본 연구의 선정 목록의 타당성 확보를 위한 참조 목록으로 활용 |
○선정 기관 | ||
○주 사용자(대상) | ||
외국어 교육 어휘 목록 | ○선정 어휘의 성격 ○등급 ○선정 어휘 수 | 연구 방법 및 방향 설정을 위한 참조 자료로 활용 |
○선정 방법 및 절차 | ||
○기타 특징 |
3.3. 세부 연구 내용
3.3.1. 국외의 한국어 교육 어휘 선정 자료
○국외에서 선정, 공개된 한국어 교육 어휘는 찾아보기가 힘들다. 현재까지 조사 된 자료는 최근 중국 교육부에서 선정한 『朝鲜语专业四级测试参考词汇』는 초 급과 중급 단계의 어휘를 포함한 목록으로 그 개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자료명:『朝鲜语专业四级测试参考词汇』
- 선정 기관: 중국 교육부,『朝鲜语专业四级测试参考词汇』
- 성격: 중국에서의 대학 수학 능력 평가 시험 출제를 위한 한국어 교육 참조 어 휘 목록
- 선정 어휘 수: 5,436개 (연구진 목록 보유)
- 등급: 중급 수준까지의 어휘 포괄
3.2. 외국어 교육 어휘 선정 자료
(1) 중국어 교육용 어휘 선정 자료
① 한어수평어휘 및 한자 등급대강(汉语水平词汇与汉字等级大纲)(1992)
○총 어휘수: 8,822개
○등급: 상용성 정도를 기준으로 갑, 을, 병, 정 4개 등급으로 나누었으며, 이는 대 외 중국어 '기초, 초급, 중급, 고급' 과 대응된다.
<표 21> 한어수평어휘 및 한자 등급대강의 등급별 어휘 수
어휘량 | 어휘 수 | 학습자 중국어 수준 |
갑급 상용어, 일부 을급 어휘 | 1,033 | 기초 |
갑을 상용어 | 3,051 | 초급 |
갑을병 상용어 | 5,253 | 중급 |
갑을병정 상용어 | 8,822 | 고급 |
○선정 방법
- '현대한어빈도사전’을 주요 근거로, 기타 어휘 빈도 통계 자료를 참고 자료 로 하고, 실제 의사소통의 필요에서 출발하여, 전문가 개입으로 선정
○한계
- '대강’이 근거로 하고 있는 어휘빈도자료는 단순한 어휘빈도만을 근거로 하고 있으며 단어의 다의적 의미와 같은 것을 고려하지 않음.
- 7권의 빈도사전을 참고로 하였는데 대부분 90년대 이전의 것임.
- 단어가 아닌 단어형성소(词素)도 수록
- 대부분 학자들이 어휘량이 적음을 지적함. 10,000~12,000(姜德梧), 15,000개 (李清华)가 적당하다고 주장함.
Ⓒ 중급 한어 어휘 대강
○총 어휘 수: 1,740 (갑 20, 을 480, 병 1000, 정 140, 超纲词 100)
○선정 방법
- 국내외 기초한어 교재 어휘의 조사 통계
- 초, 중급 정독(1991~1993) 과목 시험문제 분석
- 국내외 중, 고급 한어 교재 어휘 조사 통계
- 국내외 관련 사전, 빈도사전, 교수 대강(大纲), 능력 등급 대강
- 빈도 외 장르, 한어의 특징(조어, 결합 등) 등 고려하여 선정
(2) 영어 교육용 어휘 선정 자료
<표 22> 영어 교육용 어휘 선정 자료 정보
어휘 목록명 | 연구자 (기관) | 대상 | 성격 | 등급 | 어휘 수 | 선정 방법 및 절차 | 목록의 활용 등 |
The | Edward L. | 교사 | 중요어휘 | 전체 | 30,000 | 아래의 자료의 빈도를 a-z순으로 | 교사는 가르칠 학급의 |
teacher's | Thorndike | (고빈도 | 등급 | 나열 | 수준과 학습 목표에 따라 | ||
word | and Irving | 어휘) | 1) (T)Thorndike(1931) | 아래의 내용을 활용할 수 | |||
book of | Lorge | 2) (L)theLorge잡지 | 있음 | ||||
30000 | 3) (J)120권의 청소년 문고 | 1) (T)빈도가 높은 것은 | |||||
words | 4) (S)the Lorge-Thorndike | 주로 독해 환경에서 활용될 | |||||
semantic count | 수 있다. 교재와 성경, 영어 | ||||||
고전의 빈도를 가리킨다. | |||||||
2) (L)잡지에 나온 빈도 | |||||||
수이므로 최근 자주 | |||||||
사용되는 말을 나타낸다. | |||||||
3) (J)빈도가 높은 것은 | |||||||
3-8학년에 해당되는 청소년 | |||||||
문고에 자주 나오는 | |||||||
단어임을 가리킨다. | |||||||
4) (S)빈도는 청소년, 성인 | |||||||
문학, 이전, 최근 등의 여러 | |||||||
영역을 아우름, 단 교재는 |
어휘 목록명 | 연구자 (기관) | 대상 | 성격 | 등급 | 어휘 수 | 선정 방법 및 절차 | 목록의 활용 등 |
제외 | |||||||
- | Faucett,L. W.H.E.Pal mer,etal. | 교사 | - | - | - | 1) 어휘 선정 목적 검토 2) Faucett-Maki Thorndike Horn에서 빈도가 높은 순위를 차지한 1,500개의 단어를 포함한 것을 검토. 이때 의심스러운 것은 개별적으로 논의함. 이를 통해 두 개의 잠정적인 리스트 확보 (a) 목록에 편입되어야 바람직한 것으로 보이나 재고의 가능성은 열어 두는 목록 (b) 후에 재고의 여지가 있는 목록. 이와 같이 어떤 목록도 목록에 확실히 포함되지 않는 단계 3) (a) 목록에 관하여서는 제외할 단어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 첫 번째와 두 번째 Interim Reports에 포함되었던 단어를 고려한다. (b) 목록에 관하여서는 F.M.T.H.에 포함되어 있는 단어를 다시 생각해 본다. 그리고 Interim | 어휘 선정 목적 1) 특정 목적에 치우쳐 있는 어휘는 제외 2) The "Foundation" Stand point: 학습자들은 이 어휘 목록을 바탕으로 자신의 학습을 확장시켜 나간다. 3)The" Standardised Examination "Stand point: 시험에의 활용 4) Purification of Style: 특정문체지양 5)The Stand point of the Practical Teacher: 교사의 수업 자료, 교재의 기반으로 활용 6) The Stand point of the Education: 교육학자들의 활용 7) The Stand point of the Textbook Simplifier: 교재 |
어휘 목록명 | 연구자 (기관) | 대상 | 성격 | 등급 | 어휘 수 | 선정 방법 및 절차 | 목록의 활용 등 |
Report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단어를 목록화한다. 이 작업 이후에 위의 선정 목적 및 원리를 재정비한다. 4) I.R.E.T. List 및 F.M.T.H. List와 공통되는 잔여 어휘들을 다시 검토한다. 5) 아직 고려하지 않았던 West's Defining Vocabulary에 포함되어 있는 단어를 검토한다. 6) F.M.T.H. List에서 선별된 단어들을 검토한다. 7) 다른 어휘 목록 10개를 검토한다. 8) 이미 받아들이기로 한 단어의 수를 센 후에 2)에서 만든 두 개의 리스트의 단어들을 재검토한다. 이 두 개 리스트에 있는 단어들은 위원회에 의해서 개별적으로 검토된다. 8개월 후에 만나서 이들 목록에 대한 회의 진행을 통하여 결정한다. | 만드는 데 있어서의 활용 8)The Stand point of English as a Lingua Franca: 영어가 공통어로서의 역할을 하는 곳에서의 역할 9) The Tourist and Traveller Standpoint: 여행자들을 위한 어휘 자료로 제공 |
어휘 목록명 | 연구자 (기관) | 대상 | 성격 | 등급 | 어휘 수 | 선정 방법 및 절차 | 목록의 활용 등 |
- | Institute for Research in English Teaching. Department of Education | 학생 및 교사 | - | - | 3,000 | 1) 빈도가 높은 것 2) 더 넓은 범위에 있는 것(일반적인 단어(generalwords)>환경에 따른 단어(environmentalwords)) 3) 일반적인 단어 중에서도 우선순위는 필수적 단어(essentialgeneralwords)가 된다. 4) 합성어 중 띄어쓰기가 없는 합성어 선정 5) 빈도를 셀 경우에는 만약 'friend, friendship, friendly' 등등의 'friend'가 공통으로 들어가 있는 단어들이 나올 때 이들의 빈도를 모두 세서 'friend'의 빈도로 포함시킨다. 이것은 리스트에 나열할 경우에도 적용된다. 우선 friend를 표제어로 놓고, 그 아래에 파생어를 모두 기재한다. 6) 의미 및 개념을 고려하여 | 목표: 영어로 읽기, 말하기, 쓰기 활동 신장을 위해 최소한의 사전 사용을 허용하면서 수업 활동을 도모함. |
어휘 목록명 | 연구자 (기관) | 대상 | 성격 | 등급 | 어휘 수 | 선정 방법 및 절차 | 목록의 활용 등 |
어휘를 선정한다. | |||||||
Basic English | Ogden,C.K. | 기본 어휘 | 초급 | 850 | 1. 이 목록은 기초 단어 외에도 과학, 국제 관계, 상업 분야의 단어들을 포함하고 있음 2. 범주별 어휘 수 1) 작동/작용(operation): 100개 2) 사물(Things) -일반 어휘: 400개 -그림이 제공될 수 있는 어휘: 200개 3) 질(qualities) -일반 어휘: 100개 -반의어: 50개 | 1. 목록의 특성 이 목록은 600여 개가 일반적인 의사소통에 활용될 수 있는 것이고, 나머지는 과학 분야에서 온 것임 2. 목록의 활용 정부 차원의 공식적인 영어 단어 목록, 기초-초급 단계의 학습용 목록 | |
General Service List(GSL) | 웨스트(Wes t,M 1953), | 기본 어휘 | 초급 | 2,000 | 빈도순으로 정리해 놓음 | ||
Academic Word List | Averil Coxhead | 학문 목적 | 학술 기본 어휘 | 570개의 단어족 | 1. 선정 방법 1) 28개의 주제를 4개의 과목, 교양, 상업, 법, 과학의 하위 7개 영역으로 나누어 분류함 2) 4,000,000어절을 목표로 | 학문 목적 학습자들을 위한 교수 및 학습 자료로 활용 1) 간접적 자료 2)직접적으로 자료 활용: 빈도로 끊어서 배우게 할 |
어휘 목록명 | 연구자 (기관) | 대상 | 성격 | 등급 | 어휘 수 | 선정 방법 및 절차 | 목록의 활용 등 |
하였으나 여건상 3,500,000어절을 구축함. 400명 이상의 저자에 의한 414개의 학술 텍스트 포함. 3,513,330토큰, 70,377타입. 위에서 말한 네 개의 과목 각각에 약 875,000개의 단어가 포함되어 있음. 158개의 학술 저널의 논문, 인터넷에서 수집한 51개의 학술 논문, 43권의 대학 교재, Bauer(1993)의 Wellington 구어 코퍼스의 Learned and Science분야에서의 42개의 텍스트, BrownCorpus(Francis&Kucra,198 2)의 Learned and Science분야 41개의 텍스트, Johansson(1978)의 Lancaster-Oslo/Bergen(LOB)에 서의 Learned and Science분야에서 대학 교재 33개 챕터, 31개의 텍스트, MicroConcord의 학술 코퍼스의 | 수 있고, 언어 인식 고양(awareness-raising) 등의 활동을 통해 교수, 학습에 활용 가능 |
어휘 목록명 | 연구자 (기관) | 대상 | 성격 | 등급 | 어휘 수 | 선정 방법 및 절차 | 목록의 활용 등 |
학술적 텍스트에서의 13개의 텍스트(Murison-Bowie, 1993), 2개 대학 심리학 실험실 지침서. 다양한 나라에서 쓰여진 텍스트 반영(영국, 뉴질랜드, 미국, 캐나다 등) 3) 단어족의 개념(wordfamily) 채용 4) 접두사, 접미사의 개념(specify, special에서 spec이 공통되기는 하나 독립적으로 쓰이지 않으므로 포함되지 않음. 따라서 special, specify는 같은 어족이 아님 2. 선정 기준 1) 특화된 분야에서의 출현: GSL(West,1953)의 2000개 목록 제외 2) 범위(Range): 네 가지 분야에서 고루 10번 이상 나타났으며 28개 주제 중 15개의 주제에 걸쳐 나타났는지를 살핌. |
어휘 목록명 | 연구자 (기관) | 대상 | 성격 | 등급 | 어휘 수 | 선정 방법 및 절차 | 목록의 활용 등 |
3) 빈도(Frequency): AcademicCorpus에서 100번 이상 출현 *만약 어떤 텍스트가 매우 길면 빈도에 포함이 되어 빈도 수가 높아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므로 범위가 빈도에 우선함 | |||||||
Academic Vocabualr y List | Campion and Elley(1971) | 학문목 적학습 자(EA P) | 학술 어휘 | - | - | 1) 23개의 교재, 저널로 출판된 19개의 강의, 대학교의 시험지들 2) 19개의 학문적 주제 분야의 코퍼스를 구축하여 Thorndike and Lorge's(1944) 목록을 제외함. 또한 한 개의 과목에서만 나온 것도 제외함 3) 301,800개 어절 코퍼스: 교과서에서의 234,000개 단어, 저널 기사의 57,000개의 단어, 시험지의 10,800개 단어 4) 원어민 화자의 단어에 대한 친숙도를 기본으로 하여 어휘 선별 |
어휘 목록명 | 연구자 (기관) | 대상 | 성격 | 등급 | 어휘 수 | 선정 방법 및 절차 | 목록의 활용 등 |
American University Word List | Praninskas( 1972) | 대학생 | 학술 어휘 | 대학 영어 수준 | 30,844 types and 272,473 tokens | 1) American University of Beirut에서 필수적으로 읽어야 하는 학부 1학년 수준의 교양 및 과학 교재 10권 2) 272,000여 개 어절 | 학술적 어휘들을 가르치도록 설계된 교재에서 활용 |
- | Lynn (1973) | 전반 | 전반 | 구분 없음 | 197word families | 대학에서 읽는 교재 52권, 회계학, 경영학, 경제학 전공의 학생 50명의 네 개 반에서의 유인물 | |
- | Ghadessy (1979) | 전반 | 전반 | 구분 없음 | 795 | 코퍼스 기반 (화학, 생물학, 물리학에서의 20권의 대학 교재 478,700개 어절의 코퍼스) | |
University Word List | Xue and Nation (1984) | 영어권 대학에 진학하 기 위한 준비생 | 학술 기본 어휘 | 모든 수준(1 -11까 지의 레벨 로 나뉨) | 808 | Campion and Elley(1971), Praninskas(1972), Lynn(1973), Ghadessy(1979) 목록의 메타분석 | 학술적 어휘들을 가르치도록 설계된 교재에서 활용 |
(3) 일본어 교육용 어휘 선정 자료
<표 23> 일본어 교육용 어휘 선정 자료 정보
어휘 목록명 | 연구자 (기관) | 대상 | 성격 | 등급 | 어휘 수 | 선정 방법 및 절차 | 목록의 활용 등 |
基礎日本語 | 土居光知 (1933) | 외국인 | 기초어휘 | 초급 | 1,000 | 1) Ogden이 고찰한 Basic English에서 간접 영향을 받아 단순하면서도 분명한 의사 전달을 할 수 있는 어휘를 선정하는 것을 목표로 함 2) 초등 교육, 조선, 대만, 만주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일본어 교육에 사용 | |
基礎日本語 | 文部省 (1934) | 외국인 | 기초어휘 | 9,000 | |||
日本語基本語彙 幼年の部 | 坂本一朗 (1984) | 외국인 | 기본어휘 | 5,000 | 아동(초등 3이하)을 위한 이야기 10종 127권에서 어휘 범위와 빈도를 기준으로 어휘 선정 | ||
日本人の読み書き能力 | 読み書き能力調査委員会(1951) | 내국인 | 학력 조사용 어휘 | 66,017 |
어휘 목록명 | 연구자 (기관) | 대상 | 성격 | 등급 | 어휘 수 | 선정 방법 및 절차 | 목록의 활용 등 |
基礎語彙調査表 | 腹部四郎編 (1957) | 기초어휘 | 457 | ||||
現代雑誌九十種の用語用字 (第一册 ~第三册) | 国立国語研究所 (1961-4) | 내국인 | 기본어휘 | 40,016 | 1. 90종의 잡지를 분류하고 표본 추출 2. 통계 처리(빈도, 사용률) 3. 빈도 7 이상의 어휘 제시 | ||
日本語教育における基礎学習語 | 加藤彰彦 (1963,4) | 외국인 | 기초어휘 | 1,393 | |||
日本語教育基本語彙七種比較対照表 | 国立国語研究所 (1982) | 외국인 | 기본어휘 | 6,195 | |||
外国人に対する日本語教育の振興に関する報告書 | 文化庁文化部国語課 (1983) | 외국인 | 대학 학습에 필요한 어휘(기초 어휘+ 전문용어) | 5,167 | 1. 국립국어연구소의 일본어 교육을 위한 기본어휘 6,000어(1차통계)에서 선정된 약 3,620어를 제1차 기준으로 함. 2. 덜 중요한 1,546어를 제 2수준으로 선정 | 대학(교양과정)에서 공부하려고 하는 외국인 유학생이 교양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능력을 두 개의 수준으로 나누고, 각각의 언어 요소별로 |
어휘 목록명 | 연구자 (기관) | 대상 | 성격 | 등급 | 어휘 수 | 선정 방법 및 절차 | 목록의 활용 등 |
표준표를 제시하고 있음. 1차 수준은 '기초적인 능력', 2차 수준은 '거기에 더하여 획득해 두어야 하는 능력' | |||||||
日本語教育のための基本語彙調査 | 国立国語研究所 (1984) | 외국인 | 기본어휘 | 6천 (6,060) 2천 (2,030) | 1. '분류어휘표 (국립국어원,1964)의 단어를 대상으로 제1차 전문가(22명) 판정: 기본 어휘로6,000어 추출 2. 다른 일본어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어휘표, 빈도 조사 결과 등의 비교 대조- '일본어 교육 기본어휘 7종 비교 대조표(국어원,1982)'와 목록 대조 3. 제2차 선정을 위한 어휘 대장 작성: '1차 판정 결과와 목록 대조 결과를 더한 선정용 대장 작성 4.제2 판정: 1차 판정된 어휘 중에 가장 기본적인 2,000어 재추출 | 유학생 등 외국인인 일본어 학습자가 전문 영역의 연구 혹은 직업 훈련에 임하는 기초로 학습해야 하는 일본어의 일반적, 기본적인 어휘에 대한 타당한 표준을 얻기 위한 어휘 | |
日本語能力試験 | 国際交流基金․日本国 | 외국인 | 일본어 학습 | 1급 (7,800) | 1,2급: 分類語彙表(1964), 日本語教育のための基本語彙調査( |
어휘 목록명 | 연구자 (기관) | 대상 | 성격 | 등급 | 어휘 수 | 선정 방법 및 절차 | 목록의 활용 등 |
出題基準 | 際教育協会編(2002) | 정도 및 능력 측정 | 2급 (4,833) 3급 (1,315) 4급 (679) | 1984)에서 선정 3,4급: 자주 사용되는 일본어 교과서 11종을 대상으로 중복도 4인 어휘 선정 | |||
中級用語彙ー基本4 000語ー | 玉村文郎 (2003) | 외국인 | 기본어휘 | 중급 | 4,000 | 1. 자료: '実用和英辞書’(玉村、1970)、’日本語教育基本2,570g語’(玉村198 7) 2. 어휘 크기를 4,000으로 잡은 이유: 종래의 일본어 능력시험 3급(1,500어), 2급(6,000어)의 중간 단계에 있는 것으로 4,000어를 선정 3. 선정 범위: 다방면에서 사용되며 특히 학술, 연구 분야에서 필요하다고 본 것을 중심으로 선정함 | |
分類語彙表(増補改 | 国立国語研究所 | 범용 | 약 9만 6천 |
어휘 목록명 | 연구자 (기관) | 대상 | 성격 | 등급 | 어휘 수 | 선정 방법 및 절차 | 목록의 활용 등 |
訂版) | (2004) | ||||||
教育基本 語彙の基 本的研究 増補改訂 版 | 国立国語研究所 (2009) | 외국인 | 교육용 기본 어휘 | 약 4,000 |
3.4. 연구 결과의 적용
○외국어교육에서 선정한 어휘 교육 목록을 조사해 본 결과, 다양한 목적과 대상, 연구 방법을 통해 어휘를 선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언어권별로 그 선정 시 기가 매우 앞서거나 최근임에도 불구하고 자국어 빈도 사전이나 말뭉치 분석을 통한 객관적인 방법과 전문가의 경험적 직관에 의한 주관적인 방법의 절충을 통 해 어휘 목록을 선정하고 있었다. 이러한 방법론을 통한 과정과 결과를 두고 가 장 쟁점이 되는 것은 역시나 최종 목록의 수, 수록 어휘의 범위(포함 어휘 유형) 와 말뭉치의 구성과 활용, 선정 자료의 활용적 측면임을 알 수 있었다.
○영어권 어휘 선정 자료의 경우 어휘 선정 목적에 따라 다양한 말뭉치와 선행연 구에서 선정한 다양한 목록들을 참조 대상으로 하여 단계별로 정교하게 계량하 여 최종 목록을 선정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이는 초급 단계를 넘어서 전체 숙 달도 단계를 포괄하는 광범위한 어휘 선정 방법으로 합리적인 선택으로 파악되 었다. 한편, 일본어권에서도 다양한 목적과 대상을 위한 어휘를 선정해 왔는데, 언어 유형적으로 한국어와 공통적인 특성이 많음을 고려할 때 특히 ‘중급’ 단계의 적정 어휘 수에 대한 참고가 된다. 아래의 두 결과를 보면 ‘중급’ 단 계의 어휘 수는 대략 4,000개 내외로 범위가 귀결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언 어권별로 중국어에서의 ‘한어수평 어휘 및 한자 등급대강’의 경우 5,253개, ‘Institute for Research in English Teaching’에서 선정된 영어 어휘의 경우 3,000개임을 볼 때 언어의 유형적 특성과 포함 어휘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 다. 하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3,000-5,000개의 사이에 분포되어 있음은 본 연구 에서 선정하고자 하는 ‘중급’ 단계의 어휘의 적정 수를 가늠하는 데에 좋은 지표가 되었다.
1. 일본어능력시험 출제 기준
(1) 어휘 수: 1급(7,800), 2급(4,833), 3급(1,315), 4급(679)
(2) 선정 방법: 1, 2급-分類語彙表(1964),
日本語教育のための基本語彙調査(1984)에서 선정
3, 4급-자주 사용되는 일본어 교과서 11종을 대상으로 중복도 4인 어휘 선정
2. 玉村文郎(2003), 중급용 어휘-기본어 4,000어
(1) 선정 어휘 수: 4,000개
[참고] 일본어교육에서 선정한 중급 단계의 어휘 수
(2) 선정 방법: '실용일본어사전’(玉村、1970)、 ’일본어교육기본어2,570어’(玉村1987)분석
(3) 4,000의 근거: 종래의 일본어 능력 시험 3급(1,500어),
2급(6,000어)의 중간 단계로 4,000어 선정
○국외의 한국어 교육 어휘 목록으로 조사된 『朝鲜语专业四级测试参考词汇』은 그 목적에는 차이가 있지만 숙달도 단계에서 대략 중급 단계까지의 어휘를 포 괄하는 목록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최종 선정하게 될 목록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중급 단계의 어휘 목록이 공통적으로 지향하는 바와 국내와 국외(중국),
일반 외국인 학습자, 대학 수학 능력 평가를 치르게 될 고등학생으로 달라지는 변인에 의해 변별되는 목록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한국어 교 육 어휘 내용 개발(1단계)’ 연구에서 선정한 ‘초급’ 단계의 목록을 누적한 목록 을 사용한 작업이 될 것이다.
4. 기타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을 위한 사항
4.1. 기본 방향
○기타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2단계)’을 위한 사항에 관한 연구는 본 연구 를 통해 선정하게 될 일반 외국인을 위한 중급 단계의 어휘 목록과 어휘 교육 내용이 현장에서 실용적으로 활용되도록 하기 위한 고려 사항이나 추가적으로 필요한 항목 개발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어 어휘 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의 분석을 통해 그 내용을 구체화하고 현실화하 는 방안을 모색고자 하였다.
4.2. 연구 방법 및 대상
○연구 방법은 ‘중급’ 단계의 어휘 교육의 원리, 방향, 교수 방법 및 모형 개발, 어휘 교수 활동에 관한 선행연구와 이론을 조사, 분석하는 문헌연구에 따랐다.
4.3. 세부 연구 내용
4.3.1. 단어 형성 원리를 이용한 교육
○초급에서는 기초 어휘를 중심으로 모어에 기댄 단순 암기를 통해 학습자의 어 휘부에 어휘를 기억시키는 데에 초점이 있었다면, 중급에서는 단어 형성 원리 를 통한 체계적인 어휘 확장을 도와야 한다(문금현, 1998; 조현용, 2007:135-7; 조현용, 2008; 신의삼, 2010).
○단어 형성 원리를 위한 교수는 학습자들의 어휘 확장에 효과를 보인다(정선영, 2010; 최현정, 2012).
○파생어의 경우, 사용 빈도 및 파생의 생산성, 교육의 편이성 등을 기준으로 접 사의 목록을 마련해야 하며, 대표 어근을 정하여 합성법에 의한 어휘 확장을 실시할 수 있다(김정은, 2003: 115). 접사를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로 구분하 여 설명하는 것도 어휘 확장을 위한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문금현, 2011).
○학습자들이 단어 형성 과정에 대한 지식을 알게 되면 형태소를 인식함으로써 맥락 안에서 단어의 의미를 추측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Rivers, 1981: 465).
○단어 형성 원리는 신조어 교육에도 매우 효율적으로 작용할 것임. 모국어 화자 들은 형태소들을 분해 혹은 결합을 하며 신어를 생성하고 있는데, 교실에서 신 어를 특별히 교수할 수 없는 것을 고려한다면 단어 형성 원리를 통해 신조어를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이우승, 2007: 40-1). 중급 이상의 학습자들에게 단어 형성 원리를 통해 신어를 교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시내(2010)이 2006년, 2007년도의 신조어 825개의 조어법을 조사한 결과, 단일 어는 10개로 매우 적었으며 합성법(50.42%)과 파생법(특히 접미 파생어 32.73%)로 대부분의 신조어가 파생과 합성의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밝 혀졌다. 그는 이를 통해 ‘구조적 유사성’과 ‘의미 구성’에 따른 신조어 교육 방 안을 제시한 바 있다. 윤이나(2012)년에서도 2000년부터 2007년까지의 신어 를 조사한 결과 약 90%의 신어가 복합어로 되어 있다는 결과를 얻었으며 단어 형성법을 통한 신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4.3.2. 의미 관계를 이용한 교육
○중급의 어휘는 초급에서 배운 어휘가 다의 관계를 보이며 확장하고 유의어, 반 의어 등의 다양한 어휘 관계가 나타나기 때문에 더욱 복잡하다(이정희·서진숙, 2010). 따라서 학습자들의 체계적인 어휘 학습을 위해서는 중급 단계에 접어들 면서 학습자들의 어휘 관계를 견고히 하는 여러 교육 활동이 필요하다(신의삼, 2004; 김지연, 2011; 이유경, 2012 등).
○어휘는 대개 그룹으로 가르칠 때 더 효과적이다. 때때로 어떤 어휘는 다른 어휘 와 맺는 관계를 통해 새로이 습득되기도 하며, 어휘 간의 관계는 어휘 학습 과 정을 단순화시킨다(Lewis, M. & Hill, J., 1992: 110).
○의미 관계를 이용한 어휘 지도의 의의(정지영, 2006: 53-4)
- 학습자의 인지적 부담을 덜어 주어 결과적으로 많은 양의 어휘를 효율적으로 학습하게 함.
- 어휘 체계에 기초한 체계적인 어휘 학습이 가능함.
- 기본적으로 학습자의 인지 방식에 부합함.
- 어휘력의 양적·질적 확대에 효과적임.
○의미 관계를 이용한 교육 이론(배성숙, 2007: 14-20)
- 의미장 이론: 의미장은 단어의 의미를 보다 정밀하게 기술하려는 노력으로 단어를 보다 작은 의미들의 구조체로 인식하고 그 구조를 밝히려는 것이다. 의미장 이론이 교육적으로 가지는 의미는 어휘가 고립된 요소들의 끊임없는 목록이라는 잘못된 생각을 버리게 할 수 있으며 의미장을 통해서 어휘가 조 직화된 체계라는 것을 알 수 있게 한다는 점이다. 나아가 어휘 지도와 학습도 체계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Maiguachca, 1984: 282-3, 재인용).
- 의미 분석 이론: 의미관계를 보다 체계적이고 간결하게 기술하기 위하여 음운 론의 방법을 의미 연구에 도입하듯이 어휘의 의미를 일련의 의미자질들의 집 합으로 간주하고 이들에 의해서 단어의 관계를 기술하려는 것이다. 개별의미 영역에 속한 어휘들의 의미차를 밝히는데 효과적이다.
○어휘의 의미 관계 유형
<표 24> 어휘의 의미 관계 유형
연구자 | 하위 유형 |
Lewis, M. & | 유의어, 반의어, 보어(complements)3), 역관계, 하위어 |
Hill,J.(1992) | |
한정일(1999) | 1) 단일 어휘 내부의 의미 관계: 당의 관계, 동음 관계 2) 어휘들 사이의 의미 관계: 동의 관계, 대립 관계, 상하관계 |
정지영(2006) | 유의관계, 반의관계(대립관계), 상하관계 |
이우승(2007) | 상의어와 하의어, 반의어, 유의어, 다의어, 동음이의어, 음성상징 어 |
오언여(2012) | 유의관계, 반의관계, 상‧하의관계, 전체-부분관계, 일반-구체관계 등 |
4.3.3. 주제를 이용한 교육
○어휘 목록은 난이도를 기반으로 작성하되 학습 목적, 주제 영역 등에 따른 활용이 가능하도록 제공되어야 현장에서의 활용도가 높다(이혜영, 2006). 이러한 주제 중 심의 어휘 목록이 제공된다면 학습자들의 어휘력 신장에 도움이 될 것이다.
○최문주(2013)의 연구에 따르면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 따 르면 주제 중심으로 어휘를 학습한 학습자들의 경우, 그렇지 않은 학습자들에 비해 지필고사의 점수와 문장 형성 능력이 크게 향상됨을 보여 주제 중심 어휘 교수가 학습자들의 어휘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하고 있다.
○어휘 선정 및 교육은 빈도뿐만이 아니라 주제를 고려해야 한다. 이때 주제별 등 급에 따른 구별 및 제시가 반드시 필요하다(강현화, 2005; 백승희, 2009). 예 를 들어 색깔 어휘를 가르친다면 색깔을 나타내는 어휘 중 초급에 가르칠 어휘 목록과 중급과 고급에서 가르칠 어휘 목록에 대한 전체적인 어휘 교수요목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4.3.4. 한자어를 이용한 교육
○한국어의 어휘의 대다수(약 60%)가 한자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한자어를 통 한 어휘 확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윤혜숙(2003)에서 는 베트남어 모어 화자들의 어휘 오류 분석을 통해 한자어 교육을 통해 학습자 들의 오류를 줄이고 어휘 형성법을 이해해 어휘력 확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3) 두 단어 중에서 하나가 자동적으로 다른 하나를 배제시키는 것(single/married)
주장한다. 특히 한자어를 고려하여 True friend의 어휘 목록을 만들고 이를 어 휘장과 어휘망의 방법을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반면, 중국인을 위한 한자어 교육의 필요성도 대두되었다(윤윤진, 2008; 오성 애, 2008; 고암, 2011; 이진선, 2013; 전용, 2013 등). 이들 연구에서는 중국 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자 문화권 학습자이기 때문에 한자어와 관련된 오류 를 많이 범한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이러한 차이를 극복하여 궁극적으로 한국어 의 한자어가 학습자들의 어휘력 신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고 본다. 특히 고빈도로 단어 형성에 사용되는 한자어 목록을 중심으로 어휘망을 만들어 본다면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를 비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하였다.
○마금선(2010)에 따르면 중국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교과서인 연변대학의 한국 어 교재를 분석해 본 결과, 중급 단계에서 한자어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밝 혀졌다. 이를 통해 그는 학습자들 스스로 한자어 어휘를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학습 전략을 4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표 25> 한자어 학습 전략
구분 | 설명 |
대조분석 전략 | 동형이의어, 동음이의어 등의 대조표를 제시하여 학습자 들의 대조분석 전략 사용에 도움을 줌. |
정의적 전략 | 한자어 교육을 통해 어휘 영역에서 친근함을 느낄 수 있 도록 함. |
인지전략: 유의미학습 | 중국어와 다르다고 하더라도 한자어로 제시된 것을 보면 학습자들이 그 의미를 더 잘 유추할 수 있음. |
사회-문화 전략 | 문화적 유대감을 돈독히 하기 위해 사자성어나 한자어 사 용을 통한 문화 교육 실시. |
○야마기와 타카코(2009)에서도 일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자어 조어력을 활용 한 어휘력 확장 방안에 대해 연구한 바 있다. 그는 조어력이 큰 한자어를 조사 하고, 일본어와 한국어의 동형동의어인 한자어를 중심으로 어휘 확장을 해 나 가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편, 비한자어권 학습자들을 위한 한자어 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논의들도 있었다(설혜경·심혜령, 2007 등). 김훈태(2013)에서는 초급에는 기초 어휘를 중심으로 가르치되, 중급에서는 주제(예, 취미)와 관련된 한자어 및 한자어를 통한 문화 교육이 가능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김광미(2008)에서는 비한자권 학
습자들을 대상으로 수준별 한자어 교육에 대해 언급한 바 있다. 그는 초급 단 계에서는 한자어의 존재를 인식시켜주다가 중급 단계에서는 한자어 자체를 교 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였다. 실제로 초급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3주에 걸 쳐 한자어 교육을 실시한 결과 학습자들의 어휘력 향상뿐만 아니라 만족도가 매우 높았다고 보고하였다.
4.1.5 화용적 정보에 의한 교육
○문금현(2011)에서는 화용적 정보에 의한 어휘 교육의 필요함을 주장한다. 한국 어는 화자와 청자의 관계나 나이, 성별, 지위, 문맥 상황 등에 따른 어휘 선택 이 달라지므로 어휘에 대한 화용적 정보는 매우 중요하다. 초급 단계에서는 문 체 위주의 구어 교육을 하고 중급 단계에서는 구어체뿐만 아니라 구어 어휘 및 표현 학습에도 적극적이어야 한다고 하였다.
○임서현(2005: 276-7)에서는 특히 경어의 교육을 강조하였다. 초급 단계에서는 의사소통에 잘 사용되는 기본적인 경어만을 교수하다가 경어를 많이 배운 중‧ 고급 학습자에게는 평어와 경어를 쌍으로 묶어 지도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제안한다. 이때 그룹 활동이나 짝 활동을 통한 역할극 연습을 하면 훨씬 흥미 를 유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4.1.6. 문화 어휘를 통한 교육
○문화 어휘는 생활 속에서 사용 빈도가 높으며 문화 이해 습득과도 연결되므로 매우 중요하다. 문화적 요소를 포함한 어휘뿐만이 아니라 관용어와 속담도 문 화 어휘의 범주에 넣을 수 있다(이동규, 2005).
○관용 표현은 중급에서 중점적으로 교수해야 한다(문금현, 1998; 배규범, 2010). 문금현(1998)에서는 그 이유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 중급에서는 (지금까지)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았던 담화 구성 능력이나 사회 언어학적 능력에 대한 비중이 높아지므로 경어법이나 관용표현, 속담 등에 대한 이해와 사용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관용표현에 대한 학습은 어휘력의 양적 능력보다는 질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이를 통해서 어휘소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고 어휘소 사 이의 연관성에 대한 이해도 함께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중급에서 집중적으로 교수하는 것보다 의미 투명성을 기준으로 초급부
터 시작하되 단계가 높아짐에 따라 그 수를 늘리는 것도 방법을 고안해야 한다 는 주장도 있다(전혜영, 2001; 김은희, 2008).
○관용표현은 교재의 기능과 연계하여 교수할 수 있다(Seidl· McMordie, 1978; 전혜영, 2001; 형재연, 2011). Seidl· McMordie(1978:202)에 따르면 학습자들 은 특정 주제나 기능에서 사용하는 관용표현(idioms)을 모르거나 단순히 이해 차원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실제로 특정한 상황이나 주제에 당면했을 때는 정 확한 의사표현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표 26> 발화 기능과 관용표현(전혜영, 2001)
기능 | 관용표현 |
약속하기 | 한 턱 내다, 한 잔 하다, 바람 맞다, 눈 빠지게, 애가 타다 |
물건사기 | 바가지 쓰다, 바가지 씌우다, 마음에 들다, 눈독을 들이다 |
결심(계획) 말하기 | 마음을 먹다 |
조언하기 조언 구하기 | 갈수록 태산이다, 꼬리에 꼬리를 물고, 산더미처럼 쌓이다, 하늘이 무너지다 |
경험 말하기 | 쥐구멍에라도 들어가고 싶다, 누워서 떡 먹기, 그림의 떡, 하늘의 별 따기, 미역국을 먹다, 땅 짚고 헤엄치기, 식은 죽 먹기, 죽을 쑤다 |
변명하기 | 오리발 내밀다, 시치미 떼다, 들통이 나다, 낯이 뜨겁다, 도 둑이 제 발 저리다, 눈 감아 주다, 진땀 흘리다 |
칭찬하기 | 입에 침이 마르도록, 입을 모으다, 옷이 날개다, 비행기 태 우다 |
초대하기 | 손이 모자라다, 손이 크다, 발이 크다 |
후회 말하기 | 뼈에 사무치다, 물거품이 되다, 물 건너가다, 죽을 쑤다, 엎 질러진 물, 볼 낯이 없다 |
감정 표현하기 | 애가 타다, 속이 타다, 속이 상하다, 간장이 끊어지다, 치가 떨리다, 간담이 무너지다, 열이 오르다, 몸이 달다 |
○속담은 한국의 문화를 담고 있기는 하지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속담 교육은 이해의 측면이 강조되어야 하며, 표현의 측면에서는 의사소통 기능과의
연계가 필요하다(조현용, 2007).
<표 27> 기능과 연계된 속담 목록(조현용, 2007)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관련 속담 |
친교 활동 | 인사 | 만나고 헤어질 때 인사 | 옷깃만 스쳐도 인연 |
안부 묻기 | 구관이 명관이다 바늘 가는 데 실 간다 | ||
안부 묻기에 답하기 | 무소식이 희소식이다 |
4.1.7. 외래어를 이용한 교육
○학습자들은 외래어를 이해하고 표기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이소영 (2011)의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에서 1년 이상 거류한 경험이 있는 중 급 수준 이상의 중국인 유학생들은 외래어를 한글로 쓰기 어렵다고 응답한 학 습자가 69%, 외래어 표기법을 안다면 도움이 될 것 같다고 응답한 학습자가 85.7&로 매우 높았다.
○학습자의 숙달도가 높아질수록 접해야 하는 외래어의 수도 증가한다. 한국어능 력시험(10회부터)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초급에서 중고급으로 갈수록 더 많은 수의 외래어가 출현하고 있다. 초급에서는 96개, 중급에서는 112개, 고급 126 개의 외래어가 출현하고 있었다(이소영, 2011).
○그러나 이정희(2007)에서는 초급 152개, 중급 87개, 고급 33개로 외래어 목록 을 선정하여 그 수가 역삼각형이 되고 있다. 이에 대해 그는 초급의 경우에는 생존에 필요한 외래어 항목의 비중이 높으며, 고급에서는 외래어보다는 외국어 에 가까운 어휘 항목이 많기 때문이라고 언급하였다.4)
4.3.8. 의성어‧의태어에 의한 어휘 교육
○고급 학습자들도 의성어‧의태어의 음운, 형태, 의미 오류를 보인다. 따라서 한국 어의 중요한 특징인 의성어‧의태어를 초급부터 고급까지 체계적으로 교수하여 야 한다(김중섭, 2001). 이때, 하나의 어휘일이지라도 초급 단계에서는 원래의
4) 이정희(2007)의 외래어 선정 과정.
1. 이병규(2005)의 외래어 목록과 조남호(2003)의 한국어학습용 어휘선정 결과 보고서에 나와 있는 외래 어 목록을 비교 분석한 후 전체 대상 목록을 추출하였음.
2. 한국어 교육 경력이 3년 이상인 교사 5인과 연구자가 함께 해당 어휘의 등급 판정을 실시하였음.
의미 위주로 설명하고 중‧고급 단계에서 점차 확장된 어휘 의미까지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최희경‧이경은, 2009).
4.3.9. 기타
○연어 교육: 학습자들의 어휘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조건적인 암기가 아닌 어휘의 문법, 즉 연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연어 환경을 교육시키는 것 이 학습자들의 어휘력 향상에 큰 역할을 담당한다(한송화·강현화, 2004: 296). 특히 중급에서는 새로운 어휘를 학습하는 것보다 이미 알고 있는 단어의 결합 을 늘림으로써 언어 능력을 높일 수 있다.
○줄임 표현 교육: 초급에서 중급까지는 줄임 표현 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일 상생활의 의사소통에 지장이 없을 것이라고 본다(조옥이, 2008).
4.4. 연구 결과의 적용
○어휘 교육의 쟁점을 중심으로 한 교수 방법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한 결과, ‘중 급’ 단계의 학습자에게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어휘 교육의 방법은 단어 형성 원리, 의미 관계, 주제, 한자어, 화용적 정보, 문화 어휘, 외래어, 의성․의태 어, 연어 관계, 줄임 표현 등 어휘의 형태와 의미, 구조, 사용에 관한 특성을 활 용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해서는 각각의 특성과 관련된 개별 어휘의
정보와 함께, 한자어, 문화 어휘, 외래어, 의성․의태어, 연어, 줄임 표현 등 특정 어휘군의 목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1단계)에서와 동일한 체계 를 유지하면서도 ‘중급’ 단계의 특성을 고려한 개별 어휘의 정보를 다음과 같이 제시할 것이다. 이들 자료는 사용자가 활용 목적에 따라 이들 정보의 자유로운 조합을 통해 품사별 어휘, 주제별 어휘, 의미 범주별 어휘 목록을 추출할 수 있 을 것이다. 또한 유의어, 반의어 등의 의미적 관련어, 파생어, 센말/여린말, 본 딧말/준말 등의 형태적 관련어 등은 어휘 확장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화용 정보 는 실제 언어 사용 맥락과 방법에 관한 지식을 제공하기 위한 자료가 될 것이 다.
- 기초 정보: 길잡이말, 품사, 번역어(영어, 태국어, 말레이-인도네시아어,
베트남어, 몽골어, 러시아어), 빈도
- 구 구성 정보(다의 항목 고려): 연어, 관용어
- 관련어 정보(다의 항목 고려): 유의어, 반의어, 상위어, 하위어, 참조어, 파생어, 높임말/낮춤말, 큰말/작은말, 센말/여린말, 본딧말/준말
- 화용 정보(다의 항목 고려): 구어/문어, 비어, 은어, 속어, 비유(긍정/부정), 사용자(유아어/남성어/여성어)
- 교수 활용 정보: 난이도 정보, 주제 및 상황 범주 정보(별도 자료), 의미 범주 정보
○그 외에도 본 연구에서는 ‘중급’ 단계의 어휘 목록과 개별 어휘의 정보에 모 두 담아내기에는 그 범위나 양이 방대하지만, 다음 자료를 제시하여 교수 현장 에서의 활용 측면을 강화하고자 한다.
- 중급 수준의 문화 관련 어휘
- 접사와 파생어
- 외래어
- 의성어, 의태어
- 관용표현 (관용어 및 속담)
○이상의 자료는 교수 현장에서의 실제적 적용을 위해 교육과정 개발, 교수 자료 개발, 평가, 교수 현장에서의 활용 모형과 함께 제시될 것이다.
Ⅲ. 한국어 교재 말뭉치 구축
1. 기본 방향
○ 한국어 교재 말뭉치는 어휘 선정에 있어서 기초 어휘 목록 자료를 추출하기 위한 원천 자료, 어휘의 사용 범위와 빈도 등의 객관적 지표를 얻기 위한 참조 용 말뭉치로 필수적인 자료이다. 그 외에도 한국어 교재 말뭉치는 한국어 교육 연구의 제 분야에서 다양한 목적과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유용한 자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급’ 단계의 어휘 선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말뭉치 언어학의 이론에 근거하여 초급과 중급 한국어 교재 말뭉치를 구축하였다.
2. 연구 방법 및 절차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을 위한 한국어 교재 말뭉치 구축은 실제 자료 구 축을 위한 연구이다. 다음은 단계별 연구 절차이다.
<그림 5>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을 위한 한국어 교재 말뭉치 구축
3. 세부 연구 내용
3.1. 말뭉치 구성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대학 기관에서 발간한 한국어 교재 중 초급에서 고급 까지 모두 완간된 5종의 교재를 대상으로 한다.5) 이는 본 연구에서의 일반 외 국인을 위한 ‘중급’ 단계의 어휘 선정이라는 연구의 목적과 자료 활용 범위 를 고려한 것이다. 말뭉치 구축을 위한 자료의 범위 및 대상은 다음과 같다.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연세 한국어』1․2․3․4, 연세대학교 출판부
▸서강대학교 한국어 교육원, 『서강 한국어』1A․1B․2A․2B․3A․3B․4A․4B, 서강대학교 국제문화원 출판부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이화 한국어』1-1․1-2․2-1․2-2․3-1․3-2․4, EPRESS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재미있는 한국어』1․2․3․4, 교보문고
▸경희대 국제교육원, 『한국어』초급1․초급2․중급 1․중급 2, 경희대학교 출판부
3.2. 주석 체계 개발
○말뭉치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주석이 부착되어 있어야 한다. 한 국어 교재 말뭉치가 일반 텍스트와 성격이 다른 특수 말뭉치이며, 다양한 목적 의 활용 범위를 고려할 때 그 중요성은 더욱 크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재 의 구성상의 특성을 분석하여 자료 활용을 위한 최소한의 주석 체계를 마련하 여 다음과 같이 적용하고자 한다.
▸헤더 정보: 교재명, 입력 날짜, 어절 수, 작업자 정보 포함
▸마크업: 교재 구성에 따른 구분 정보 포함
5)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 부설 기관에서 개발․사용 중인 교재 중 초급에서 고급까지 전 권이 완간된 교재를 대상으로 하여 말뭉치를 구축하였다. 서울대 교재는 현재 신간 교재를 개발 중에 있어 포함하 지 못하였으며 향후 완간이 되면 추가 구축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사용한 태그 세트는 다음과 같다.
<표 28> 한국어 교재 말뭉치 구축을 위한 태그 세트
구분 | 태그 | 설명 |
대화 | <dialogue></dialogue> | 도입 대화를 비롯한 대화체의 텍스트 |
지문 | <script></script> | 읽기 지문과 같은 서술식 텍스트 |
예문 | <sample></sample> | 문법, 어휘 영역의 예시 문장 또는 대화 |
상황 설명 그림에 포함된 대화(말풍선 속 자료 포함) | ||
지시문 | <direction></direction> | 다음 글을 읽고~ '류의 단순 지시문 |
기계적으로 반복되며 학습자가 자세히 읽지 않아도 <보기> 등을 통해 제시 활동이 가능한 유형 | ||
질문 | <question></question> | 읽기, 듣기 전 활동, 도입, 읽기 후 활동 등의 내용 관련 질문 |
학습자가 내용을 이해해야 학습 활동이 가능한 유형 | ||
어휘 | <vocabulary> </vocabulary> | 새로 나온 어휘를 비롯한 모든 영역의 학습 어휘 |
문법 | <grammar></grammar> | 새로 나온 어휘를 비롯한 모든 영역의 학습 어휘 |
예시 어휘 | <examvocabulary> </examvocabulary> | 연습 또는 과제 활동에 필요한 어휘 |
예시 문법 | <examgrammar> </examgrammar> | 연습 또는 과제 활동에 필요한 문법 |
연습 | <exercise></exercise> | 모든 유형의 연습 문제 |
소제목 | <subtitle></subtitle> | 단원의 영역별 소제목 |
3.3. 텍스트 입력 및 마크업
○원시 말뭉치 구축은 텍스트 입력 및 마크업 등에 필요한 기본 지침에 따라 이 루어질 것이다. 다음은 한국어 교재의 원시 말뭉치 구축 예이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SKUKLICT2B03>
<Header>
<FileInfo>
<FileName>SKUKLICT2B03</FileName>
<Date>입력 날짜</Date>
<Extent>어절 수<Extent>
</FileInfo>
<EncodingInfo>
<responsibility>홍혜란</responsibility>
<Input>김강희</Input>
<Revision>홍연정</Revision>
</EncodingInfo>
<QuestionnaireInfo type="부" /></Header>
<text>
<title>주말이니까 나가자</title>
<학습목표>
<말하기>
<문법>-을 것 같다; 간접화법③-자고 하다; 반말</문법>
<대화>제안하기; 약속하기; 권유하기</대화>
<과제>친구와 반말로 계획을 세워 보세요</과제>
</말하기>
<읽고 말하기>운이 없어!</읽고 말하기>
<듣고 말하기>소라한테는 비밀로 하자</듣고 말하기>
</학습목표>
p.54
<말하기>
<문법>
<subtitle>-을 것 같다</subtitle>
<sample>날씨가 안 좋지요?; 네, 비가 올 것 같아요.</sample>
<direction>대답해 보세요.</direction>
<exercise>A: 내일 만날 수 있어요?; B: 내일은 아르바이트가 있어서 시간이 없 을 것 같아요.; A: 언제 회의가 끝나요?; B: 지금 55분이니까 금방 끝날 것 같아 요.; A: 리엔 씨가 수업 후에 뭐 할 것 같아요?; B: 리엔 씨가 집에 일찍 갈 것 같아요.; A: 토요일에 같이 쇼핑하러 갈까요?; B: 토요일에 가면 사람이 많을 것 같아요.; A: 일요일에 놀러 가서 많이 걸어야 해요?; B: 네, 산에 가니까 많이 걸을 것 같아요.</exercise>
<direction>그림 카드를 이용해서 대화해 보세요.</direction>
<sample>앤디 씨가 뭐 할 것 같아요?; 요리할 것 같아요.</sample>
p.55
<subtitle>간접화법; -자고 하다</subtitle>
<sample>날씨가 좋으니까 산책합시다.; 앤디 씨가 뭐라고 했어요?; 앤디 씨가 산책하자고 했어요.</sample>
<direction>문장을 완성해 보세요.</direction>
<exercise>식사하러 갑시다.; 투안 씨가 식사하러 가자고 했어요.; 같이 중국 음 식 먹어요.; 중국 음식은 어제 먹었으니까 다른 식당에 가요.; 식사한 다음에 공 원에서 좀 걸읍시다.; ; 한스 씨가 같이 중국 음식 먹; 리엔 씨가 중국 음식은 어제 먹었으니까 다른 식당에; 제니 씨가 식사한 다음에 공원에서 좀
</exercise>
<direction>파티 계획을 세우세요.</direction>
<sample>언제 파티를 할까요?; 금요일에 시험이 끝나니까 토요일에 합시다.; 렌 핑; 요일; 시간; 장소; 음식; 프로그램; 토요일; 한스 씨 집; 친구가 뭐라고 했어 요?; 같이 이야기해 보세요.; 렌핑 씨가 금요일에 시험이 끝나니까 토요일에 파 티를 하자고 했어요.</sample>
Ⅳ. ‘중급’단계의 한국어 교육용 어휘 선정 및 평정
1. 기본 방향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1단계)’에 이은 후속 연구로 중급’ 단계의 ‘일반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어휘 선정, 교육 내용 개발 및 구축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 자료로서 초급 또는 고급과 변별되는 ‘중 급’단계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적합한 수와 범위의 어휘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1.1. ‘중급’ 단계 어휘의 개념 및 범위
○‘중급’ 단계의 어휘는 ‘한국어교육 어휘 내용 개발(1단계)’에서 개발된
‘초급’ 단계의 어휘와 비교할 때 다음과 같은 속성을 가진다.
<표 29> 어휘의 속성
1단계(초급) | 2단계(중급) |
초급의 주제와 상황을 고려한 어휘 (기본어휘 포함) | 중급의 주제와 상황을 고려한 어휘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한국어 교육과정 및 평가의 등급 기술, 교재 분석 등 을 통해 ‘중급’ 단계 어휘의 개념과 범위는 중급 학습자가 접하게 되는 다양한 맥락에서의 어휘 사용 범위, 어휘 사용 주제 및 상황, 교수․학습 상황에서 중요 하게 다루어지는 어휘 유형에 관한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중급’ 단계 어 휘의 개념과 범위를 다음과 같이 규정할 수 있었다.
<표 30> ‘중급’ 단계 어휘의 개념과 범위
주요 관점 | 고려 사항 | ‘중급’의 개념 및 범위 |
○일상생활 사용 어휘 | ||
○공공시설 이용과 사회적 관계 유지를 위한 어휘 | ||
교육과정적 | 어휘의 사용 | ○일반적인 업무 수행을 위한 어휘 |
접근 | 범위 및 유형 | ○친숙한 사회적 소재와 관련된 어휘 |
○구어와 문어 어휘 | ||
○고빈도의 관용어, 사자성어, 속담, 문화 어휘 | ||
언어 교육적 접근 | 어휘 사용 주제와 상황 | ○날씨와 생활, 스트레스, 이사, 분실, 공연과 감상, 공공생활, 직장, 결혼, 교육, 환경, 돌잔치 등 |
어휘론적 접근 | 어휘 유형 | ○한자어, 외래어, 파생어, 합성어, 유의어, 반의어, 상위어, 하위어, 관용표현 등 |
1.2. ‘중급’ 단계에 필요한 적정 어휘 수
○‘중급’ 단계에 필요한 적정 어휘 수는 국외의 한국어 교육 어휘 선정 목록과 국외의 외국어 교육 어휘 선정 목록 중 ‘중급’ 단계의 어휘로 명시하고 있거 나, 명시하지는 않더라도 어휘 선정 목적이나 범위, 선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통해 ‘중급’ 단계로 추정 가능한 목록의 어휘 수를 통해 예측해 볼 수 있다.
○어휘 수는 교수․학습 ‘중급’ 단계의 학습자가 해당 숙달도 단계에 적합한 의사소
통능력을 가지기 위해 필요한 어휘 지식과 어휘 사용 능력의 지표이다. 따라서 교재나 교수 현장에서 다루어져야 할 목표 어휘량이 된다. 이는 해당 언어의 특 성이나 교육과정의 특성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제2 언어 또 는 외국어로서 중급 수준의 언어 사용 능력을 갖기 위해 필요한 어휘 수라는 점에서는 다르지 않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국내외의 어휘 선정 자료 중 ‘중급’ 단계 또는 ‘중급’ 추정 단계의 어휘 수는 약 4,000~6,000개로 파악되었다. 이들은 목록에 따라 중 급만을 대상으로 하거나 초급까지 포함한 누적 목록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중급’ 단계의 어휘가 대략 4,000여 개의 어휘 수로 이루어진 목록인 것으로 귀 결된다고 볼 수 있다.
<표 31> 국외의 한국어 교육 및 외국어 교육용 ‘중급’ 단계의 어휘 수
언어 | 목록명 | 어휘 수 | 수준 | 비고 |
한국어 | 朝鲜语专业四级测试参考词汇 | 5,436 | 초급+중급 | 중국 교육부 선정 대학수학능력시험 목록 |
중국어 | 한어수평어휘 및 한자 등급대강 | 5,253 | 기초+초급 +중급 | HSK 출제 기준 |
영어 | Institute for Research in English Teaching. Department of Education | 3,000 | 중급 추정 | |
일본어 | 日本語教育基本語彙七種比較対照表 | 6,195 | 초급+중급 | 외국인 대상의 기본 어휘 |
日本語能力試験出題基準(2002) | 1급 (7,800) 2급 (4,833) 3급 (1,315) 4급 (679) | 일본어능력시험 출제 기준 | ||
中級用語彙ー基本40 00語ー(2003) | 4,000 | 중급 | 종래의 일본어 능력시험 3급(1,500어), 2급(6,000어)의 중간 단계에 있는 것으로 4,000어를 선정 | |
教育基本語彙の基本的研究 増補改訂版(2009) | 약 4,000 | 중급 | 교육용 기본 어휘 |
2. 연구 방법 및 절차
2.1. 연구 방법
○연구 방법은 초급과 중급에 이어 고급 단계까지 이어질 연구의 일관성과 체계 성을 고려하여 ‘한국어교육 어휘 내용 개발(1단계)’에 따라 객관적 연구 방법 과 주관적 연구 방법을 혼합한 절충적 연구 방법을 택하였다. 어휘 선정 및 등 급화를 함에 있어서도 ‘초급’ 단계에서와 같이 빈도, 범위(range), 포괄성 (coverage), 사용 가능성 및 친숙도, 활용성을 고려하였다.
▸ 객관적 지표에 의한 어휘 평정
- 목록 유형별 빈도 및 목록 간 중복도 분석
- 한국어 교육 말뭉치, 강범모․김흥규(2009), 조남호(2002)의 빈도 및 어휘 사용 범위 분석
▸ 주관적 어휘 평정
- 한국어 교사의 어휘 친숙도 조사
- 어휘 전문가의 주관적 평정을 통해 목록을 보완
2.2. 연구 절차
○다음은 본 연구와 ‘초급’ 단계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교육 어휘 내용 개발(1 단계)’의 어휘 선정 방법 및 절차를 비교하여 정리한 것이다.
<표 32> 초급과 중급 단계의 어휘 선정 방법 및 절차 비교
1단계(초급) | 본 연구(중급) | |
선정 방법 | 참조 목록 구축을 통한 예비 어휘 목록 선정 | |
○선행연구의 어휘 선정 목록 7종 - 기초 어휘의 측면: 국어교육용 어휘 목록 2종 - 기본 어휘의 측면: 한국어 교육용 어휘 목록 5종 ○초급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능력시험 | ○초급 예비 목록 (1,836개의 초급 선정 목록을 제외한 1단계(초급) 후보 목록) ○초급 단계의 관련어 목록 ○선행연구의 어휘 선정 목록 |
(TOPIK) 사용 어휘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의 어휘 | - 한국어 교육용 어휘 목록 5종 ○중급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능 력시험(TOPIK) 사용 어휘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 초·중급 | |
목록의 타당성 검사(기존 목록과의 교차 분석) | ||
○선행연구의 어휘 선정 목록 7종, 국 제 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 어휘 목 록 간의 중복도 분석 | ○참조 목록 유형별 빈도 분석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 초․중급, 조남호(2003) 목록 과의 비교 | |
어휘의 사용 범위 및 빈도 분석 | ||
○초급 한국어 교재, 한국어능력시험 (TOPIK)의 타입 및 토큰 ○강범모·김흥규(2009), 조남호 (2002)의 빈도 | ○중급 한국어 교재, 한국어능 력시험(TOPIK)의 타입 및 토큰 ○강범모·김흥규(2009), 조남호 (2002)의 빈도 | |
‘초급’ 단계의 어휘 특성과 객관적 지표에 의한 어휘 목록 평정 | ‘중급’ 단계의 어휘 특성과 객관적 지표를 고려한 순차별 어휘 평정 | |
○[1] 통계적 유의성을 기반으로 한 평정 ○[2] 객관적 지표에 의한 평정 ○[3] 빈도 및 어휘 선정 지침에 의한 목록 보완 | ○[1] 통계적 유의성을 기반으 로 한 평정. 어휘 유형별 평 정 ○[2] 객관적 지표에 의한 평정 ○[3] 빈도 및 어휘 선정 지침 에 의한 목록 보완 | |
교사 및 학습자 친숙도 조사, 전문가 평정 | ||
○한국어 학습자 및 교사 ○외부 전문가 | ○한국어 학습자 및 교사 ○외부 전문가 | |
목록 확정 | ||
1,836개 | 3,855개 | |
기타 활용 목록 | ○교실 운영 어휘 ○문화 관련 어휘 | ○접사와 관련 파생어, 의성어․ 의태어, 외래어, 준말, 속담, 관용표현, 문화 어휘 |
3. 세부 연구 내용
<그림 6> 순차적 어휘 선정 절차와 결과
3.1. ‘중급’ 단계의 어휘 목록 선정을 위한 참조 목록 수집
○‘중급’단계의 어휘 선정을 위한 첫 단계로 다음의 자료를 참조 목록으로 수 집하였다.
<표 33> ‘중급’ 단계의 어휘 선정을 위한 참조 목록의 구성
구분 | 목록 설명 | 목록 구성 | 어휘 수 |
목록 1 | ‘한국어 교육 내용 개발(1단계)’의 ‘초급’ 단계 어휘 선정 시 사용한 예비 어휘 목록 5,084개 중 초급 선정 어휘 1,836개를 제외한 어휘 목록 | 다음 목록 간의 중복 빈도를 바탕으로 추출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 어휘(강현화, 2011) ○한국어 교육용 어휘 선정 목록 7종 ○초급 한국어 교재 및 한국어 능력 시험 출현 어휘 | 2,545개 |
목록 2 | 중급 한국어 교재 사용 어휘 목록 |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연세 한국어』3․4, ○서강대학교 한국어 교육원, 『서강 한국어』3A, 3B․4A, 4B,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이화 한국어』3-1․3-2․4, ○고려대학교한국어문화교육센터 『재미있는 한국어』3․4, ○경희대 국제교육원, 『한국어』중급 | 15,561개 |
목록 3 | 한국어능력시험 중급 (TOPIK) 출현 어휘목록 | ○1회-29회 한국어능력시험 목록 (지시문 제외) | 5,330개 |
목록 4 | 기존의 한국어 교육용 어휘 선정 목록 중 A유형의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목록 | 다음 목록 간의 중복 빈도를 바탕으로 추출 ○한국어 교육용 기초 어휘 (서상규 외, 1998) ○한국어 교육용 기본 어휘 (조현용, 2000) | 4,022개 |
○초급 한국어 교육 어휘 선정 (임칠성, 2002) ○한국어 학습용 어휘(국어원, 2003) ○한국어 교육용 초급 어휘 (최길시, 1998) | |||
합 | 계 | 22,128개 |
○참조 목록에는 동형어 번호, 품사, 길잡이말 등의 어휘 식별 정보와 함께 빈도 정보가 부착되었다. 이들 정보는 다음 단계에서 이루어질 목록 타당성 검사와 평정을 위한 객관적 지표로 참조 목록에 부착된 다양한 특성의 빈도 정보들을 교차 검토하면서 ‘중급’ 단계에 포함되어야 할 목록과 제외되어야 할 목록들을 구분하는 데에 중요한 근거가 되었다.
<표 34> ‘중급’ 단계의 어휘 선정을 위한 참조 목록의 주요 정보
정보 유형 | 정보의 구성 |
어휘 식별 정보 | ○동형어 번호, 품사, 길잡이말 |
빈도 정보 | ○강범모·김흥규(2009), 조남호(2002)의 빈도 ○한국어 교재의 타입, 토근 빈도 (해당 어휘) ○한국어능력시험 토큰 빈도 (해당 어휘) ○기존의 한국어 교육 어휘 목록 중복도 (해당 어휘) |
<표 35> ‘중급’ 단계의 어휘 선정을 위한 참조 목록의 주요 정보 부착 자료 예시
출처 | 어휘 | 길잡이말 | 품사 | 빈도 | 기존 목록 중복도 | 토픽 빈도 | 교재 | 타입(Type) | 교재 | 토큰(Token) | 표준 모형 등급 | ||||
조남호 (2003) | 강범모 외(2009) | 3급 | 4급 | 소계 | 3급 | 4급 | 소계 | ||||||||
초급 | 예비 | 다림질 |
| 명사 | 1 | 1 | 0 | 3 | 1 | 1 | 2 | 6 | 9 | 15 |
|
초급 | 예비 | 청혼02 | 결혼 | 명사 | 8 | 52 | 0 | 2 | 2 | 4 | 14 | 4 | 18 |
| |
초급 | 예비 | 깁스 |
| 명사 | 5 | 23 | 0 | 4 | 0 | 4 | 8 | 0 | 8 |
| |
초급 | 예비 | 유턴 |
| 명사 | 1 | 11 | 0 | 0 | 1 | 1 | 0 | 2 | 2 |
| |
초급 | 예비 | 입실 |
| 명사 | 1 | 5 | 0 | 2 | 0 | 2 | 1 | 1 | 2 |
| |
초급 | 예비 | 회식 |
| 명사 | 9 | 83 | 0 | 6 | 4 | 4 | 8 | 45 | 34 | 79 |
|
초급 | 예비 | 다운로드 |
| 명사 |
| 22 | 0 | 1 | 1 | 2 | 2 | 2 | 4 |
| |
초급 | 예비 | 반말 |
| 명사 | 12 | 125 | 2 | 4 | 4 | 2 | 6 | 11 | 16 | 27 | 중급 |
초급 | 예비 | 찜질 |
| 명사 | 5 | 65 | 0 | 1 | 2 | 3 | 5 | 2 | 7 |
| |
초급 | 예비 | 조깅 |
| 명사 | 24 | 77 | 1 | 4 | 2 | 6 | 7 | 4 | 11 |
| |
초급 | 예비 | 우회전 |
| 명사 | 1 | 13 | 0 | 0 | 1 | 1 | 0 | 4 | 4 |
| |
초급 | 예비 | 편식 |
| 명사 | 4 | 21 | 0 | 2 | 2 | 4 | 6 | 3 | 9 |
| |
초급 | 예비 | 등반01 | 설악산 등반 | 명사 | 5 | 84 | 0 | 3 | 2 | 0 | 2 | 0 | 4 | 4 |
|
초급 | 예비 | 드라이 | 세탁 | 명사 | 4 | 32 | 0 | 1 | 3 | 4 | 3 | 14 | 17 |
| |
초급 | 예비 | 승차02 | 차를 탐 | 명사 | 6 | 24 | 0 | 2 | 0 | 1 | 1 | 1 | 0 | 1 |
|
- 77 -
3.2. 목록의 타당성 검사
3.2.1. 기본 방향
○목록의 타당성 검사는 참조 목록으로 수집된 목록이 ‘중급’단계의 어휘 선정을 위한 예비 목록으로서 적절한 지위를 갖추고 있는지를 검토하여 부적절한 목록 을 제거하고 다양한 목록의 합인 참조 목록이 본격적인 평정을 위한 예비 목록 으로 정제되는 과정이다. ‘초급’ 단계와 달리 ‘중급’ 단계의 어휘의 특성을 규정 하는 것이 쉽지 않고, 그만큼 다양한 출처와 방대한 양의 자료를 참조 목록으 로 하기 때문에 목록의 타당성 검사가 매우 중요하며, 그만큼 정교하게 이루어 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침을 마련하여 중급의 특성에 부합하 는 참조 목록을 추가적으로 검토하여 목록을 보완하였다.
3.2.2. 세부 연구 내용
(1) [1차 선정] 객관적 지표를 바탕으로 한 목록의 타당성 검사
○객관적 지표를 바탕으로 한 목록의 타당성 검사는 각 목록의 특성에 적합한 기 준을 정하여 ‘중급’ 단계의 어휘 선정을 위한 예비 목록으로서 부적절한 어휘와 중복 목록을 제거하여 목록을 정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다음은 각 목록 의 타당성 검사 방법 및 기준이다.
<표 36> 목록의 타당성 검사 방법 및 기준
구분 | 목록의 특성 | 타당성 검증 방법 및 기준 | 결과 |
목록 1. ‘한국어 교육 | 최초의 목록에 초급 | 강범모·김흥규(2009), | 2,545개 |
내용 개발(1단계)’의 | 외에도 중급, 고급 | 조남호(2002)를 | → |
예비 목록 중 1단계 | 목록이 포함되어 | 참고하여 개별 | 2,149개 |
선정 어휘를 제외한 | 있었고, 빈도 또는 | 목록의 적합성 판정 | |
목록 | 중복도가 일정 수준 | 후 공동연구원 6인 | |
이하인 목록을 | 중 4인 이상 동의 | ||
제외하는 객관적 | 목록 제거 |
방식에 따랐기 때문에 좀 더 세밀한 목록의 정제가 필요 | |||
목록 2. 중급 한국어 | 기관별로 어휘의 | 교재 간 중복도 3 | 15,561개 |
교재의 사용 어휘 | 타입과 토큰의 분포가 | 이상의 어휘를 | → |
목록 | 매우 상이하며 중복 | 대상으로 토큰 | 2,020개 |
어휘의 수가 적음 | 빈도를 기준으로 | (교재 간 | |
목록의 적합성 판정 | 중복도 3 | ||
후 공동연구원 6인 | 이상) | ||
중 4인 이상 동의 | → | ||
목록 제거 | 272개 | ||
목록 3. | 매회 또는 동일 회차 | 강범모·김흥규(2009), | 5,330개 |
한국어능력시험(TO | 내의 지문과 예시문의 | 조남호(2002), 토근, | → |
PIK)의 사용 어휘 | 주제가 거의 중복되지 | 교재의 타입을 | 1,417개 |
않으며, 그 범위가 | 참고하여 개별 | (목록 2. | |
매우 광범위하여 | 목록의 적합성 판정 | 목록 3의 | |
다양한 어휘가 출현함 | 후 공동연구원 6인 | 중복 목록 | |
중 3인 이상 동의 | 제거) | ||
목록 제거 | → | ||
30개 | |||
목록 4. 기존의 | 각 목록 선정의 연구 | 강범모·김흥규(2009), | 4,022개 |
한국어 교육용 어휘 | 방법과 기초 자료, | 조남호(2002), | → |
선정 목록 중 선행 | 기본 방향의 차이에 | 교재와 토픽 타입과 | 1,842개 |
목록에 포함되지 | 의해 목록별 어휘 | 토큰을 참고하여 | |
않은 어휘 | 간의 중복도가 매우 | 목록의 적합성을 | |
낮고 분포가 다양함6) | 판정하여 | ||
공동연구원 6인 중 | |||
4인 이상 동의 어휘 | |||
제거 | |||
합계 | 4,293개 |
6) 5종 목록의 중복도 5인 목록 1개, 중복도 4인 목록 3개, 중복도 3인 목록 94개
<표 37> 객관적 지표를 바탕으로 한 목록 타당성 검토 예시: 교재 출현 어휘
출처 | 어휘 | 길잡이말 | 품사 | 빈도 | 기존 목록 중복도 | 중급 토픽 빈도 | 교재 타입(Type) | 교재 토큰(Token) | |||||
조남호 (2003) | 강범모 외(2009) | 3급 | 4급 | 소계 | 3급 | 4급 | 소계 | ||||||
교재 | 유럽02 | 지명 | 명사 | 1 | 8 | 5 | 5 | 10 | 15 | 15 | 30 | ||
교재 | 오해02 | 명사 | 59 | 583 | 3 | 11 | 5 | 5 | 10 | 36 | 33 | 69 | |
교재 | 용서01 | 명사 | 20 | 310 | 3 | 11 | 5 | 5 | 10 | 20 | 11 | 31 | |
교재 | 특별 | 명사 | 200 | 1766 | 3 | 64 | 5 | 5 | 10 | 106 | 121 | 227 | |
교재 | 실망02 | 명사 | 35 | 324 | 3 | 16 | 5 | 5 | 10 | 21 | 20 | 41 | |
교재 | 완성01 | 명사 | 62 | 325 | 3 | 13 | 5 | 5 | 10 | 28 | 78 | 106 | |
교재 | 후회01 | 명사 | 22 | 254 | 3 | 30 | 5 | 5 | 10 | 114 | 56 | 170 | |
교재 | 이메일 | 명사 | 2 | 123 | 0 | 27 | 5 | 5 | 10 | 46 | 41 | 87 | |
교재 | 사이트 | 명사 | 27 | 516 | 0 | 3 | 5 | 5 | 10 | 18 | 72 | 90 | |
교재 | 대상11 | 존경의 | 명사 | 552 | 6491 | 3 | 63 | 4 | 5 | 9 | 18 | 63 | 81 |
교재 | 부모01 | 명사 | 327 | 3370 | 6 | 102 | 4 | 5 | 9 | 15 | 62 | 77 | |
교재 | 사원04 | 명사 | 70 | 958 | 3 | 50 | 5 | 4 | 9 | 58 | 71 | 129 | |
교재 | 신고01 | 79 | 794 | 3 | 44 | 5 | 4 | 9 | 28 | 33 | 61 | ||
교재 | 줄어들다 | 동사 | 133 | 1378 | 3 | 52 | 4 | 5 | 9 | 8 | 25 | 33 | |
교재 | 취업 | 34 | 516 | 2 | 33 | 4 | 5 | 9 | 22 | 66 | 88 | ||
교재 | 평생 | 명사 | 100 | 1290 | 3 | 13 | 4 | 5 | 9 | 21 | 16 | 37 | |
교재 | 유지09 | 질서 | 114 | 1013 | 3 | 47 | 4 | 5 | 9 | 10 | 36 | 46 |
- 80 -
(2) [2차 선정]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모형(2011), 조남호(2003)과의 비교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1단계)‘,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 개발 2단계(2011)’ 어휘 목록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한국어 어휘 내용 개발(1단계)’는 ‘초급’ 단계의 어휘 선정 연구로 ‘중급’ 단계 의 어휘와 일관된 체계를 이루며 숙달도 변인에 의한 연속성 있는 어휘 목록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한편,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모형 개발 2단계(2011)’ 는 원형적 어휘 목록으로 ‘중급’ 단계를 대상으로 한 적용적 연구인 본 연구의 참조 자료로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모형 개발 2단계(2011)’의 초급과 중급 단계의 어휘 목록과의 비교를 통해 678개의 목록을 보완함으로써 원형적 어휘 목록과 적용적 어휘 목록 간의 연계성을 가지고자 하였다. 여기에 본 연구가 한국어 교육용 어휘 선정을 위한 국가 차원의 연구로 이전의 조남호 (2003)과의 연계성 또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보아 비교 분석을 통해 ‘중급’ 단계에서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목록 217개를 보완하였다. 그 결과 총 5,188개 의 목록이 되었다.
<표 38>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모형(2011)‘과
‘조남호(2003)의 검토 대상
구분 | 유형 | 예시 어휘 | 결과 |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모형 (2011) | 파생어 또는 합성어, 유의 관계의 어휘로 더 자주 쓰이는 어근 명사 | 기성(기성세대), 지12(지적), 극04(극적01, 연극), 구체02(구체적) 등 | 700개의 추가 목록 중 22개 삭제 후 678개 목록 보완 |
동형어 번호가 변경된 어휘 | 조정04, 가량05, 주사02 등 | ||
옛말 | 님05(임) | ||
‘중급’ 단계의 어휘로 난이도가 높은 어휘 | 주제01, 올01, 주문03, 창11, 동09, 양19 등 | ||
조남호 (2003) | 고유명사 | 안동, 영남, | 406개의 추가 목록 중 189개 삭제 |
문화 어휘 | 부처04, 한반도 등 | ||
어근의 의미를 통해 | 극작가, 새소리, |
전체 어휘 의미의 유추가 가능한 파생어, 합성어 | 들이마시다02, 종소리, 주름살 등 | 후 217개 목록 보완 | |
‘중급’ 단계의 어휘로 난이도가 높은 어휘 | 간부05, 모색03, 기술03, 주한02, 타락02 등 |
(3) [3차 선정]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1단계)’의 초급 관련어 목록 검토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1단계)’에서는 1,836개의 ‘초급’ 어휘의 관련어 정 보로 유의어, 반의어, 상위어, 하위어, 본딧말, 준말, 큰말, 작은말, 센말, 여린 말, 높임말, 낮춤말, 참조어 등을 제시하였다. 이들 정보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 한 <한국어 기초 사전>의 어휘 정보를 기반으로 하되, 어휘 확장 가능성을 고 려하여 ‘중급’ 단계의 난이도에 해당하는 어휘를 포함하여 제시하였다.
○따라서 초급 목록과 중급 목록의 연계성을 고려할 때 ‘중급’ 단계의 어휘 목 록 안에 ‘초급’ 단계의 관련어 정보들도 함께 포함되는 것이 합당하다고 판단하 여 ‘초급’ 어휘로 선정된 1,836개를 제외한 1,234개의 어휘 중 ‘중급’ 단계에 적절하다고 판정된 972개의 목록을 포함하였다. 그 결과 6,160개의 목록이 되 었다.
○972개의 목록은 <표39>와 같이 목록의 타당성 검사를 한 결과인데, 여기에 는 본딧말, 준말, 큰말, 작은말, 센말, 여린말이 다수 포함되었다. 사용 빈도나 활용 가치는 강범모·김흥규(2009), 조남호(2002)의 빈도, 교재와 한국어능력시 험의 타입과 토큰, 선행연구의 어휘 선정 목록에서의 포함 여부 등이 참조 정 보로 활용되었다. 제거 대상 목록은 다음과 같다.
<표 39> 초급 관련어 목록 중 검토 대상
구분 | 관련어 유형 | 예시 | 결과 |
사용 빈도가 낮거나 | 본딧말, 준말, | 허옇다, 퍼렇다, | 객관적 지표를 |
교육용 어휘로서 | 큰말, 작은말, | 꺼뜨리다, 재밌다 등 | 활용하여 판정 |
활용 가치가 높지 | 센말, 여린말 | 후 공동연구원 | |
않은 어휘 | 3인 이상 동의 | ||
‘중급’단계에 | 난이도가 높은 | 질의01, 회답, | 목록 262개 |
부적절한 어휘 | 어휘 | 선출02, 힘겹다, | 제거 |
혈액 등 |
(4) [4차 선정] 어근과 파생어, 합성어 목록 검토
○‘중급’ 단계의 어휘 특성 중 하나는 파생어와 합성어의 목록이 급격하게 증 가하는 것이다. 이는 한국어 교수 현장에서 단어 형성의 원리를 통한 어휘 교 수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이러한 필요에 의해 역으로 ‘중급’ 단계의 어휘 교수를 위한 어휘 자료로서 어근, 파생어, 합성어와 함께 접사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급’ 단계 어휘의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예비 목록의 어 근 또는 주요 파생어, 합성어 중 ‘중급’ 단계에 포함되어야 할 목록 1,636개 의 어근 또는 파생어, 합성어 목록이 추출되었고, 예비 목록과의 중복 체크를 통해 485개의 어휘를 목록에 추가하였다. 그 결과 6,645개의 목록이 되었다.
(5) [5차 선정] 주제별 어휘 목록 검토
○‘중급’ 단계의 개념 및 범위의 정의에 기대어 볼 때 큰 특징 중 하나는 다양 한 주제와 상황과 관련된 어휘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방대한 량의 어휘를 대상으로 한 예비 목록 선정 과정에서 ‘초급’ 단계와 변별되는 ‘중 급’ 단계 어휘의 특성을 분명하게 드러내는 것이라고 보았다. 또한 한국어 교육 과정 개발 자료로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한 포괄적인 어휘 목록이 되기 위해 반 드시 검토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모형(2단계)’와 중급 한국어 교 재(6개 기관)에 나타난 주제를 분석하여 70개의 주제 범주를 추출하고, 각 주제 와 관련된 단원의 주요 어휘 중 예비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726개의 어휘를 추 출하였다. 그리고 객관적 지표를 바탕으로 한 연구진의 검토를 거쳐 24개의 어 휘를 추가하였다. 그 결과 6,669개의 목록이 되었다.
(6) [6차 선정] 각 단계에서 제거된 목록의 재검토
○각 단계에서 빈도, 중복도 증의 객관적 지표를 참고하여 ‘중급’ 단계의 목록 으로서의 타당성 여부를 판정하였고, 그 결과에 의해 예비 목록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객관적 지표가 한국어 교육용 어휘로서의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데에 절대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고 보기는 어렵다. 특히, 일정 빈도 이 하의 어휘를 제거 대상으로 하였던 한국어 교재의 어휘의 경우 그러한 지표에
의해 전체 15,561개의 목록 중 약 87%에 해당하는 13,541개의 어휘가 제거되었 기 때문에 한국어 교재 어휘를 포함한 각 목록의 제거 목록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검토 결과 138개의 어휘가 다시 예비 목록에 포함되었 다. 그 결과 총 6,807개의 목록이 되었다.
3.2.3. 연구 결과
○다음은 목록의 타당성 검사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표 40> 목록의 타당성 검사 결과에 따른 목록 수
구분 | 목록 설명 | 참조 목록 수 | 목록 타당성 검증 결과 남은 어휘 |
목록 1 | ‘초급’ 예비 어휘 목록 중 초급 선정 어휘 1,836개를 제외한 목록 | 2,545 | 2,149 |
목록 2 | 중급 한국어 교재에만 있는 목록 (교재 어휘 - 목록1 - 초급 1,836) | 10,231 | 272 |
목록 3 | 중급 토픽에만 있는 어휘 (토픽 어휘 - 목록 1 - 교재 - 초급 1,836) | 5,330 | 30 |
목록 4 | 선행연구에서 선정한 목록에만 있는 어휘(각 목록 - 목록1 - 초급 1,836) | 4,022 | 1,842 |
목록 5 |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2011) 초·중급, 조남호(2003)의 누락 목록 | - | 895 |
목록 6 | 1단계 초급 관련어 목록 | - | 972 |
목록 7 | 어근, 합성어, 파생어 목록 | - | 485 |
목록 8 | 주제별 어휘 목록 | - | 24 |
목록 9 | 제거 목록 | - | 138 |
합계 | 23,362 | 6,807 |
3.3. 어휘의 사용 범위 및 빈도 분석
○어휘의 사용 범위 및 빈도 분석은 중급 단계의 어휘 선정을 위한 평정 작업에 객관적인 근거를 부여하기 위한 과정이다. [1차 선정]에서 마련한 예비 목록에 다음의 빈도 정보를 분석․부착하여 어휘 평정의 객관적 지표로 활용하였다.
▸ 어휘의 사용 범위
어휘의 사용 범위 분석은 한국어 교재에서의 타입과 토큰을 분석하여 어휘의 사용 범위(range)와 포괄성(coverage)을 검증하는 과정이다. 분석 대상 교재 및 분석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한국어 교재의 빈도: 타입, 토큰
-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빈도
▸ 어휘의 사용 빈도 분석
어휘 빈도 분석은 선행 연구의 어휘 빈도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 강범모·김홍규(2009), 『한국어 사용 빈도』, 한국문화사
- 조남호(2002), 『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 국립국어원
3.4. ‘중급’ 단계의 어휘 특성과 객관적 지표를 고려한 순차별 어휘 평정
3.4.1. 기본 방향
○본 단계는 앞선 단계에서 선정된 6,807개의 목록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평정을 하여 ‘중급’ 단계의 어휘 목록을 선정해 가는 단계이다. 앞선 단계가 철저하게 빈도 정보를 기반으로 광범위하게 수집된 참조 목록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단계 였다면, 본 단계는 6인의 연구원이 객관적 지표와 지침을 바탕으로 개별 어휘 를 평정해 나가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는 ‘중급’ 단계의 어휘의 특성을 고려 한 최적의 목록을 선정하기 위하여 1) 어휘 유형별 특성에 따른 평정 2) 객관 적 지표에 의한 평정 3) 어휘 빈도와 어휘 선정 지침에 의한 평정의 3차례의 평정 절차를 거쳤다. 그 결과 3,984개의 어휘 목록이 선정되었다.
<표 41> (가안) ‘중급’단계의 어휘 평정 절차 및 순차별 평정 결과
단계 | 내용 | 선정 목록 수 |
1차 어휘 유형별 평정 | 파생어, 합성어, 접사, 의존명사, 준말, 의성 어․의태어, 문화 어휘를 추출하여 유형별 지 침에 의해 어휘를 평정하는 단계 | 4,342개 |
2차 객관적 지표에 의한 평정 | 객관적 지표를 참고하여 연구진 6인이 어휘 를 평정하는 단계 | 4,006개 |
3차 어휘 빈도와 선정 지침에 의한 평정 | 빈도와 어휘 선정 지침에 의한 목록 보완 단 계 | 3,984개 |
3.4.2. 세부 연구 내용
(1) [1차] 어휘 유형별 특성에 따른 평정
○어휘 유형별 평정은 모든 어휘 유형에 있어서 빈도와 사용 범위(range)를 고려 하여 평정을 하는 것을 대원칙으로 삼았다. 여기에 각 어휘 유형의 특성, 어휘 유형 내에 속하는 하위 범주의 어휘군의 특성을 고려하여 세부 지침을 정하고 그에 따라 개별 어휘를 평정하였다. 그 결과
① 파생어
가. 파생어 중 생산성이 높은 접사 파생어
○빈도와 사용 범위(range)를 고려하여 선정한다.
<표 42> 파생어의 빈도 및 사용 범위 정보 예시
어휘 | 평정 결과 | 교재 타입 | 교재 토큰 | 토픽 중급 | 조남호 (2003) | 강범모 외(2009) | 표준 모형 (2011) 초,중급 | 서상규 외 (1998) | 조남호 (2003) | 기존 목록 중복도 | 2013 예비 평정 결과 (최대6) |
기업가 | 6 | 9 | 213 | 0 | |||||||
만화가 | 2 | 3 | 3 | 16 | 100 | O | 1 | ||||
무용가 | 삭제 | 19 | 58 | O | 1 | ||||||
미술가 | 삭제 | 3 | 7 | 68 | 0 | ||||||
번역가 | 삭제 | 2 | 1 | 27 | 0 | ||||||
예술가 | 2 | 3 | 3 | 133 | 766 | O | O | O | 3 | 4 |
- 삭제된 목록
무용가, 자산가, 번역가, 미술가; 통역사; 배달원; 토론자, 예약자, 작성자, 지원자02
; 찾아보기; 튼튼히, 조심히; 소개비, 세탁비; 특수성; 슬기롭다; 향기롭다; 통행료; 식사비; 속삭임, 모자람; 성실히; 다양성 등
- 파생어만 선정된 목록
급격히, 급속히, 나란히, 유난히; 두리번거리다, 머뭇거리다, 비틀거리다, 중얼거리 다; 말없이, 수없이, 힘없이; 미용사; 불만족스럽다; 조림01 등
나. 피사동 파생
○빈도와 사용 범위(ramge)를 고려하여 선정한다.
- 삭제된 목록
감기다04, 뵈다03 등
- 파생어만 선정된 목록
불리다07, 부딪히다 등
다. ‘-어하다’
○빈도와 range를 고려하여 선정한다.
- 삭제 목록
수줍어하다, 싫어하다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