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확정급여부채 관련 조항 예시

순확정급여부채. (1) 손익계산서에 반영된 금액 당기근무원가 1,394,092 1,230,991 순이자원가 85,396 87,645 과거근무원가 및 정산손익 - 68,508 종업원급여에 포함된 총비용 1,479,488 1,387,144 총 비용은 모두 영업비용에 포함되었습니다. (2) 순확정급여부채 산정내역 기금이 적립되지 않은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4,812,586 4,080,068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 (1,332,052) - 재무상태표상 부채 3,480,534 4,080,068 재무상태표상 사외적립자산 (168,182) - (3) 확정급여부채의 변동 내역 기초금액 4,080,068 3,872,322 당기근무원가 1,076,301 1,230,991 이자비용 85,396 87,645 과거근무원가 및 정산손익 - 68,507 전입효과 674,349 541,850 재측정요소: - 인구통계적가정의 변동으로 인한 보험수리적 손익 - 29,388 - 재무적가정의 변동으로 인한 보험수리적손익 375,990 375,536 - 경험적조정으로 인한 보험수리적손익 370,943 (345,479) 제도에서의 지급액: - 급여의 지급 (966,074) (738,665) - 정산 및 전출 (884,387) (1,042,027) - 사업결합으로 인한 취득 - - 보고기간말 금액 4,812,586 4,080,068 (4) 주요 보험수리적 가정 할인율 2.46~2.58 2.35~2.46 임금상승률 5.00 3.53~4.21 (5) 주요 가정의 변동에 따른 당기 확정급여채무의 민감도 분석 (단위: 천원) 구 분 확정급여채무에 대한 영향 가정의 변동폭(%) 가정의 증가 가정의 감소 할인율 1.00 (2,834,877) 3,569,539 임금상승률 1.00 3,549,297 (2,836,572) 상기의 민감도 분석은 다른 가정은 일정하다는 가정하에 산정됐습니다. 주요 보험수리적가 정의 변동에 대한 확정급여채무의 민감도는 재무상태표에 인식된 확정급여채무 산정 시 사 용한 예측단위접근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산정됐습니다. 민감도 분석에 사용된 방법 및 가정은 전기와 동일합니다. (6) 미래현금흐름에 대한 확정급여제도의 영향 당기말 현재 할인되지 않은 연금 급여지급액의 만기 분석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 분 1년미만 1년~2년미만 2~5년미만 5년이상 합계 급여지급액 327,844 240,673 635,113 3,608,956 4,812,586 확정급여채무의 가중평균만기는 11.57년(전기 : 11.12년)입니다.
순확정급여부채. 재무상태표에 인식된 순확정급여부채는 다음과 같습니다(단위:천원).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329,633,593 316,432,555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 (315,132,586) (312,739,222) 재무상태표상 순확정급여부채 14,501,007 3,693,333 확정급여채무의 변동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단위:천원). 기초금액 316,432,555 299,085,866 당기근무원가 32,403,546 32,692,048 이자원가 8,338,885 8,728,198 급여 지급액 (30,021,412) (29,281,797) 과거근무원가 (1,837,444) - 재측정요소: 인구통계적 가정의 변동으로 인한 보험수리적손익 - 2,595 재무적 가정의 변동으로 인한 보험수리적손익 (415,491) (2,793,768) 경험적 조정으로 인한 보험수리적손익 4,732,954 7,999,413 기말 금액 329,633,593 316,432,555 사외적립자산의 변동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단위:천원). 기초금액 312,739,222 262,731,771 신규불입 25,000,000 70,000,000 이자수익 8,203,480 8,182,307 재측정요소: 사외적립자산의 수익(이자수익에 포함된 금액 제외) (3,066,904) (2,968,667) 급여 지급액 (27,743,212) (25,206,189) 기말 금액 315,132,586 312,739,222 사외적립자산의 구성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단위:천원). 구분 제7(당)기 제6(전)기 금액 구성비율 금액 구성비율 채무상품 95,375,911 30.27% 63,319,452 20.25% 예치금 9,154,518 2.90% 37,276,020 11.92% 기타 210,602,157 66.83% 212,143,750 67.83% 합계 315,132,586 100.00% 312,739,222 100.00% 확정급여형 퇴직급여 제도 및 사외적립자산과 관련하여 사용된 주요 보험수리적 가정은 다음과 같습 니다. 할인율 2.8% 2.8% 미래임금상승률 3.6% 3.6% 주요 보험수리적 가정의 변동에 따른 당기 확정급여채무의 민감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확정급여채무에 대한 영향 할인율 1.0% 8.0% 감소 9.1% 증가 미래임금상승률 1.0% 9.1% 증가 8.1% 감소 상기 민감도 분석은 다른 가정은 일정하다는 가정하에 산정되었으나, 실무적으로는 여러 가정이 서로 관련되어 변동됩니다. 주요 보험수리적가정의 변동에 대한 확정급여채무의 민감도는 재무상태표에 인식된 확정급여채무 산정시 사용한 예측단위적립방식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산정되었습니다. 회사는 2021년에 확정급여제도에 대한 기여금으로 31,847백만원을 납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 다. 당기말과 전기말 현재 확정급여채무의 가중평균만기는 8.7년, 9.1년이며, 현재가치로 할인되지 않은 퇴직급여 지급액의 만기 구성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단위:천원). 구분 1년 미만 1년 이상 ~2년 미만 2년 이상 ~5년 미만 5년 이상 합계 퇴직급여지급액 16,819,602 24,313,499 92,027,276 735,700,850 868,861,227 당기 중 희망퇴직제도를 통해 매출원가에 직접 반영된 퇴직급여는 53,800,141천원입니다.
순확정급여부채.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의 순확정급여부채의 산정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단위:백만 원). 기금이 적립된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19,313 16,718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 (17,613) (14,913) 순확정급여부채 1,700 1,805 장기종업원급여채무의 현재가치 175 144 합 계 1,875 1,949 (*) 보고기간말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는 기존의 국민연금전환금 26백만원(전기말: 33백 만원)이 포함된 금액입니다.
순확정급여부채. 구 분 당기말 전기말

Related to 순확정급여부채

  • 특약의 보험기간 이 특약의 보험기간은 이 특약을 부가할 때 주계약의 보험기간 내에서 계약자가 선택한 특약의 보험기간으로 합니다.

  • 서비스의 종류 회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와 세부내용은 [별표1]과 같습니다.

  • 비밀유지 당사자들은 해당 감독 기관에서 요청하거나 정당한 법률적 절차를 위하여 요구 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계약의 체결이나 본 계약과 관련한 여하한 정보도 공개 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본 계약과 관련된 합리적인 범위의 조력자들에 대하여 는 본 조에 따른 비밀유지 의무를 준수한다는 전제 하에서 공개할 수 있다.

  • 특약내용의 변경 등 회사는 계약자가 이 특약의 보험기간 중 회사의 승낙을 얻어 주계약의 내용을 변경할 때 동일 내 용으로 변경하여 드립니다. 이 경❹ 승낙을 서면으로 알리거나 보험증권의 뒷면에 기재하여 드립 니다.

  • 특약내용의 변경 회사는 계약자가 특약의 보험기간 중 회사의 승낙을 얻어 주계약 의 내용을 변경할 때 동일내용으로 변경하여 드립니다. 이 경우 승낙 을 서면으로 알리거나 보험가입증서(보험증권)의 뒷면에 기재하여 드 립니다.

  • 분쟁의 해결 본 계약과 관련하여 분쟁이 발생할 경우, 분쟁 당사자들 상호 간에 신의와 성실로 써 당해 분쟁을 해결하도록 노력하며, 위 분쟁 해결 노력에도 불구하고 당해 분쟁 이 해결되지 않는 경우 서울중앙지방법원을 제1심 관할법원으로 하여 해결하는 것으로 한다.

  • 계약내용의 변경 등 계약자는 회사의 승낙을 얻어 다음의 사항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승낙을 서면 등으로 알리거나 보험증권의 뒷면에 기재하여 드립니다.

  • 계약내용의 변경 계약자는 회사의 승낙을 얻어 다음의 사항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승낙을 서면으로 알리거나 보험가입증서(보험증권)의 뒷면에 기재하여 드립니다.

  • 보상하는 손해의 범위 회사는 당해 항공기의 목적지 도착예정시간에서 12시간이 지난 이후부터 시작되는 24시간을 1일로 보아 20일을 한도로 제1조(보상하는 손해)에 정한 보험금을 지급하여 드립니다.

  • 계약이전 사용자는 연금규약에서 정한 바에 따라 이 계약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다른 운용관리계약 으로 이전(이 계약에서 “계약이전”이라 합니다) 신청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