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업원급여. (1)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순확정급여부채(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22,030,318 22,826,789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 (24,304,127) (25,136,627) 순확정급여부채(자산) (2,273,809) (2,309,838)
(2) 당기와 전기 중 확정급여제도와 관련하여 인식된 당기손익으로 인식된 금액은 다음과 같 습니다. 구 분 당 기 전 기 당기근무원가 2,870,503 2,711,846 부채에 대한 이자비용 679,260 611,605 사외적립자산의 이자 (750,221) (634,980) 상기의 손익은 포괄손익계산서에서 다음의 항목으로 인식하였습니다. 구 분 당 기 전 기 매출원가 737,619 703,936 판매비와관리비(퇴직급여) 1,921,262 1,888,875 판매비와관리비(연구비) 140,661 95,660 한편, 당기와 전기 중 기타포괄이익(법인세차감후)으로 인식된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금액은 각각 966,947천원과 (-)74,490천원입니다. 당사가 확정기여제도와 관련해 비용으로 인식한 금액은 183,509천원(전기: 126,219천원) 입니다.
(3) 당기와 전기 중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변동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당 기 전 기 기초금액 22,826,789 21,198,988 급여비용(당기손익) - 근무원가 2,870,503 2,711,846 - 이자원가 679,260 611,605 퇴직급여 지급액(주1) (2,453,038) (1,848,183)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기타포괄손익) - 인구통계학적가정의 변동에서 발생하는 보험수리적손익 33,300 - - 경험조정에 의한 변동에서 발행하는 보험수리적손익 (228,503) 390,884 - 재무적가정의 변동에서 발생하는 보험수리적손익 (1,697,993) (238,351) 기말금액 22,030,318 22,826,789 (주1) 당기말 현재 미지급한 퇴직급여는 78,094천원(전기말 71,710천원)입니다.
(4) 당기와 전기 중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 변동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당 기 전 기 기초금액 25,136,627 21,984,972 급여비용(당기손익) - 이자수익 750,221 634,980 퇴직급여 지급액 (2,429,200) (1,844,358)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기타포괄손익) - 사외적립자산의 수익(이자수익에 포함된 금액 제외) (653,521) 57,033 기여금 납입액 1,500,000 4,304,000 기말금액 24,304,127 25,136,627
(5)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사외적립자산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당기말 전기말
1) 활성시장 공시가격이 있는 자산 - -
2) 활성시장 공시가격이 없는 자산 - 원리금보장상품(정기예금 등) 10,483,344 6,127,431 - 비원리금보장상품(채권, CP/RP, 발행어음 등) 13,818,568 19,006,981 - 국민연금전환금 2,215 2,215 합 계 24,304,127 25,136,627
(6)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보험수리적평가를 위하여 사용된 주요 가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대임금상승율 3.80% 4.08% 할인율 3.39% 3.08%
(7) 당기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유의적인 보험수리적 가정에 대한 민감도 분석은 다음과 같습 니다. (단위: 천원) 구 분 확정급여채무에 대한 영향 당기근무원가에 대한 영향 가정의 1% 증가시 가정의 1% 감소시 가정의 1% 증가시 가정의 1% 감소시 할인율에 대한 민감도 20,315,372 23,999,919 2,494,204 2,967,496 임금상승률에 대한 민감도 24,020,986 20,267,529 3,000,099 2,463,046 위 민감도분석은 보고기간말 현재 유의적인 보험수리적 가정이 발생가능한 합리적인범위 내 에서 변동한다면 확정급여채무와 당기근무원가에 미치게 될 영향을 추정한 방법에 기초한 것입니다.
(8) 당기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확정급여채무의 가중평균만기는 8.611년입니다.
종업원급여. 1) 단기종업원급여 종업원이 관련 근무용역을 제공한 보고기간말부터 12개월 이내에 결제될 단기종업원급여는 근무용역과 교환하여 지급이 예상되는 금액을 근무용역이 제공된 때에 당기손익으로 인식하 고 있습니다. 단기종업원급여는 할인하지 않은 금액으로 측정하고있습니다.
종업원급여. (1) 퇴직급여 확정급여제도는 연령, 근속연수나 급여수준 등의 요소에 의하여 종업원이 퇴직할 때 지급받 을 퇴직연금급여의 금액이 확정됩니다. 확정급여제도와 관련하여 연결재무상태표에 계상된 부채는 보고기간말 현재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에서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를 차감한 금액입니다. 확정급여채무는 매년 독립된 보험계리인에 의해 예측단위적립방식에 따라 산정 되며,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는 그 지급시점과 만기가 유사한 우량회사채의 이자율로 기 대미래현금유출액을 할인하여 산정됩니다. 한편, 순확정급여부채와 관련한 재측정요소는 기 타포괄손익으로 인식됩니다. 제도개정, 축소 또는 정산이 발생하는 경우, 과거근무원가 또는 정산으로 인한 손익은 당기손 익으로 인식됩니다.
종업원급여. (1) 퇴직급여 회사의 퇴직연금제도는 확정기여제도와 확정급여제도로 구분됩니다.
종업원급여. (1) 당기와 전기 중 비용으로 인식된 종업원급여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제31(당) 기 제30(전) 기 급여 17,450,138 18,733,745 확정급여형 퇴직급여제도 관련비용 1,507,854 1,523,440 합 계 18,957,992 20,257,185
(2) 당기말과 전기말 현재 재무상태표에 인식된 종업원급여 관련 순자산과 순부채의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제31(당) 기 제30(전) 기 확정급여형 퇴직급여제도의 부채 4,763,063 4,297,444 기타장기종업원부채 94,241 142,325 합 계 4,857,304 4,439,769
(3) 당기말과 전기말 현재 순확정급여부채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제31(당) 기 제30(전) 기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8,848,204 9,392,613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 (4,085,141) (5,095,169) 순확정급여부채 4,763,063 4,297,444
(4) 당기와 전기 중 순확정급여부채의 조정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확정급여채무 사외적립자산 순확정급여부채 제31(당) 기 제30(전) 기 제31(당) 기 제30(전) 기 제31(당) 기 제30(전) 기 기초잔액 9,392,613 8,658,121 (5,095,169) (5,073,648) 4,297,444 3,584,473 당기 비용으로 인식: 당기근무원가 1,443,139 1,494,456 - - 1,443,139 1,494,456 이자원가(수익) 119,038 118,549 (54,325) (89,566) 64,713 28,983 소 계 1,562,177 1,613,005 (54,325) (89,566) 1,507,852 1,523,439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 재측정손실(이익) - - - - - - - 보험수리적손익 - - - - - - 인구통계적 가정 - - - - - - 재무적 가정 97,977 42,798 - - 97,977 42,798 경험조정 221,033 79,035 - - 221,033 79,035 - 사외적립자산 수익 - - (4,912) (60,584) (4,912) (60,584) 소 계 319,010 121,833 (4,912) (60,584) 314,098 61,249 기타: 납부한 기여금 - - (14,322) (515,002) (14,322) (515,002) 급여 지급 (2,425,596) (936,479) 1,083,587 609,012 (1,342,009) (327,467) 관계사 전출입 - (63,867) - 34,619 - (29,248) 소 계 (2,425,596) (1,000,346) 1,069,265 128,629 (1,356,331) (871,717) 기말잔액 8,848,204 9,392,613 (4,085,141) (5,095,169) 4,763,063 4,297,444
(5) 당기말과 전기말 현재 사외적립자산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제31(당) 기 제30(전) 기 정기예금 등 4,085,141 5,095,169
종업원급여. 1) 단기종업원급여 단기종업원급여는 임금, 사회보장분담금, 종업원이 관련 근무용역을 제공하는 회계기간의 말 부터 12개월 이내에 결제될 유급연차휴가 또는 유급병가 등과 같은 단기유급휴가, 종업원이 관련 근무용역을 제공하는 회계기간의 말부터 12개월 이내에 지급될 이익분배금과 상여금 및 현직종업원을 위한 비화폐성급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종업원이 회계기간에 근무용역을 제공한 때 근무용역과 교환하여 지급이 예상되는 단기종업원급여의 할인되지 않은 금액을 이미 지급한 금액을 차감한 후 미지급비용으로 인식하며, 이미 지급한 금액이 해당 급여의 할인되지 않은 금액보다 많은 경우에는 그 초과액 때문에 미래 지급액이 감소하거나 현금이 환급되는 만큼을 선급비용으로 인식하며, 다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서에 따라 해당 급여를 자산의 원가에 포함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2) 퇴직급여
종업원급여. 1) 단기종업원급여 종업원이 관련 근무용역을 제공한 회계기간의 말부터 12개월 이내에 결제될 단기종업원급여 는 근무용역과 교환하여 지급이 예상되는 금액을, 근무용역이 제공된 때에 당기손익으로 인 식하고 있습니다. 단기종업원급여는 할인하지 않은 금액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종업원이 과거 근무용역의 결과 연결실체가 지급해야 할 법적의무 또는의제의무가 있고, 그 채무금액 을 신뢰성있게 추정할 수 있다면 이익분배금 및 상여금으로 지급이 예상되는 금액을 부채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종업원급여. 연결기업은 확정급여퇴직연금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확정급여제도의 급여원가는 예측단 위적립방식을 이용하여 결정됩니다. 보험수리적손익, 순이자에 포함된 금액을제외한 사외적 립자산의 수익 및 순이자에 포함된 금액을 제외한 자산인식상한효과의변동으로 구성된 재측 정요소는 발생 즉시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하 지 아니하고 있습니다. 과거근무원가는 다음 중 이른 날에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ㆍ제도의 개정이나 축소가 발생할 때 ㆍ관련되는 구조조정원가나 해고급여를 인식할 때 순이자는 순확정급여부채(자산)에 할인율을 곱하여 결정하고 있습니다. 연결기업은 근무원 가와 순확정급여부채의 순이자를 매출원가 및 판매비와관리비의 항목으로 당기손익으로 인 식하고 있습니다.
종업원급여. (단위: 천원) 합계 163,526,799 121,358,953
종업원급여. (1) 당기와 전기 중 비용으로 인식된 종업원급여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급여 118,113,851 111,396,565 장기종업원급여 930,809 4,604,313 확정급여형 퇴직급여 12,003,587 10,809,798 확정기여형 퇴직급여 874,388 721,131 사회보장제도 관련 비용 10,473,732 9,762,051 합계 142,396,367 137,293,858
(2) 당사는 대부분의 종업원을 위하여 퇴직시점의 평균임금에 퇴직시점까지의 누적지급률을 곱한 값을 일시 퇴직금으로 지급하는 확정급여형 퇴직급여제도를 운영하고있으며 일부 종업 원은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에 가입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