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 use cookies on our site to analyze traffic, enhance your experience, and provide you with tailored content.

For more information visit our privacy policy.

퇴직급여제도 관련 조항 예시

퇴직급여제도. 연결기업은 자격요건을 갖춘 임직원들을 위하여 확정급여형퇴직급여제도를 운영하고 있습 니다. 이와 관련하여 사외적립자산과 확정급여채무의 보험수리적 평가는 독립적인 평가기관 에 의하여 수행되었습니다.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관련 당기근무원가는 예측단위적립방 식을 사용하여 측정되었습니다. (1)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순확정급여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3,261,638 3,103,317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 (3,573,345) (3,406,809) 순확정급여부채(자산) (311,707) (303,492) (2) 당기 및 전기 중 확정급여채무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초 3,103,317 3,124,540 당기근무원가 503,723 529,005 이자원가 86,503 84,544 퇴직금지급액 (301,039) (355,347) 재측정요소 - 재무적가정의 변동으로 인한 보험수리적손익 (107,993) 154,438 - 경험적조정으로 인한 보험수리적손익 (22,873) (433,863) 기말 3,261,638 3,103,317 (3) 당기 및 전기 중 사외적립자산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초 3,406,809 2,913,925 기대수익 101,820 85,370 당기기여금불입액 460,000 460,000 퇴직금지급액 (311,356) - 재측정요소 (83,928) (52,486) 기말 3,573,345 3,406,809 과납입분 사외적립자산(투자)대체 (311,707) (303,492) (4)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사외적립자산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기예금 3,573,345 3,406,809 (5) 당기 및 전기 중 확정급여제도 관련 비용의 계정과목별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당기 전기 제조원가 218,120 224,070 판매비와관리비 270,287 304,109 (6)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사용한 주요 보험수리적가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할인율 3.45% 2.89% 미래임금인상률 3.45% 3.42% 사망률 및 퇴직률 보험개발원 표준율 보험개발원 표준율 (7) 당기말 현재 다른 모든 가정이 유지될 때, 유의적인 보험수리적 가정이 발생가능한 합리 적인 범위 내에서 변동할 경우 확정급여채무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가정의 변동 확정급여채무 변동 가정의 증가 가정의 감소 할인율 1.00% (175,437) 203,814 미래임금상승율 1.00% 209,331 (182,847) (8) 당기말 현재 확정급여채무의 가중평균 만기는 9.1년입니다.
퇴직급여제도. 확정급여퇴직연금제도의 원가와 퇴직연금채무의 현재가치는 보험수리적 평가방법 을 통해 결정됩니다. 보험수리적 평가방법의 적용을 위해서는 다양한 가정을 세우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가정의 설정은 할인율, 미래임금상승률, 사망률 및 미래연 금상승률의 결정 등을 포함합니다. 평가방법의 복잡성과 기본 가정 및 장기적인 성격 으로 인해 확정급여채무는 이러한 가정들에 따라 민감하게 변동됩니다. 모든 가정은 매 보고기간말마다 검토됩니다. 적절한 할인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경영진은 AA등급 이상의 회사채의 이자율을 참조 하고 있습니다. 사망률은 공개적으로 활용가능한 표에 기초하고 있으며 미래임금상 승률 및 미래연금상승률은 해당 국가의 기대인플레이션율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역은 주석 22에서 기술하고 있습니다.
퇴직급여제도. (1) 당기말 및 전기말 현재 확정급여형 퇴직급여제도와 관련하여 연결실체의 의무로 인하여 발생하는 연결재무상태표상 구성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금이 적립된 제도에서 발생한 확정급여채무의 현재 가치 383,312,042 357,109,529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 (933,028) (954,268) 순확정급여부채 382,379,014 356,155,261 (2) 당기 및 전기 중 순확정급여부채의 조정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퇴직급여제도. (1) 확정기여형퇴직급여제도 회사는 종업원들을 위해 확정기여형퇴직급여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사외적립자산은 수 탁자의 관리하에서 기금형태로 회사의 자산들로부터 독립적으로 운용되고 있습니다. 종업원 들이 확정기여형의 가득조건을 충족하기 전에 퇴사하는 경우에 회사가 지불해야 할 기여금 은 상실되는 기여금만큼 감소하게 됩니다. 회사는 급여의 특정비율을 기금 적립을 위해 퇴직 급여제도에 납부해야 합니다. 이 퇴직급여제도에 대한 회사의 유일한 의무는 규정된 기여금 을 납부하는 것입니다. 당기 포괄손익계산서에 인식된 총비용 당기 9,134천원(전기 90,931천원)은 퇴직급여제도에서 규정하고 있는 비율에 따라 회사가 퇴직급여제도에 납입 한 기여금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2) 확정급여형퇴직급여제도 회사는 종업원을 위하여 확정급여형 퇴직급여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 제도에 따르면 종 업원의 퇴직시 근속연수 1년당 퇴직직전 최종 3개월 평균급여에 지급률 등을가감한 금액을 지급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사외적립자산과 확정급여채무의 보험수리적 평가는 예측단위적 립방식을 사용하여 적격성이 있는 독립적인 보험계리인에 의하여 수행되었습니다. (3) 당기말 및 전기말 현재 확정급여형 퇴직급여제도와 관련하여 회사의 의무로 인하여 발생 하는 재무상태표상 구성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당기말 전기말 기금이 적립된 제도에서 발생한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4,095,670 4,225,807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 (4,717,547) (4,565,262) 순확정급여부채(자산) (621,877) (339,455) (4) 당기 및 전기 중 순확정급여부채(자산)의 변동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 (단위: 천원) 구 분 확정급여채무 현재가치 사외적립자산 합 계 기초 4,225,807 (4,565,262) (339,455) 당기손익으로 인식되는 금액 당기근무원가 500,941 - 500,941 이자비용(이자수익) 110,154 (119,127) (8,973) 소 계 611,095 (119,127) 491,968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되는 재측정요소 사외적립자산의 수익(위의 이자에 포함된 금액 제외) - 47,445 47,445 재무적가정의 변동 등 에서 발생하는 보험수리적손익 (661,375) - (661,375) 소 계 (661,375) 47,445 (613,930) 제도에서 지급한 금액 (641,773) 640,012 (1,761) 계열사간 전입 801,355 (801,355) - 계열사간 전출 (239,439) 230,740 (8,699) 고용인의 기여금 - (150,000) (150,000) 기말 4,095,670 (4,717,547) (621,877) (전기) (단위: 천원) 구 분 확정급여채무 현재가치 사외적립자산 합 계 기초 6,417,290 (5,736,929) 680,361 당기손익으로 인식되는 금액 당기근무원가 799,979 - 799,979 이자비용(이자수익) 142,902 (113,590) 29,312 소 계 942,881 (113,590) 829,291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되는 재측정요소 사외적립자산의 수익(위의 이자에 포함된 금액 제외) - 78,749 78,749 재무적가정의 변동 등 에서 발생하는 보험수리적손익 (727,855) - (727,855) 소 계 (727,855) 78,749 (649,106) 제도에서 지급한 금액 (1,492,865) 1,492,865 - 계열사간 전입 224,284 (224,284) - 계열사간 전출 (1,137,928) 1,137,928 - 고용인의 기여금 - (1,200,000) (1,200,000) 기말 4,225,807 (4,565,261) (339,454) (5) 당기말 및 전기말 현재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정기예금 및 펀드 4,717,547 4,565,261 (6) 당기말 및 전기말 현재 보험수리적평가를 위하여 사용된 주요 추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할인율 5.15 2.64 기대임금상승률 3.53 3.79 (7) 당기말 및 전기말 현재 다른 모든 가정이 유지될 때, 유의적인 보험수리적 가정이발생가 능한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변동할 경우 확정급여채무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 기) (단위: 천원) 할인율의 100 basis point (bp) 변동 (226,786) 252,608 기대임금상승률의 1% 변동 258,445 (235,780) (전 기) (단위: 천원) 할인율의 100 basis point (bp) 변동 (174,181) 203,557 기대임금상승률의 1% 변동 202,955 (176,909) 상기의 민감도 분석은 다른 가정은 일정하다는 가정하에 산정되었으나, 실무적으로는 여러 가정이 서로 연관되어 변동됩니다. 상기 민감도 분석에서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는 재무 상태표상 확정급여채무를 측정하는데 적용한 예측단위적립방식을 사용하여 측정되었습니다 .
퇴직급여제도. 사용자가 퇴직하는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퇴직급여제도에 관하여는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이 정 하는 바에 따른다. 제37조제1항 본문중 "ઁ ·๫౾ "을 "임금"으로 한다. 제37조제2항제2호를 삭제한다. 제96조제5호중 "๫౾ , ֚߹"를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제8조의 규정에 의한 퇴직금, 상여"로 한다.
퇴직급여제도. 당사는 종업원들을 위하여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바, 1년 이상 근속자와 관련된 퇴직금 납부액은 퇴직급여의 과목으로 당기비용 처리하며, 1년 미만 근속자의 경우 퇴직금 지급 추정액을 미지급금으로 계상한 후 근속년수가 1년이 초과하는 시점에 퇴직연금 을 납부하고 있습니다. 당기말 및 전기말 현재 미지급금에 계상된 퇴직연금은 각각 414,210천원 및 256,279천원이 며, 당기 및 전기 중 당사의 퇴직연금 납입액은 각각 4,847,575천원 및 3,219,146천원입니 다.
퇴직급여제도. 확정급여퇴직연금제도의 원가와 퇴직연금채무의 현재가치는 보험수리적 평가방법을 통해 결정됩니다. 보험수리적 평가방법의 적용을 위해서는 다양한 가정을 세우는 것이 필요합니 다. 이러한 가정의 설정은 할인율, 미래임금상승률, 사망률 및 미래연금상승률의 결정 등을 포함합니다. 평가방법의 복잡성과 기본 가정 및 장기적인 성격으로 인해 확정급여채무는 이 러한 가정들에 따라 민감하게 변동됩니다. 모든 가정은 매 보고기간말마다 검토됩니다. 적절한 할인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경영진은 AA등급 이상의 회사채의 이자율을 참조하고 있 습니다. 사망률은 공개적으로 활용가능한 표에 기초하고 있으며 미래임금상승률 및 미래연 금상승률은 해당 국가의 기대인플레이션율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역은 주석 22에서 기술하고 있습니다.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활성시장이 없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현금흐름할인법을 포함한 평가기법을 적용하여 산 정하였습니다. 이러한 평가기법에 사용된 입력요소에 관측가능한 시장의 정보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 공정가치의 산정에 상당한 추정이 요구됩니다. 이러한 판단에는 유동성 위험, 신용 위험, 변동성 등에 대한 입력변수의 고려가 포함됩니다. 이러한 요소들에 대한 변화는 금융상 품의 공정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퇴직급여제도. 연결기업은 자격요건을 갖춘 종업원들을 위하여 확정기여형 퇴직급여제도 및 확정급여형 퇴 직급여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퇴직급여제도. 당사는 확정기여형퇴직급여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사외적립자산은 수탁자의 관리하에 서 기금 형태로 당사의 자산들로부터 독립적으로 운용되고 있습니다. 종업원들이 확정기여 형의 가득조건을 충족하기 전에 퇴사하는 경우에 당사가 지불해야 할 기여금은 상실되는 기 여금만큼 감소하게 됩니다. 포괄손익계산서에 인식된 퇴직급여 622,112천원(전기:797,870천원)은 퇴직급여제도에서 규정하고 있는 비율에 따라 당사가 퇴직급여제도에 납입할 기여금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퇴직급여제도. 당사는 자격요건을 갖춘 종업원들을 위하여 확정기여형 퇴직급여제도 및 확정급여형퇴직급 여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