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성 위험 관련 조항 예시

유동성 위험. 유동성위험은 회사 경영 환경 또는 금융시장의 악화로 인해 연결실체가 부담하고 있는 단기 채무를 적기에 이행하지 못할 위험으로 정의합니다. 연결실체는 유동성위험을 선제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현금흐름 및 유동성 계획 등에 대해 주 기적으로 예측하고 이에 따른 대응방안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의 비파생금융부채를 보고기간말로부터 계약 만기일까지의 잔여기간에 따라만기별 로 구분한 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말> (단위 : 천원) 구분 1년 미만 1년에서 2년 이하 2년에서 5년 이하 5년 초과 합계 장부가액 매입채무 8,334,507 - - - 8,334,507 8,334,507 단기차입금 44,932,775 - - - 44,932,775 43,713,638 리스부채 17,293,322 - - - 17,293,322 17,251,011 미지급금 54,984,707 - - - 54,984,707 54,984,707 미지급비용 24,288,342 - - - 24,288,342 24,288,342 기타유동금융부채 3,921,640 - - - 3,921,640 3,921,640 유동성전환사채 및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 74,686,500 - - - 74,686,500 70,141,976 전환사채 2,140,795 2,356,500 193,629,344 - 198,126,639 147,258,264 장기차입금 30,200,000 730,200,000 - - 760,400,000 674,935,344 장기리스부채 - 21,754,456 56,251,766 236,510,568 314,516,790 162,330,378 장기미지급금 - 79,133 - - 79,133 79,133 합계 260,782,588 754,390,089 249,881,110 236,510,568 1,501,564,355 1,207,238,940 (주1) 당기말 미지급비용에 포함된 차입금 및 사채에 대한 미지급이자는 차입금 및 사채의 계약상 현금흐름에 반영하여 미지급비용의 장부가액에 해당 금액은 제외하였습니다. <전기말> (단위 : 천원) 구분 1년 미만 1년에서 2년 이하 2년에서 5년 이하 합계 장부가액 매입채무 693,412 - - 693,412 693,412 단기차입금 82,919,798 - - 82,919,798 80,585,848 리스부채 6,846,841 - - 6,846,841 6,558,148 미지급금 107,453,925 - - 107,453,925 107,453,925 미지급비용 7,684,629 - - 7,684,629 7,684,629 전환사채 및 당기손익-공 정가치측정금융부채 3,264,000 5,081,317 68,544,000 76,889,317 60,567,529 장기차입금 30,200,000 30,200,000 730,200,000 790,600,000 663,030,324 장기리스부채 - 5,351,752 11,014,353 16,366,105 13,121,328 장기미지급금 - 2,988,057 - 2,988,057 2,988,057 장기미지급비용 - 4,423,029 - 4,423,029 4,423,029
유동성 위험. 연결실체는 적정 유동성의 유지를 위하여 주기적인 자금수지 예측, 조정을 통해 유동성위험 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원활한 자금운영을 할 수 있도록 신용등급 등이 일정 수 준 이상인 국내외 금융기관에 매출채권을 매각하고 있습니다. 당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금융부채의 잔존계약만기에 따른 만기분석(명목가액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유동성 위험. 연결회사는 영업 자금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차입금 한도나 약정을 위반하는 일이 없도록 유동성에 대한 예측을 항시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유동성을 예측하는데 있어 연결회사의 자금조달 계획, 약정 준수, 연결회사 내부의 목표재무비율 및 통화에 대한 제한과 같은 외부 법규나 법률 요구사항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계속; 연결회사의 유동성 위험 분석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당기말 장부금액 계약상 현금흐름 1년 미만 1년 이상 5년 미만 매입채무및기타채무 492,888,649 492,888,649 483,823,377 9,065,272 단기차입금 227,320,593 227,440,867 227,440,867 - 사채 150,000,000 155,952,800 3,189,000 152,763,800 합 계 870,209,242 876,282,316 714,453,244 161,829,072 (단위 : 천원) 전기말 장부금액 계약상 현금흐름 1년 미만 1년 이상 5년 미만 매입채무및기타채무 409,499,660 409,499,660 405,340,888 4,158,772 단기차입금 412,759,705 412,987,056 412,987,056 - 사채(유동성포함) 254,957,251 267,466,366 110,818,366 156,648,000 합 계 1,077,216,616 1,089,953,082 929,146,310 160,806,772
유동성 위험. 당사는 미사용 차입금한도(주석 33 참조)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하고 영업 자금수요를충족시 킬 수 있도록 유동성에 대한 예측을 항시 모니터링하여 차입금 한도나 약정을 위반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습니다. 유동성에 대한 예측 시에는 회사의 자금조달 계획, 약정 준수, 회사 내 부의 목표재무비율 및 통화에 대한 제한과 같은 외부법규나 법률 요구사항이 있는 경우 그러 한 요구사항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유동성위험 분석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계정과목 당기말 합계 1년 미만 1년~2년 2년~5년 5년 초과 매입채무 및 기타지급채무 84,885 80,170 327 92 4,296 단기차입금(*1) 53,660 53,660 - - - 금융보증계약(*2) 90,687 90,687 - - - 리스부채 1,835 531 471 253 580 합계 231,067 225,048 798 345 4,876 계정과목 전기말 합계 1년 미만 1년~2년 2년~5년 5년 초과 매입채무 및 기타지급채무 64,346 63,834 450 - 62 단기차입금(*1) 89,809 89,809 - - - 금융보증계약(*2) 74,169 74,169 - - - 리스부채 1,685 424 259 362 640 합계 230,009 228,236 709 362 702 (*1) 상기 표에 포함된 현금흐름은 현재가치 할인을 하지 않은 금액이며, 만기시까지 지급될 이자금액이 포함된 금액입니다.
유동성 위험. 유동성위험은 해당 상품의 중도환매 가능 여부 및 중도 환매시 비용의 정도에 따라 ‘중도환매 불가’, ‘중 도환매시 비용발생’, ‘중도환매 허용’ 3단계로 구분하고, 관련 세부사항은 설명서(금소법 제19조제2항의 설명서를 말한다)에 별도로 기재한다.
유동성 위험. 유동성 위험은 연결실체의 경영환경 또는 금융시장의 악화로 인해 연결실체가 부담 하고 있는 단기 채무를 적기에 이행하지 못할 위험으로 정의합니다. 연결실체는 유동성 위험을 선제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현금흐름 및 유동성 계획 등에 대해 주기적으로 예측하고 이에 따른 대응방안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또한 적정규모 의 예금과 금융기관 약정한도를 보유함으로써 향후 발생 가능한 자금경색에 따른 유 동성 위험에 대처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유동자산 중 현금및현금성자산과 금융기관예치금의 보유규모 는 15,388백만원(전기말: 14,090백만원)이며, 유동성부채 중 금융기관 차입금은 80,895백만원(전기말: 76,395백만원)으로 차입금에 의한 유동성위험은 높은 것으 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현금및현금성자산과 금융기관 예치금을 제외한 유동자산이 25,322백만원(전기말: 28,579백만원)이고 금융기관 차 입금을 제외한 유동부채는 20,900백만원(전기말: 13,475백만원)으로 유동자산이 유 동부채를 초과하고 있으므로 매출채권 등 회수관리에 따라 유동성 위험은 감소될 것 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보기기간종료일 현재 금융부채의 잔존계약만기에 따른 만기분석은 다음과 같습니 다. 1년이내 1년 초과~5년이내 5년초과 계 매입채무 1,710,547 - - 1,710,547 차입금 80,895,000 1,095,000 3,102,500 85,092,500 기타지급채무 10,162,745 2,402,134 - 12,564,879 계 92,768,292 3,497,134 3,102,500 99,367,926

Related to 유동성 위험

  • 유의사항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지침서의 “사망 및 질병이환의 분류번호부여를 위한 선정준칙과 지침”에 따라 C77~C80(이차성 및 상세불명 부위의 악성신생물(암))의 경❹ 일차성 악성신생물(암)이 확인되는 경❹에는 원발부위(최초 발생한 부위)를 기준으로 합니다. · C73(갑상선의 악성신생물)이 림프절로 전이되어 C77(림프절의 이차성 및 상세불명의 악성신 생물)로 진단된 경❹에도 C73(갑상선의 악성신생물)에 해당하는 질병으로 봅니다. · C50(유방의 악성신생물)이 폐로 전이되어 C78.0(폐의 이차성 악성신생물)로 진단된 경❹에도 C50(유방의 악성신생물)에 해당하는 질병으로 봅니다. · C16(위의 악성신생물)이 뇌로 전이되어 C79.3(뇌 및 뇌막의 이차성 악성신생물)로 진단된 경❹에도 C16(위의 악성신생물)에 해당하는 질병으로 봅니다.

  • 다리의 장해 장해의 분류 지급률 1) 두 다리의 발목 이상을 잃었을 때 100 2) 한 다리의 발목 이상을 잃었을 때 60

  • 유형자산 (1) 당기와 전기의 유형자산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당기 구분 토지 건물 및 구축물 기계장치 기타유형자산 건설중인자산 합계 기초장부금액 259,350,576 126,634,030 47,683,507 1,664,203 1,193,787 436,526,103 취득/자본적지출 27,957 105,337 1,618,556 2,916,221 3,329,381 7,997,452 대체(주1) - - 80,807 359,243 (1,193,787) (753,737) 재평가로 인한 순감소 (1,098,199) - - - - (1,098,199) 처분 (971,300) (1,183,485) (468,712) (2,205) - (2,625,702) 감가상각 - (5,455,133) (8,678,329) (971,903) - (15,105,365) 손상차손 - (193,035) (2,641,497) - - (2,834,532) 외환차이 - 219,672 52,397 8,051 - 280,120 기말장부금액 257,309,034 120,127,386 37,646,729 3,973,610 3,329,381 422,386,140 - 취득원가 165,159,014 189,665,853 190,714,393 49,467,860 3,329,381 598,336,501 - 감가상각누계액 - (69,345,432) (150,426,167) (45,494,250) - (265,265,849) - 손상차손 - (193,035) (2,641,497) - - (2,834,532) - 재평가이익누계액 92,150,020 - - - - 92,150,020 (주1) 건설중인자산의 일부는 무형자산으로 대체 되었습니다.

  • 지급률의 결정 1) 한 팔의 3대 관절 중 관절 하나에 기능장해가 생기고 다른 관절 하나에 기능장해가 발생 한 경❹ 지급률은 각각 적용하여 합산한다. 2) 1상지(팔과 손가락)의 후유장해지급률은 원칙적으로 각각 합산하되, 지급률은 60% 한도 로 한다.

  • 서비스의 정의 스마트 영상 편의기능 서비스는 지능형 영상분석 서비스를 통해 생성된 이벤트 및 알람 영상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스마트 영상검색과 스마트 영상요약과 같은 편의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 미수금ㆍ미지급금의 처리 집합투자업자는 법 제192조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라 투자신탁을 해 지하는 경우에 미수금 채권이 있는 때에는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공정가액으로 투자신탁을 해지하는 날에 그 미수금 채권을 양수하여야 한다.

  • 뚜렷한 추상(추한 모습) 1) 얼굴 가) 손바닥 크기 1/2 이상의 추상(추한 모습)

  • 적용대상 이 특별약관은 계약자, 피보험자 및 보험수익자가 모두 동일한 보통약관 및 특별약관에 적용됩니다.

  • 계약내용의 변경 계약자는 회사의 승낙을 얻어 다음의 사항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승낙을 서면으로 알리거나 보험가입증서(보험증권)의 뒷면에 기재하여 드립니다.

  • QR(Quick Response)코드란? 스마트폰으로 해당 QR코드를 스캔하면 상세내용 등을 손쉽게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