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부동산 관련 조항 예시

투자부동산. (1)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투자부동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 분 당기말 전기말 취득원가 감가상각누계액 손상차손누계액 장부가액 토지 39,892,716 - (9,702,763) 30,189,953 38,051,397 건물 21,969,208 (2,260,952) - 19,708,256 20,257,578 합 계 61,861,924 (2,260,952) (9,702,763) 49,898,209 58,308,975 (2) 투자부동산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 분 당기 기초 취득 처분 감가상각비 손상차손 기말 토지 38,051,397 - (7,821,445) - (40,000) 30,189,952 건물 20,257,578 - - (549,321) - 19,708,257 합 계 58,308,975 - (7,821,445) (549,321) (40,000) 49,898,209 (단위 : 천원) 구 분 전기 기초 취득 처분 감가상각비 손상차손 기말 토지 38,051,397 - - - - 38,051,397 건물 20,806,899 - - (549,321) - 20,257,578 합 계 58,858,296 - - (549,321) - 58,308,975 (3) 투자부동산과 관련하여 손익으로 인식한 내역 임대수익 등 805,129 662,613 직접운영비용(임대수익이 발생한 투자부동산 관련) 549,321 697,803 (4) 감가상각비의 배부내역 매출원가 549,321 549,321 (5)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투자부동산의 공정가치는 재무상태표 상 장부금액과 유의적인 차 이가 없습니다.
투자부동산. 임대수익이나 시세차익을 얻기 위하여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은 투자부동산으로 분류하고 있 으며, 취득시 발생한 거래원가를 가산하여 최초 인식시점에 원가로 측정하며,최초 인식 후 원 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을 장부금액으로 표시하고 있습니 다. 후속원가는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미래 경제적효익이 기업에 유입될 가능성이 높으며, 그 원가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을 때에 한하여 자산의 장부금액에 포함하거나 적절한 경우 별도의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대체된 부분의 장부금액은 제거하고 있습니다. 투자부동산 중 토지에 대해서는 감가상각을 하지 않으며, 토지를 제외한 투자부동산은 경제 적 내용연수에 따라 20~50년 동안 정액법으로 상각하고 있습니다. 한편, 연결실체는 투자부 동산의 상각방법, 잔존가치 및 내용연수를 매 보고기간종료일에 재검토하고 있으며, 재검토 결과 추정치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투자부동산. 투자부동산은 관련 거래원가를 가산한 취득원가로 측정하고 있으며 발생시점에 자산의 인식 요건을 충족한 대체원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다만 일상적인 관리활동에서 발생하는 원가 는 발생시점에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최초인식 이후 투자부동산은 원가에서 감가상 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을 장부금액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감가상각비는 투자부동산의 취득원가에서 잔존가치를 차감한 잔액에 대하여 추정한 내용연 수를 적용하며, 건물은 40년 동안 정액법으로 상각하고 있습니다. 연결기업은 투자부동산을 처분(즉, 취득자가 해당 자산을 통제하게 되는 날)하거나 사용을 통하여 더 이상 미래경제적효익을 얻을수 없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연결재무제표에서 제 거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순처분금액과 장부금액의 차이는제거시점의 당기손익 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투자부동산의 제거로 인해 발생하는 손익에 포함될 대가(금액)는 기 업회계기준서 제1115호의 거래가격 산정에 관한 요구사항에 따라 산정됩니다. 또한 해당 자산의 사용목적이 변경된 경우에 한하여 투자부동산에서 다른 계정으로 대체하 거나 다른 계정에서 투자부동산으로 대체하고 있으며 투자부동산에서 자가사용부동산(유형 자산)으로 대체되는 경우에는 사용목적이 변경된 시점의 장부금액을 간주원가로 적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가사용부동산(유형자산)이 투자부동산으로 대체되는 경우에는 사용목적이 변경된 시점까지 해당 부동산을 유형자산과 동일하게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투자부동산. 임대수익이나 투자차익을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은 투자부동산으로 분류됩니다. 투 자부동산은 최초 인식시점에 원가로 측정되며, 최초 인식 후에는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 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으로 표시됩니다. 투자부동산 중 토지를 제외한 투자부동 산은 추정 경제적 내용연수 40년 동안 정액법으로 상각됩니다.
투자부동산. (1) 당기말 및 전기말 현재 투자부동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취득원가 상각누계액 장부금액 취득원가 상각누계액 장부금액 토지 54,284 - 54,284 56,046 - 56,046 건물 313,777 (221,919) 91,858 298,673 (204,673) 94,000 구축물 18,630 (8,116) 10,514 18,630 (7,709) 10,921 계 386,691 (230,035) 156,656 373,349 (212,382) 160,967 (2) 당기 중 투자부동산 장부금액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구분 기초 처분 대체(*) 감가상각비 환율차이로 인한 변동 기말 토지 56,046 (1,762) - - - 54,284 건물 94,000 - 1,537 (4,990) 1,311 91,858 구축물 10,921 - - (408) 1 10,514 계 160,967 (1,762) 1,537 (5,398) 1,312 156,656 (*) 건설중인자산에서 대체로 인한 증가로 구성되어 있음. 전기 중 투자부동산 장부금액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구분 기초 대체(*) 감가상각비 환율차이로 인한 변동 기말 토지 56,046 - - - 56,046 건물 104,118 10 (9,920) (208) 94,000 구축물 11,330 - (408) (1) 10,921 계 171,494 10 (10,328) (209) 160,967 (*) 건설중인자산에서 대체로 인한 증가로 구성되어 있음. (3) 당기말 및 전기말 현재 투자부동산의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토지 54,284 56,046 건물 338,579 315,854 구축물 15,496 15,496 계 408,359 387,396 투자부동산의 공정가치 평가는 독립된 평가인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연결실체는 투자부동산 최초 인식 시 수행한 공정가치 평가 이후 공정가치 변동이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한편, 투자부동산의 공정가치는 가치평가기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기초하여 수준 3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공정가치 측정에 사용된 가치평가기법은 원가접근법 및 시장접근 법 등이며, 원가접근법 적용시 건물 구조, 설계 등과 부대설비 현황 및 감가상각 기간을 고려 하여 산정한 재조달원가로 공정가치를 측정합니다. (4) 당기와 전기 중 투자부동산 관련 수익(비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임대수익 47,710 49,536 운영/유지보수비용 13,265 17,141
투자부동산. 임대수익이나 투자차익을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은 투자부동산으로 분류됩니다. 투자부동산 은 최초 인식시점에 원가로 측정되며, 최초 인식 후에는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 을 차감한 금액으로 표시됩니다. 투자부동산 중 토지를 제외한 투자부동산은 추정 경제적 내용연수동 안 정액법으로 상각됩니다.
투자부동산. (단위: 천원) 당기말 전기말 취득원가 감가상각누계액 장부금액 취득원가 감가상각누계액 장부금액 (1)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투자부동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단위: 천원) 당 기 전 기 토지 건물 합계 토지 건물 합계 기 초 17,820,512 7,338,516 25,159,028 17,820,512 7,602,967 25,423,479 상 각 - (264,451) (264,451) - (264,451) (264,451) 기 말 17,820,512 7,074,065 24,894,577 17,820,512 7,338,516 25,159,028 (2) 당기와 전기 중 투자부동산의 장부금액 변동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3) 투자부동산 관련 손익 당기와 전기 중 투자부동산과 관련한 수익과 비용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투자부동산에서 발생한 임대수익 3,023,024 2,930,173 임대수익이 발생한 투자부동산의 운용비용 (1,217,932) (1, 35,454) 투자부동산과 관련하여 인식한 순이익 1,805,092 1,594,719 (4) 당기말 현재 투자부동산의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장부금액 공정가치(주1) 토지 17,820,512 39,274,560 건물 7,074,065 9,136,367 합계 24,894,577 48,410,927 (주1) 당기말 현재 투자부동산의 공정가치는 해당 지역의 부동산 평가와 관련하여 적 절한 자격과 경험을 가지고 있는 외부의 독립적인 부동산평가인 ㈜삼창감정평가법인 이 2022년 4월 19일자를 기준시점으로 수행한 평가에 근거하여 결정되었습니다. 공 정가치측정에 사용된 가치평가기법은 토지의 경우 공시지가기준법으로 산정한 시산 가액에 대해 최근 거래사례를 수집하여 비교하여 평가하였으며, 건물의 경우 감정평 가에 관한 규칙에 따라 건물의 구조, 용재, 시공의 정도, 관리 및 이용상태, 경과년수 등 제 현상을 고려하여 평가를 수행하였습니다.
투자부동산. 임대수익이나 시세차익을 얻기 위하여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은 투자부동산으로 분류하고 있 습니다. 투자부동산은 취득시 발생한 거래원가를 포함하여 최초 인식시점에 원가로 측정하 며, 최초 인식 후에 취득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차감한 금액을 장부금 액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후속원가는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미래경제적효익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으며, 그 원가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하여 자산의 장부금액에 포함하거나 적절한 경우 별도 의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후속지출에 의해 대체된 부분의 장부금액은 제거하고 있습니 다. 한편 일상적인 수선ㆍ유지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원가는 발생시점에 당기손익으로 인식 하고 있습니다. 투자부동산 중 토지에 대해서는 감가상각을 하지 않으며, 토지를 제외한 투자부동산은 경제 적 내용연수에 따라 40년을 적용하여 정액법으로 상각하고 있습니다. 투자부동산의 감가상각방법, 잔존가치 및 내용연수는 매 보고기간 말에 재검토하고 있으며, 이를 변경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 투자부동산을 처분하거나, 투자부동산의 사용을 영구히 중지하고 처분으로도 더 이상의 미 래경제적효익을 기대할 수 없는 경우에 해당 투자부동산의 장부금액을 재무상태표에서 제거 하고 있습니다. 투자부동산의 제거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익은 순매각금액과 장부금액의 차 이로 결정하고 있으며, 해당 투자부동산이 제거되는 시점의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 다.
투자부동산. 투자부동산은 관련 거래원가를 가산한 취득원가로 측정하고 있으며, 발생시점에 자산의 인 식요건을 충족한 대체원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초 인식 후에 원가에서 감가상각누 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을 장부금액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다만, 일상적인 관리활동에서 발생하는 원가는 발생시점에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투자부동산 중 토지에 대해서는 감가상각을 하지 않으며, 토지를 제외한 투자부동산은 경제 적 내용연수에 따라 40년을 적용하여 정액법으로 상각하고 있습니다. 연결기업은 투자부동산을 처분하거나 사용을 통하여 더이상 미래경제적효익을 얻을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연결재무제표에서 제거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순처분금 액과 장부금액의 차이는 제거시점의 당기손익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연결기업은 매 회계연도말에 투자부동산의 잔존가치, 내용연수 및 감가상각방법의 적정성을 검토하고 변경이 필요한 경우 전진적으로 적용하고 있습니다.
투자부동산. 임대수익이나 시세차익을 얻기 위하여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은 투자부동산으로 분류하고 있 습니다. 투자부동산은 취득시 발생한 거래원가를 포함하여 최초 인식시점에 원가로 측정됩니다. 최 초 인식 후 투자부동산은 공정가치로 측정됩니다. 건설중인 투자부동산은 공정가치를 신뢰 성있게 산정할 수 있는 경우 공정가치로 측정됩니다. 건설중인 투자부동산의 공정가치를 신 뢰성 있게 산정할 수 없지만 건설이 완료된 시점에서는 공정가치를 신뢰성 있게 산정할 수 있다고 예상되는 경우 공정가치를 신뢰성 있게 산정할 수 있는 시점과 건설이 완료되는 시점 중 이른 시점까지는 건설중인 투자부동산은 원가에서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으로 측 정됩니다. 투자부동산의 공정가치는 보고기간말 현재의 시장상황을 반영하고 있으며, 필요한 경우 특 정 자산의 특성, 상태, 위치를 반영하여 조정됩니다. 공인된 전문자격을 갖추고 있으며 평가 대상 투자부동산의 소재 지역에서 최근에 유사한 부동산을 평가한 경험이 있는 독립된 평가 인이 공정가치평가를 수행하며, 이러한 평가금액에 근거하여 재무보고 목적의 장부금액이 결정됩니다. 후속원가는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미래경제적효익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으며, 그 원가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하여 자산의 장부금액에 포함하거나 적절한 경우 별도 의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후속지출에 의해 대체된 부분의 장부금액은 제거하고 있습니 다. 한편 일상적인 수선ㆍ유지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원가는 발생시점에 당기손익으로 인식 하고 있습니다. 투자부동산의 공정가치 변동으로 발생하는 손익은 발생한 기간의 당기손익에 반영됩니다. 독립된 당사자 간의 거래를 통하여 투자부동산을 공정가치로 처분하는 경우, 당해 투자부동 산의 처분 전 장부금액은 공정가치로 조정되며, 그 차액은 손익계산서 상 공정가치평가손익 에 반영됩니다.