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당사 IR자료 한편, 본건 부동산과 유사한 리테일 부동산 및 물류센터의 최근 거래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근 거래사례는 매입가격 적정성 판단 시 비교자료로 참고할 수 있으나, 매입 건별 개별요 소가 다르기 때문에 절대적인 비교 대상은 될 수 없습니다. [유사 부동산의 최근 거래사례 비교 - 리테일 부동산] 구분 인천 스퀘어원 롯데아울렛 광교점 롯데마트 수지점 롯데마트 사상/익산/도봉점 롯데몰 은평점 롯데마트 칠성점 롯데마트 시흥배곧점 평촌 지스퀘어 위치 인천시 연수구 수원시 영통구 경기도 용인시 기 흥구 Various 서울 은평구 대구시 북구 경기도 시흥시 경기도 안양시 동 안구 거래시기 2020.4Q 2020.1Q 2019. 4Q 2019. 4Q 2017.3Q 2017. 2Q 2017. 2Q 2016. 4Q 거래면적 (연면적, 평) 51,145 26,073 13,308 39,993 48,433 10,798 10,373 61,579 매도인 서부티엔디 코크렙광교 위탁관리부동산투 자회사 유경PSG자산운용 유경PSG자산운용 은평PFV 롯데쇼핑 코람코자산운용 코람코자산신탁 매수인 신한서부티엔디리 츠 맵스제1호리츠 더시너지1주식회 사 KB자산운용 KB자산운용 KB자산운용 노무라 이화자산운 용 이지스자산운용 잔여임대차기간(년 ) 8 16 11 11 - 15+10 20 16
자료.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16년 7월 정부는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전기·수소차 발전전략’을 공개하였다. 해당 발표안에는 기존 친환경차 보급 목표를 확인하고 수소차 카셰어링 서비스를 개시한 다는 내용이 담겨있었다. 해당 계획에 따라 같은 해 11월부터 울산에서 15대의 수 소 택시를 운영하였고 광주에서 기차역, 터미널 등을 중심으로 수소차 카셰어링(15 대) 서비스를 개시하였다. 또한 개별소비세 및 취득세, 도시철도채권매입액 등의 감 면, 구매보조금 상향 등 구매지원을 확대 추진하고, 운행단계에서 전기차와 동일한 인센티브를 부여함으로써 수소차의 보급확대를 추진하였다. 17년 12월 산업통상자원부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세부적인 기술 확보 전략과 일정을 포함한 '수소전기차 기술 로드맵'을 발표하였다. 해당 발표내용에는 글로벌 수준의 수소전기차 기술 유지·강화를 위한 차량가격 저감, 핵심부품의 성능향상, 수 소충전소의 국산화 기술 확보 등의 내용이 포함되었다. 세부적으로 고가 소재 저감 및 부품공용화, 대량생산기술 확보를 통해 현재 8,500 만원의 수소차 가격을 2022년까지 5,000만원 이하로 낮출 것을 계획하였다. 또한 고압 압축기 국산화, 수소개질기술 확보를 통해 수소충전소 용량(kg/day)을 500kg/day으로 늘리고 현재 40%에 불과한 수소충전소 부품 국산화율을 고압부품, 압축기, 저장용기 국산화를 통해 80%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그림36. 수소전기차 기술개발 로드맵 자료: 산업통상부,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표14. 수소차 기술로드맵 기대효과: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부품 가격기술 경쟁력 확보 부품 국산화(%) 95 100 기체확산층 국산화 수소차 생산대수(대/년) 수 백대 수 만대 대량생산기술로 가격경쟁력 확보 수소차 가격(만원) 8,500 5,000 이하 고가 소재 저감 및 부품공용화, 대량생산기술 확보 수소차 내구(km) 승용 10만 30만 이상 부품개발, 택시실증으로 내구 개선 버스 10만 50만 이상 상용차용 전해막 개발 스택 출력밀도(kW/L) 2 4 이상 핵심부품 두께저감, 성능개선 백금 사용량(g/대) 60 20 이하 고내구 담지체 및 백금촉매 개선 수소차 모델 승용 승용, 상용 수소버스, 트럭(트렉터) 개발, 대형모터 및 전장부품기술 확보
자료. 는 제 5.1 조에서 해당 용어에 주어 진 의미를 갖습니다.
More Definitions of 자료
자료. 란 도서관에 소장 중인 도서 및 비도서를 말한다.
자료. 한국회계기준원(2018)
자료. 한온시스템,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그림7. Heat Pump 시스템 그림8. Turbo Blower for FCEV 자료: 한온시스템,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자료: 한온시스템,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전동 컴프레서 생산능력 확대: 2016년 60만대에서 2022년 300만대 전동컴프레서 생산능력 확대. 19년말부터 VW MEB 본격화 자동차용 컴프레서는 냉매를 흡입, 압축, 순환시키는 에어컨 장치의 핵심부품으로 내연기관에서는 엔진동력으로 작동된다. 전기동력차에서는 전기모터로 구동되는 전 동컴프레서(E-Compressor)가 적용되는데, 전동컴프레서 가격은 200~250달러로 내연기관 컴프레서 가격(80~100달러) 대비 2배 이상 높다. 동사는 현대차그룹 외에 BMW, 폭스바겐 및 북미전기차 대표기업을 주요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다. 특히, 디젤게이트 이후 공격적인 전기차 확대계획을 가지고 있는 폭 스바겐의 대규모 프로젝트(MEB)에 주요 사업자로 참여, 2019년말부터 중장기 성 장성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폭스바겐 그룹은 ‘Roadmap E’를 통해 2025년 전 기차 300만대를 생산하고 2025년까지 전기차 80종(BEV 50종)을 출시해 전동화 비율을 25%까지 높인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기 때문이다. 동사는 전기동력차 수요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글로벌 전동컴프레서 생산능력을 확 대하고 있다. 2016년 기준 글로벌 전동컴프레서 생산능력은 60만대(국내/유럽)이 며, 국내와 유럽(포르투갈)에서의 증설 및 중국(대련/장춘) 지역 신설투자가 진행되 고 있다. 2018년 상반기에 국내와 유럽의 증설투자가 마무리되었고, 2019년까지 중국지역에 서 신규 투자가 지속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글로벌 전동컴프레서 생산능력은 2016년 60만대에서, 2020E 160만대, 2022년 300만대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 다. 관련 매출액은 2016년 약 1,161억원에서 2022년 5,384억원으로 증가할 것으 로 예상된다.
자료. 우리산업,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02)768-7604, soohong.cho@nhqv.com 02)768-6487, kyeongkeun.kang@nhqv.com (십억원) 120 115.0 100 81.7 80 60.0 60
자료. 국토교통부 결론적으로, 문재인 대통령의 재임기간 동안 풍부한 시장 유동성 하에 부동산 시장에 투기 수요의 유입이 지속되면서 수도권 시장이 과열됨에 따라 2020년부터 수도권 을 중심으로 부동산 거래량의 증가와 함께 부동산 매매가격이 급등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2020년부터 문재인 정부는 주택 투기 수요를 차단하고 주택가격 폭등에 대해 대응하고자 부동산 규제 강화와 더불어 공공 주도의 주택 공급 확대 정책을 병렬적으 로 진행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2021년 2월 4일 '공공주도 3080+' 대책을 발표하는 등 부동산 시장 안정화를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문재인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 구하고, 수도권을 중심으로 급등한 주택 가격은 상당 기간 상승세를 유지하면서 안정 을 찾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2022년 제20대 윤석열 대통령이 당선되며 정권이 교체되고, 2022년 8월 16일 새 정 권 5년간의 부동산 정책 방향을 설정하는 첫 부동산 정책인 '국민 주거안정 실현방안 '이 발표되었습니다. 정부는 소득 대비 높은 집값, 지나친 규제에 따른 주택 공급 위 축, 열악한 지방 주거환경 등을 언급하며 5대 추진전략을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202 7년까지 5년간 인허가 기준 270만 가구 공급 목표(수도권 158만 호, 지방 112만 호) 를 제시하였고, 이러한 주택 공급 확대를 뒷받침하기 위해 도시정비 사업 정상화, 민 간 도시복합사업 신규 도입, 공공택지 신규 지정 및 민간 정비사업 통합심의 전면 도 입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습니다. 특히, 신규 정비구역 지정을 5년간 22만호로 확대하고, 재건축 부담금 및 안전진단 관련 규제에 대한 변화도 예고하는 등 도시정비 사업의 확대를 강조했습니다. 이와 같이 윤석열 정부는 이전 공공 위주의 공급 확대 정책에서 민간 위주의 공급 확대 정 책으로 선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8/16 국민 주거안정 실현방안'의 주요 추진전 략에 대한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 2022년 8/16 국민 주거안정 실현 주요 추진전략] 대분류 소분류 상세내용 도심 공급 확대 재개발/재건축 사업 정상화 착수 - 신규 정비구역 지정 확대: 5년간 전국 22만 호 (서울 10만 호 포함) - 재건축부담금 면제금액 상향, 공공기여 사업장 감면제도 도입 - 안전진단: 구조안전성 하향, 공공기관 적정성 검토 미적용 - 정비사업 전문성/투명성 강화
자료. 당사 사업보고서 및 당사 제시(연결기준) 주1) 연결 손익계산서상 매출액 대비 비율 2023년 1분기 연결기준 SK이엔에스㈜와 동사의 종속회사 매출액 중 도시가스 부문의 매출 액이 전체 매출액의 62.27%, 전력 부문의 매출액이 전체 매출액의 33.07%, LNG 부문의 매 출액이 전체 매출액의 3.9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국제 유가, LNG가격 등은 러시아-우크 라이나 전쟁, 산유국의 정책 변경, 세계 경제 동향, 미국 원유 재고 증감, 달러화 가치의 변동, 지정학적 요소 등 글로벌 거시 환경에 큰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변수를 사전에 예측할 수 없 습니다. 또한 산업통상자원부는 「전력가격 상한에 관한 고시 개정안」을 통하여 긴급정산 상한가격 규정 신설을 규제개혁위원회에 상정하였고 규제개혁위원회는 2022년 11월 25일 제524회 회의를 통하여 계통한계가격(SMP)상한제를 일부 조건부로 통과시켰습니다. 2022년 12월에 도입된 SMP 상한제로 인하여 2023년은 SMP 증가에 따른 마진율 상승이 제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SMP 상한제 관련 진행상황을 지 속적으로 모니터링 해주시기 바랍니다. 이처럼 추후 시장 불확실성으로 인한 SK이엔에스㈜ 의 수익 저하는 당사의 배당가능 현금흐름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하오니 투자자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당사 내부 매출집계자료 상기에 따르면 매출의 주요 상승요인은 당사의 주력제품인 HMR제품군 및 음료베이 스 제품군의 매출확대에서 비롯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핫도그를 생산 하는 HD공장의 설비증설과 함께 HMR 제품군이 2016년 202.9억원에서 2017년 311. 5억원, 2018년 401억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53.5%, 28.7% 증가하였으며, 음료베이 스를 생산하는 청양1공장의 증설과 함께 음료베이스 매출이 2016년 103.8억 원에서 2017년 150.7억 원, 2018년 190억 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45.2%, 26.1% 상승하였습 니다. 한편, 당사의 매출원가 및 판매비와관리비에 포함된 비용을 성격별로 분류해보면 다 음과 같습니다. 구분 2016 2017 2018 2019년 상반기 원재료 등의 사용액 및 재고자산의 변동 53,474,774 57,721,720 62,090,556 32,937,267 외주가공비 6,622,927 9,580,346 11,058,907 5,765,539 전력비 1,586,818 1,813,306 2,005,456 990,140 운반비 3,425,049 3,789,895 4,048,313 2,127,496 종업원급여 8,251,623 8,513,598 8,676,735 4,986,123 감가상각비 2,769,849 3,575,709 3,784,752 1,968,004 무형자산상각비 57,358 95,814 97,072 51,157 사용권자산상각비 - - - 128,346 복리후생비 1,244,178 1,245,884 1,301,882 692,175 구분 2016 2017 2018 2019년 상반기 소모품비 580,719 815,132 979,094 460,117 연구개발비 843,019 851,339 841,625 413,394 지급수수료 2,099,848 2,267,596 2,888,398 1,340,243 기타 2,658,792 2,558,032 2,970,506 1,284,636 합계 83,614,955 92,828,371 100,743,296 53,144,637 상기 내용을 살펴보면, 당사의 매출 증가에 따라, 변동비 성격의 원재료비 및 외주가 공비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청양1,2공장 등 설비투자 증가의 영향으로 고정비 성 격의 종업원급여와 감가상각비 역시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 습니다. 매출액의 변동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고정비용의 증가는 매출의 변화에 이 익의 크기가 민감하게 변화하게 되므로, 기업수익의 변동성을 높일 수 있는 위험을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상기에서 보듯이 당사 주력 제품의 성장률은 점차 하락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2015년 청양1공장의 대규모 설비투자 이후 본격적인 공장가동이 늦어지고 매출성장이 지연되면서 2016년 영업적자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이에 따라, 향후 주 력 제품군의 매출성장이 정체되거나, 2019년 상반기 중 증설된 청양2공장의 고정비 증가를 상쇄하는 매출증가를 이뤄내지 못할 경우 당사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